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1 19:23:14

안드레아 소틸


파일:세리에 B 로고.svg
2025-26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다비데
디오니지

파일:AC 레지아나 1919 로고.svg
다비데
포산치니

파일:만토바 1911 로고.svg
안드레아
소틸

파일:모데나 FC 로고.svg
파올로
비앙코

파일:AC 몬차 로고.svg
파비오
카제르타

파일:SSC 바리 로고.svg
조반니
스트로파

파일:베네치아 FC 로고.svg
안젤로
그레구치

파일:UC 삼프도리아 로고.svg
로베르토
도나도니

파일:스페치아 칼초 로고.svg파일:스페치아 칼초 로고 화이트.svg
라파엘레
비앙콜리노

파일:US 아벨리노 1912 로고.svg
안드레아
키아펠라

파일:비르투스 엔텔라 로고.svg
알레시오
디오니시

파일:엠폴리 FC 로고.svg
이냐치오
아바테

파일:SS 유베 스타비아 로고.svg
파브리치오
카스토리

파일:FC 쥐트티롤 로고.svg
미켈레
미냐니

파일:체세나 FC 로고.svg
안토니오
칼라브로

파일:카라레세 칼치오 로고.svg
알베르토
아퀼라니

파일:US 카탄차로 1929 로고.svg
마테오
안드레올레티

파일:칼초 파도바 로고.svg
필리포
인자기

파일:팔레르모 FC 로고.svg파일:팔레르모 FC 로고 화이트.svg
빈첸초
비바리니

파일:델피노 페스카라 1936 로고.svg
마시밀리아노
알비니

파일:프로시노네 칼초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챔피언십파일:이탈리아 국기.svg세리에 B파일:독일 국기.svg 2. 분데스리가파일:러시아 국기.svg 퍼스트 리그
◀ 세리에 A 구단별 감독
}}}}}}}}} ||
안드레아 소틸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1년 ~ 현재
41대
벨로토
파일:UEFA EURO ITA.png
42대
노벨리노
파일:UEFA EURO ITA.png
43대
마차리
파일:UEFA EURO ITA.png
44대
델네리
파일:UEFA ITA.png
45대
디 카를로
파일:UEFA EURO ITA.png
46대
카바신
파일:UEFA EURO ITA.png
47대
아초리
파일:UEFA EURO ITA.png
48대
이아키니
파일:UEFA EURO ITA.png
49대
페라라
파일:UEFA EURO ITA.png
50대
로시
파일:UEFA EURO ITA.png
51대
미하일로비치
파일:UEFA SRB.png
52대
쳉가
파일:UEFA EURO ITA.png
53대
몬텔라
파일:UEFA EURO ITA.png
54대
잠파올로
파일:UEFA EURO ITA.png
55대
디 프란체스코
파일:UEFA EURO ITA.png
56대
라니에리
파일:UEFA EURO ITA.png
57대
다베르사
파일:UEFA ITA.png
58대
잠파올로
파일:UEFA ITA.png
59대
스탄코비치
파일:UEFA SRB.png
60대
피를로
파일:UEFA EURO ITA.png
61대
소틸
파일:UEFA EURO ITA.png
62대
셈플리치
파일:UEFA EURO ITA.png
63대
에바니
파일:UEFA EURO ITA.png
64대
도나티
파일:UEFA EURO ITA.png
◀ UC 삼프도리아 감독(초대~40대)
}}}}}}}}}}}} ||


모데나 FC
Modena Football Club 2018 S.r.l.
파일:7469.jpg
<colbgcolor=#ffe239> 이름 안드레아 소틸
Andrea Sottil
출생 1974년 1월 4일 ([age(1974-01-04)]세)
이탈리아 피에몬테토리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4cm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 감독
가족 아들 리카르도 소틸
경력 <colbgcolor=#ffe239> 선수 토리노 FC (1991~1992 / 유스)
토리노 FC (1992~1994)
ACF 피오렌티나 (1994~1996)
아탈란타 BC (1996~1999)
우디네세 칼초 (1999~2003)

레지나 칼초 (2003~2004)
제노아 CFC (2004~2005)
칼초 카타니아 (2005~2008)
AC 리미니 (2008~2009)
US 알레산드리아 칼초 (2009~2010)
감독 US 시라쿠사 (2011~2012)
AS 구비오 (2012~2013)
AC 쿠네오 (2013~2014)
파가네세 칼초 (2014~2015)
시라쿠사 칼초 (2015~2017)
AS 리보르노 칼초 (2017~2018)
AS 리보르노 칼초 (2018)
칼초 카타니아 (2018~2019)
칼초 카타니아 (2019)
델피노 페스카라 (2020)
아스콜리 칼초 (2020~2022)
우디네세 칼초 (2022~2023)
US 살레르니타나 1919 (2024)
UC 삼프도리아 (2024)
모데나 FC (2025~ )
국가대표 없음


1. 개요

이탈리아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토리노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해 아탈란타와 우디네세에서 전성기를 보냈다. 경력의 대부분을 저니맨으로 옮겨다녔으나 세리에 A 통산 200경기 이상 출전을 기록한 경쟁력 있는 선수였다.

3. 감독 경력

3.1. 우디네세 칼초 이전

선수 은퇴 뒤 2011년 시라쿠사에서 첫 감독직을 맡았다. 이후 파가네세, 리보르노 등 세리에 C팀들에서 경력을 이어나갔고, 2020년 7월 페스카라에 선임되며 커리어 첫 세리에 B팀 감독을 맡게 된다. 시즌 종료 뒤 페스카라와 결별했으며, 2020년 12월부터는 아스콜리의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세리에 B에서 첫 시즌 16위, 두번째 시즌 6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3.2. 우디네세 칼초

2022년 6월 7일, 우디네세 칼초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1년 계약이며 1년 연장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 아스콜리에서의 성과는 물론, 현역 시절 우디네세에서 좋은 활약을 보였던 팀 출신 감독이라는 점 역시 고려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9월 18일 기준, 리그 5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세리에 1위를 질주중이다. 특히, 로마와 인테르를 각각 4:0 3:1로 이기면서 그야말로 엄청난 돌풍을 일으키는 중이다.

2022년 9월에만 우디네세의 4전 4승을 이끌고 세리에 A 9월 이달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2023년 5월 19일, 1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3-24 시즌 시작 후 리그 9경기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했고 결국 현지 시간 10월 24일에 경질되었다.#

3.3. US 살레르니타나 1919

2024년 6월 20일, US 살레르니타나 1919의 감독을 맡게 되었다. 계약 기간은 2년.

그러나 2024년 7월 2일, 감독을 맡은 지 2주도 지나지 않아 살레르니타나와 계약을 종료하였다.

3.4. UC 삼프도리아

2024년 8월 30일, UC 삼프도리아의 감독을 맡게 되었다. 계약 기간은 1+1년.

8R 기준 리그 15위로 부진하고 있다. 2024년 12월 9일, 삼프도리아가 경질을 공식 발표하였다.

3.5. 모데나 FC

25-26 시즌을 앞두고 세리에 B 모데나 FC 감독에 선임되었다.

4.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