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라이더 위자드의 팬텀 | |||||||||||||||||||||||||||||||||||||||
<col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간부급 팬텀 | ||||||||||||||||||||||||||||||||||||||
와이즈맨 | |||||||||||||||||||||||||||||||||||||||
피닉스 | 메두사 | 그렘린 |
일반 팬텀 | |||||||||||||||||||||||||||||
미노타우로스 | 헬하운드 | 캐트시 | 노움 | 가고일 | |||||||||||||||||||||||||
발키리 | 리자드맨 | 만티코어 | 히드라 | 바알제붑 | |||||||||||||||||||||||||
워타이거 | 스프리건 | 레기온 | 보기 | 아르고스 | |||||||||||||||||||||||||
라움 | 바하무트 | 실피 | 스핑크스 | 세이렌 | |||||||||||||||||||||||||
아라크네 | 케프리 | 드레이크 | 오우거 | 워록 |
언더월드의 팬텀 | |||||||||||||||||||||||||||||
위자드래곤 | 비스트 키마이라 | 재버워크 | |||||||||||||||||||||||||||
사이클롭스 | 요르문간드 | 헤카톤케이레스 | |||||||||||||||||||||||||||
밴더스내치 | 기간테스 | 우로보로스 |
전투원 | |||||||||||||||||||||||||||||
구울 |
기타 | ||||||||||||||||||||||||||||||
아마담 | 아쿠마이저 | |||||||||||||||||||||||||||||
← 포제 조디아츠 목록ㆍ가이무 인베스 목록 → | }}}}}}}}} |
<colbgcolor=#000><colcolor=#b13> 아마담 アマダム|Amadam | |
<nopad> | |
성별 | 남성 |
주요 출연작 | 가면라이더 위자드 |
첫 등장 | 가면라이더의 반지 (가면라이더 위자드 에피소드 52) |
마지막 등장 | 끝나지 않는 이야기 (가면라이더 위자드 에피소드 53) |
배우 | 타구치 토모로오[1] |
한국판 성우 | 이인석 |
1. 개요
가면라이더의 힘의 근원. 그것은 크로스 오브 파이어라 불린다. 불꽃의 십자가 악으로부터 태어났다는 죄인의 증표. 仮面ライダーの力の源。それをクロス・オブ・ファイアという。炎の十字架、悪から生まれたという罪の証 |
2. 작중 행적
가면라이더 위자드의 분기별 보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black><colcolor=red> 전편 현대에 되살아나는 희망의 마법 | <colbgcolor=#ffffff,#191919> 피닉스 |
후편 마법사의 진실 | 타키가와 소라 (그렘린 진화체) | |
특별편 마보석 세계의 이야기 | 아마담 | |
← 포제 분기별 보스ㆍ가이무 분기별 보스 → | }}}}}}}}} |
하루토가 속한 원래 세계가 아닌 다른 평행세계에 존재하는 괴인으로 그 정체는 과거에 죄를 짓고 마보석에 봉인당한 마법사. 그 때문에 현실 세계로 탈출해 복수하려고 했다.
그러나 꼬마 하루토의 힘으로 이 세계에서 가면라이더 가이무가 소환되고 니토의 반지를 넘겨받은 하루토가 아이들을 데리고 탈출하는 등 고생을 하였다(...) 그러다가 디케이드의 손을 빌려 결국 13개의 모든 가면라이더 링과 꼬마 하루토를 납치하는데 성공하고 가면라이더를 전부 소환해 위자드를 쓰러트리려고 했다.
하지만 모모타로스가 "그게 무슨 개풀 뜯어먹는 소리야, 너 바보 아냐? 우리가 아이들의 명령을 따른 건 반지의 힘 때문이 아냐. 우린 단지, 약한 자를 지킨 것 뿐이라고!"라는 일갈에 "이 꼬마는 괴인으로 변신할 존재다! 그것을 지키는 게 너희들의 정의냐?!"라고 반박해 보지만 카도야 츠카사가 "어떤 녀석이 그러더군. 우린 말이야. 정의를 위해 싸우는 것이 아니야. 우리는 인간의 자유를 위해 싸우는 거지!"라며 반박한다.
결국 아마담은 "뭐야?! 네 녀석들이 대체! 뭔데 그래?!"며 멘붕하고 츠카사는 늘 그랬던 것처럼 "그냥 지나가던 가면라이더다! 잘 기억해둬라!"라며 변신하고 아마담은 괴인들을 소환시키지만 괴인들이 전부 라이더들에게 격퇴당하고 결국 아마담이 직접 괴인으로 변신해 라이더들을 상대한다.
그리고 괴인들의 힘의 근원이 전부 아마담의 몸 속에 있기 때문에 가이아 메모리, 오 메달, 아스트로 스위치, 젝터, 라우즈 카드, 영석 아마담
|
아마담의 최후 |
3. 코스프레
코스프레 | |||
<colbgcolor=white,#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시로 | |||
| |||
갈라 | |||
| |||
미미히코 | |||
| |||
슈퍼 동자 | |||
| |||
가오 | }}}}}}}}} |
4. 괴인체
<colbgcolor=#000><colcolor=#b13> 아마담 アマダム|Amadam | |||
<bgcolor=white,#191919> | |||
신장 | 237cm | <colbgcolor=#000><colcolor=#b13> 체중 | 183kg |
특색/힘 | 지금까지 죽은 괴인들을 불러들일 수 있으며 라이더들의 능력을 흡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오, 실버라 등과 같은 죽은 악당들의 성격을 가져올 수 있다. |
5. 기타
- 원판에서는 이 아마담과 영석 아마담이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 불명인 채로 끝나는데 더빙판은 어째서인지 "모든 라이더는 아마담이라는 돌로 인해 태어났으며 자신은 아마담의 화신"이라는 식으로 번안해놓았다.[7]
- 본편에서 그가 가면라이더의 힘의 근원을 크로스 오브 파이어라고 칭했는데, 이 용어는 이후 일본에서 가면라이더의 클리셰를 설명할 때 쓰이게 된다.# 이름의 유래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초대 가면라이더를 구상할 당시 처음 낸 초안의 히어로 '크로스 파이어.'
[1] 가면라이더 THE NEXT에서 시저스재규어로 출연한 배우 사우스 파크 일본어판에서 게리슨 선생과 티미의 더빙을 맡은바 있다.[2] 역시 다른 세계의 코요미.[3] 가면라이더와 괴인의 힘의 근원이 같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말이 안 되는 것은 아닌 게 사실상 대부분의 라이더들이 적과 같은 근원을 가진 힘을 사용하고 있거나 사실상 적과 차이가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적인 그론기를 모티브로 만들었다는 의혹의 쿠우가를 시작으로 괴인이 힘의 원천인 사례(류우키, 덴오, 위자드 등), 적 조직이 만든 걸 탈취한 사례(1호, 파이즈, 디케이드, W 등) 이는 가면라이더 1호의 정체가 악의 조직인 쇼커의 힘으로 개조된 강화인간이라는 설정에서부터 전해져 내려온 유서 깊은 전통에 의거한 것이다.[4] 쿠우가와 오즈는 궁극 폼으로 변신하였다.[5] 이때 각 라이더들의 킥을 통상 각력으로만 합쳐서 봐도 무려 418.8t 이라는 수치가 나온다.[6] 실제로 가면라이더의 힘의 근원과 악역의 힘의 근원이 같다는 것은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법칙 중 하나이다.[7] 헤이세이 라이더는 쿠우가로부터 시작되었으니 첫 번째는 얼추 들어맞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