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본 문서는 아랍어의 문법을 담은 문서다.2. 특징
대표적인 셈어파 언어이다. 어근을 바탕으로 주위에 모음이나 다른 자음을 더해 단어를 만들고 여러 기능을 덧붙인다. 장/단음 구분과 장/단자음 구분이 있으며, 단어의 기능에 큰 구분을 주는 경우도 많다. 명사와 형용사는 격, 성, 수, 한정성에 따라 변하며, 동사는 어근, 시제, 인칭, 수 등에 따라 변한다. 기본적으로 어순은 VSO를 따르나, 주어를 강조하기 위해 SVO 어순과 정관사 إنَّ[1]를 사용하기도 한다.3. 표기
아랍 문자를 사용해 표기하며, 쿠란이나 저학년 교과서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단모음 기호를 표기하는 경우가 적다. 그래서 기능이 다르고 발음이 다른데 같게 쓰이는 경우가 꽤 된다.정관사 ال은 ل부분의 발음이 바뀌어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2]
4. 형태론
원래 아랍어 문법에서는 품사를 명사, 동사, 불변사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렇게 배우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대체로 서양의 문법 체계에 맞추어 정리된 문법 체계로 배운 후, 중급~고급 단계에 들어가서 명사, 동사, 불변사로 구분하는 원래 아랍어 문법 체계를 다시 배우는 편이다. 예를 들어 초급~중급 단계에서 전치사라고 뭉뚱그려 배웠던 것들을 중급~고급 단계 들어가서는 명사를 다른 명사와 연결형을 이루고 이를 대격을 취하는 것인지, 처음부터 불변사인지 구분해서 배우는 식.품사를 명사, 동사, 불변사로 구분하며 3개로 구분하는 언어는 지구상의 주요 언어들 중에선 아랍어밖에 없다고 한다.
5. 관사
아랍어의 유일한 정관사이자 유일한 관사는 ال이다. 아랍어는 영어의 a/an의 역할을 단어를 굴절시키는 것으로 대체하고, 영어의 the 정도 되는 ال 만을 사용한다.[3] 관사로써 사용되는 ال은 뒤에 붙는 단어의 성이나 수, 격 등의 문법적 기능을 변화시키지 않지만, 극히 일부의 경우에는 동사를 형용사로 변환시키는데 쓰일 수도 있다.[4]ال의 ل의 원래 발음은 /l/이지만,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 음이 바뀌기도 한다. 해 문자와 달 문자 참조.
ال이 주로 사용되는 곳은 명사 앞이다. 명사의 문법적 기능과는 상관없이 붙일 수 있는데, 일부 예외가 있다.
5.1. 한정성
정관사 ال은 한정되지 않는 명사에는 붙일 수 없다.[5][6]정관사 ال은 또한 이미 한정된 명사에는 붙일 수 없다.[7] 그러나 이에 예외가 있는데, 바로 이름들과 관계대명사 الذي 앞에서는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5.2. 관형격 구성
ال은 관형격 구성(소유격 구성)에서 소유되는 명사(non-final nouns)에는 사용할 수 없다.[8]예를 들어, The city's streets(شوارع المدينة) 이라는 문장에서 Streets(شوارع)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말만 어려울 뿐 영어와 비슷하다.
물론 예외가 있는데, 첫 번째 병사가 분사이고 두 번째 명사가 그의 목적어일 때는 사용이 가능하다.[9][10] 시에서는 허용되는 경우도 있다.[11][12]
5.3. 호격
Basra school of classical grammar에 따르면, ال은 호명 시에 사용해서는 안된다.예) يا الرجل 오 남성이여 X
그곳에선 이 규칙에 두 가지 예외를 두는데, 하나는 알라(الله)를 부를 때[13]이고, 다른 하나는 이미 이름에 ال이 포함된 경우이다.
6. 명사
6.1. 명사의 수
아랍어는 명사는 단수, 양수[14], 복수로 구분한다. 단수와 양수는 규칙적이기에 문제가 별로 없지만 복수는 대부분이 깨진 복수형(broken plural)이라 불리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특유의 불규칙 활용으로 나타난다. 완전한 복수형(sound plural)은 어미를 더하는 식으로 표현되고, 한 어근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깨진 복수형은 어근 자체가 다른 것처럼 취급된다. 깨진 복수형은 단어의 구성요소들을 변화시켜서 표현하기에 얼핏 보면 한 단어의 복수형과 단수형이 아닌 같은 단어의 다른 용법처럼 보이는 것.예) كِتَاب (책) 의 복수형 كُتُب 은 복수형이지만 마치 다른 어근의 단수형인것처럼 용법에 따라 변화시킨다.[15]
70개 이상의 깨진 복수형 형태가 있지만 그 중 31개만 범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전부 외워야 된다. 아랍어의 난이도를 미친듯이 끌어올리는 주범.
