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09:23:59

액자

파일:액자.png
언어별 명칭
한국어 액자
한자
영어 Frame
1. 개요2. 형태3. 단점4. 기타

1. 개요

액자사진이나 그림을 끼워넣는 이다.

2. 형태

이런 저런 장식을 할 수 있지만, 대략적인 형태는 직사각형이 일반적이다. 사진 둘레를 감싸는 틀, 없을 수도 있는 앞부분을 보호하는 투명한 유리플라스틱 재질의 판, 뒷부분을 막아 종이가 빠지지 못하게 하는 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 박은 등의 튀어나온 부분에 걸기 위해 고리이 달려 있거나, 세우기 위해 받침대가 달려 있는데 받침대는 작은 것에, 고리나 끈은 큰 곳에 많이 쓴다.

액자는 크게 나무 액자와 크리스탈 액자로 나뉜다. 나무 액자의 경우, MDF로 만든 것과 원목으로 만든 것이 있다.[1] 앞 커버로 유리로 된 것도 있고, 아크릴(플라스틱)으로 된 것도 있는데, 유리는 상대적으로 무겁고 깨지기 쉽지만 흠집이 잘 안나고 변색이 안 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아크릴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흠집이 잘 나고 플라스틱 특성 상 세월에 따라 변색된다는 단점이 있다. 4*6 크기 기준으로, 다이소에서 판매하는 중국1산 나무 액자는 2,000원 수준에 불과하지만, 국산 나무 액자는 최소 9,000원을 넘는다. 화가가 사용하는 작품용 액자는 서울 삼각지 등의 액자 가게에서 맞출 수 있는데 보통 10만원 이상이다. 크리스탈 액자는 대부분 국산이다.

3. 단점

사진이나 그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부피를 어느 정도 차지하기 때문에 전시하지 않을 바엔 애물단지에 가까울 수 있는 만큼 공간 여유가 부족하면 액자는 처분하고 사진만 보관하는 것이 낫다. 사진의 내구성이 걱정된다면 사진첩이나 코팅 등의 방법을 알아볼 수 있다. 단 코팅의 경우 사후 사진이나 그림을 다시 꺼낼때 손상이 가해질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4. 기타

  • 액자 속에 그림이나 사진을 넣는다는 특성으로 인해 이에 빗대는 말로 액자소설 혹은 액자식 구성 등이 있다.


[1] 저가의 액자는 대부분 두가지 모두 뒤 패널은 MDF 재질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작품용 고급 액자의 경우 모든 부품이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