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12FA7><tablebgcolor=#112FA7> | 아이치현 제6구 愛知県第6区 | }}} | |||
<colbgcolor=#112FA7><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1,008,110명 (1993년) | |||||
상위 도도부현 | 아이치현 | |||||
하위 행정구역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정수 | 4[1] | |||||
마지막 선출 국회의원 | 아카마츠 히로타카, 이시다 코시로, 오타니 타다오, 카타오카 타케시 | |||||
소선거구제 개편 이후의 선거구 | 아이치 3구[2], 아이치 4구[3], 아이치 5구[4] (소선거구) |
1. 역대 국회의원2. 역대 선거 결과
2.1.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2.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3.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4.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5.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6.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7.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8.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9.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10.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clearfix]
1.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의원명 | 소속정당 |
31회(1967) | 츠지 칸이치[5] | |
츠카모토 사부로[6] | | |
이시다 코시로[7] | | |
32회(1969) | 아카마츠 이사무[8] | |
츠카모토 사부로 | | |
츠지 칸이치 | | |
33회(1972) | 아카마츠 이사무 | |
이시다 코시로 | | |
츠카모토 사부로 | | |
34회(1976) | 츠카모토 사부로 | |
이시다 코시로 | | |
안도 이와오 | ||
미즈히라 토요히코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35회(1979) | 츠카모토 사부로 | |
이시다 코시로 | | |
안도 이와오 | ||
미즈히라 토요히코 | | |
36회(1980) | 츠카모토 사부로 | |
미즈히라 토요히코 | | |
이시다 코시로 | | |
안도 이와오 | ||
37회(1983) | 츠카모토 사부로 | |
이시다 코시로 | | |
요코에 카네오 | | |
미즈히라 토요히코 | | |
38회(1986) | 츠카모토 사부로 | |
카타오카 타케시 | | |
이시다 코시로 | | |
안도 이와오 | ||
39회(1990) | 아카마츠 히로타카 | |
카타오카 타케시 | | |
이시다 코시로 | | |
츠카모토 사부로 | | |
40회(1993) | 아카마츠 히로타카 | |
이시다 코시로 | | |
오타니 타다오 | | |
카타오카 다케시 | |
2. 역대 선거 결과
2.1. 제3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츠지 칸이치 | 83,603표 | 1위 |
| 20.9% | 당선 | |
| 츠카모토 사부로 | 81,013표 | 2위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e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민주사회당)] | 20.3%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74,891표 | 3위 |
| 18.7% | 당선 | |
| 쿠사카와 쇼조 | 71,388표 | 4위 |
| 17.9% | 낙선 | |
| 아카마츠 이사무 | 62,085표 | 5위 |
| 15.5% | 낙선 | |
| 나카무라 히로시 | 26,796표 | 6위 |
6.7%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399,789표 | 투표율 66.84%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04,102인 |
2.2.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카마츠 이사무 | 95,051표 | 1위 |
| 21.4% | 당선 | |
| 츠카모토 사부로 | 91,389표 | 3위 |
| 20.7% | 당선 | |
| 츠지 칸이치 | 93,500표 | 2위 |
| 21.1%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91,053표 | 4위 |
| 20.6% | 낙선 | |
| 나카무라 히로시 | 70,426표 | 5위 |
15.9% | 낙선 | ||
無 | 곤도 켄지로 | 914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42,233표 | 투표율 64.48%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90,510인 |
2.3.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카마츠 이사무 | 95,051표 | 1위 |
| 21.4%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93,500표 | 2위 |
| 21.1% | 당선 | |
| 츠카모토 사부로 | 91,389표 | 3위 |
| 20.7% | 당선 | |
| 츠지 칸이치 | 91,053표 | 4위 |
| 20.6% | 낙선 | |
| 나카무라 히로시 | 70,426표 | 5위 |
15.9% | 낙선 | ||
無 | 곤도 켄지로 | 914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42,233표 | 투표율 64.48%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90,510인 |
2.4. 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츠카모토 사부로 | 105,181표 | 1위 |
| 22.2%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91,487표 | 2위 |
| 19.3% | 당선 | |
| 안도 이와오 | 73,309표 | 3위 |
15.4% | 당선 | ||
無 | 미즈히라 토요히코 | 69,259표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6% | 당선 | |
| 아카마츠 이사무 | 68,290표 | 5위 |
| 14.4% | 낙선 | |
| 츠지 칸이치 | 64,924표 | 6위 |
| 13.7% | 낙선 | |
無 | 니시 하치로 | 2,191표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74,641표 | 투표율 69.03%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92,814인 |
2.5.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츠카모토 사부로 | 109,834표 | 1위 |