6.2. 명사의 성
아랍어에는 남성명사와 여성명사가 있다. 살아있는 물체는 그 물체의 성을 따라가고, 살아있지 않은 물체는 대부분 패턴이 없이 성이 정해진다.대부분의 여성명사는 ـَة -at- 로 끝난다. 여성명사를 만들 때 쓰이는 ة는 '묶인 T(tied T)' 라는 특수형태의 글자이다. ه -h- 에다가 ت -t- 의 두 점을 붙인 것으로, 말의 끝에서 -at- 가 -ah- 로 발음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말의 끝은 단어나 문장의 끝이 아닌 화자가 말을 멈추는 곳을 의미한다. 한 단어 한 단어 끊어서 읽는다면 전부 -ah-로 발음되는 것이다.
ـَة 형태로 끝나는 여성명사는 ا를 어미에 붙혀 비한정 목적격을 부여할 수 없다. 아들을 뜻하는 اِبْنًا 는 단어 끝에 ا가 붙지만, 딸을 뜻하는 اِبْنَةً 는 붙지 않는 것이 그 때문.
수사에서는 반대로 ة 가 붙은 형태가 남성형이다. 그리고 أساتذة (교수들) 처럼 ة가 접미되었는데도 남성인 단어가 몇 개 있다.
6.3. 명사의 한정성
아랍어는 명사의 한정성을 구분한다. 주로 한정명사는 정관사 ال 을 통해, 비한정명사는 어미 -n 을 통해 표시된다.6.4. 명사의 피소유형
아랍어 등의 셈어파 언어들에만 존재하는 피소유형이라는 것이 있다. 영어로 생각하면 Jack's apple 에서의 's apple 이 그것이라 보면 되는데, 부정관사가 없는 셈어파 언어들이 영어의 's 대신에 단어를 변형시켜 표현하는 것이다.예)بِنْتُ ٱلْمَلِكَةِ (여왕의 딸) 에서의 بِنْتُ 는 피소유형을 띈다.
단어 뒤에 소유격 어미가 부착되는 경우에도 피소유형을 띄어야 한다.
예) بِنْتُهَا (그녀의 딸) 에서 bintu(피소유형) + hā(어미) 형태로 나타난다.
비한정명사가 다른 명사에 의해 변화될 때에는 피소유형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بِنْتٌ لِلْمَلِكَةِ (여왕에게의 딸) 형식의 구성이 사용된다.
6.5. 형용사의 명사동의
형용사들은 보통 수식하는 명사와 성, 수, 격 등에서 동의하는 형태를 띈다. 하나 예외가 있는데, 살아있지 않은 복수명사에는 여성단수 형태로 동의한다. 이 규칙은 다른 모든 규칙들보다 우선적으로, 원래의 성이나 수 등을 무시하고,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7. 대명사
아랍어의 인칭대명사는 12형태가 있다. 2인칭과 3인칭 단수와 복수에는 독립된 남성/여성형이 있다.인칭 | 단수 | 양수 | 복수 | 성 |
1인칭 | anā | naḥnu | 없음 | |
2인칭 | anta anti | antumā | antum antunna | 남성 여성 |
3인칭 | huwa hiya | humā | hum hunna | 남성 여성 |
7.1. 후접어
1인칭 단수를 제외한 아랍어의 대명사들은 소유/피소유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하나의 후접어 형태가 있다. 피소유형 뒤에 붙은 후접대명사는 소유의 뜻을 가지고, 전치자 뒤에 붙은 것은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동사 뒤에 붙은 후접대명사는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접속사나 관사 뒤에 붙은 것은 목적대명사 역할을 한다.인칭 | 단수 | 양수 | 복수 | 성 |
1인칭 | -ī, -ya (주어) -nī (목적어) | -nā | 없음 | |
2인칭 | -ka -ki | -kumā | -kum -kunna | 남성 여성 |
3인칭 | -hu, -hi -hā | -humā, -himā | -hum, -him -hunna, -hinna | 남성 여성 |
예) دُنْيَا (세상) -> دُنْيَايَ
어미가 -tum 꼴인 2인칭 남성 복수 과거형 동사
몇몇 전치사들은 후접대명사가 부착될 때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는데, 하필이면 걔네들에 정말 많이 쓰이는 li-(to ~) 가 들어있다.