| 26.7%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81,264표 | 2위 |
| 19.8% | 당선 | |
| 안도 이와오 | 78,684표 | 3위 |
19.1% | 당선 | ||
| 미즈히라 토요히코 | 70,032표 | 4위 |
| 17.0% | 당선 | |
| 요코에 카나오 | 65,643표 | 5위 |
| 16.0% | 낙선 | |
無 | 나이츄 아야코 | 3,576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9% | 낙선 | |
無 | 가네마루 요시오 | 1,980표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5%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11,013표 | 투표율 59.52%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95,975인 |
2.6.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츠카모토 사부로 | 121,618표 | 1위 |
| 26.2% | 당선 | |
| 미즈히라 토요히코 | 112,234표 | 2위 |
| 24.2%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76,194표 | 3위 |
| 16.4% | 당선 | |
| 안도 이와오 | 75,468표 | 4위 |
16.3% | 당선 | ||
| 요코에 카나오 | 74,545표 | 5위 |
| 16.1% | 낙선 | |
無 | 야키야마 히데오 | 1,889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4% | 낙선 | |
無 | 코이케 카오루 | 1,371표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3%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46,144표 | 투표율 67.07%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701,713인 |
2.7.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츠카모토 사부로 | 105,748표 | 1위 |
| 24.9%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85,237표 | 2위 |
| 20.1% | 당선 | |
| 요코에 카나오 | 83,356표 | 3위 |
| 19.6% | 당선 | |
| 미즈히라 토요히코 | 78,983표 | 4위 |
| 18.6% | 당선 | |
| 안도 이와오 | 71,133표 | 5위 |
16.8%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69,265표 | 투표율 58.95%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724,191인 |
2.8.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츠카모토 사부로 | 103,398표 | 1위 |
| 23.2% | 당선 | |
| 카타오카 타케시 | 91,540표 | 2위 |
| 20.5%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74,885표 | 3위 |
| 16.8% | 당선 | |
| 안도 이와오 | 71,619표 | 4위 |
16.1% | 당선 | ||
| 요코에 카나오 | 65,755표 | 5위 |
| 14.7% | 낙선 | |
無 | 호소노 준코 | 38,927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7%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46,144표 | 투표율 60.37%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749,419인 |
2.9.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카마츠 히로타카 | 135,751표 | 1위 |
| 26.3% | 당선 | |
| 카타오카 타케시 | 126,364표 | 2위 |
| 24.4%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90,263표 | 3위 |
| 17.5% | 당선 | |
| 츠카모토 사부로 | 80,356표 | 4위 |
| 15.5% | 당선 | |
| 안도 이와오 | 71,693표 | 5위 |
13.9% | 낙선 | ||
無 | 곤도 히로시 | 12,571표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4%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516,998표 | 투표율 65.43%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795,138인 |
2.10.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아이치현 제6구 | |||
나고야시 쇼와구, 미즈호구, 아츠타구, 나카가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카마츠 히로타카 | 100,372표 | 1위 |
| 20.4% | 당선 | |
| 이시다 코시로 | 89,761표 | 2위 |
| 18.3% | 당선 | |
| 오타니 타다오 | 89,269표 | 3위 |
| 18.2% | 당선 | |
| 카타오카 타케시 | 79,090표 | 4위 |
| 16.1% | 당선 | |
| 츠카모토 사부로 | 65,296표 | 5위 |
| 13.3% | 낙선 | |
| 세코 유키코 | 63,306표 | 6위 |
12.9% | 낙선 | ||
無 | 와타나베 케이코 | 1,601표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3% | 낙선 | |
無 | 나카무라 아츠시 | 1,418표 | 8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3% | 낙선 | |
無 | 이토 마코토 | 877표 | 9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2% | 낙선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유효표 수 | 490,963표 | 투표율 59.49%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833,480인 |
[1] 1964년 이 선거구가 만들어졌을때부터 1975년 공직선거법이 개정될때까지는 정수가 3인이었다.[2] 쇼와구, 미도리구, 텐파쿠구 관할.[3] 미즈호구, 아츠타구, 미나토구, 미나미구 관할.[4] 나고야시 나카무라구/나카가와구, 키요스시 관할.[5] 각본가 츠지 마사키의 아버지.[6] 1985년 4월 23일부터 1989년 2월 25일까지 민사당의 제6대 중앙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7] 1989년 5월 17일부터 1994년 12월 5일까지 공명당의 마지막 중앙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8] 아카마츠 히로타카의 아버지로, (구) 아이치현 제1구에서 선거구를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