7.2. 지시대명사
아랍어에는 '이것'과 '저것' 두 개의 지시대명사가 있다.이것 | ||||
성 | 단수 | 양수 | 복수 | |
남성 | 주격 목적격/소유격 | hādhā | hādhāni hādhayni | hā’ulā’i |
여성 | 주격 목적격/소유격 | hādhihī | hātāni hātayni | hā’ulā’i |
저것 | ||||
성 | 단수 | 양수 | 복수 | |
남성 | 주격 목적격/소유격 | dhālika, dhāka | dhānika dhaynika | ulā’ika |
여성 | 주격 목적격/소유격 | tilka | tānika taynika | ulā’ika |
이들 중 hādhā, hādhihi, hādhāni, hādhayni, hā’ulā’i, dhālika, 그리고 ulā’ika는 글로 적을 때 장음 a(ا)를 표시하지 않지만 발음은 그렇게 하는데, 이유는 ـٰ라는 기호 때문이다. 여담으로 아랍어 타자기에도 없고 현실에서도 생략하는 이 기호는 사실 이슬람의 신 الله 에 쓰인다!
쿠란식 아랍어에는 세번째 지시대명사가 있는데, '~의 주인인(owner of~)'이라는 뜻이었다.
owner of~~ | ||||||
수 | 남성 | 여성 | ||||
격 | 주격 | 목적격 | 소유격 | 주격 | 목적격 | 소유격 |
단수 | dhū | dhā | dhī | dhātu | dhāta | dhāti |
양수 | dhawā | dhaway | dhawātā | dhawātay | ||
복수 | dhawū, ulū | dhawī, ulī | dhawātu, ulātu | dhawāti, ulāti |
8. 동사
8.1. 동사 활용
아랍어 동사 활용(Arabic verb conjugation)은 아랍어 문법 체계의 핵심 요소로, 동사가 주어의 인칭, 수, 성, 그리고 동사의 시제, 법, 태에 따라 형태를 바꾸는 복잡하고 정교한 형태론적 시스템을 의미한다. 특히 문어체인 표준 아랍어(Modern Standard Arabic, MSA)에서 이러한 활용 체계는 매우 발달해 있으며, 아랍어 학습의 주요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활용의 기본 요소: 표준 아랍어에서 동사는 다음과 같은 문법 범주에 따라 활용된다.
- 인칭 (Person): 1인칭 (화자), 2인칭 (청자), 3인칭 (그 외)
- 수 (Number): 단수 (singular), 쌍수 (dual), 복수 (plural)
- 아랍어에서는 쌍수가 있어 동사의 활용으로 "كتبا [katabā] (그 남자 두 명이 썼다)"라는 표현이 가능하다. 현대 구어체(방언)에서는 사용 빈도가 줄어들거나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 성 (Gender): 남성 (masculine), 여성 (feminine) - (1인칭 제외)
- 시제/법 (Tense/Aspect/Mood): 완료 (perfect), 미완료 (imperfect - 직설법, 접속법, 명령법/단축법 포함), 명령 (imperative) 등
- 완료와 미완료는 의미상 각각 '끝남(과거의 일 등)', '끝나지 않음'으로 대략적으로 구분된다.
- 태 (Voice): 능동태 (active, معلوم [maʿlūm]), 수동태 (passive, مجهول [majhūl])
다음과 같은 여러 시스템이 상호작용한다.
- 동사 파생형 (Derived Forms / أبواب الفعل [abwāb al-fiʿl])
- 아랍어 동사는 기본형(제1형) 외에, 3자음 어근(root)에 특정 패턴(모음 변화, 자음 중복, 접사 추가 등)을 적용하여 의미나 용법이 변화된 파생형 동사들을 가진다.
- 일반적으로 제1형부터 제10형까지가 빈번하게 사용되며 교육 과정에서도 주로 다루어진다.
- 이론적으로는 제15형까지 존재하지만, 제11형부터 제15형까지는 사용 빈도가 매우 낮고 해당 어휘도 제한적이다. 각 파생형은 고유한 활용 패턴을 따른다.
- 어근 구조에 따른 동사 분류
- 강동사 (Sound Verb, الفعل الصحيح السالم [al-fiʿl aṣ-ṣaḥīḥ as-sālim]): 세 개의 어근 자음이 모두 약자음(و [w], ي [y])이나 함자(ء [ʼ])가 아니며, 중복되지 않는 동사이다. 가장 규칙적인 활용을 보인다.
- 약동사 (Weak Verb, الفعل المعتل [al-fiʿl al-muʿtall]): 어근 자음 중 하나 이상이 약자음(و [w], ي [y])인 동사이다. 약자음의 위치(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에 따라 활용 규칙이 달라진다 (예: مثال [mithāl], أجوف [ajwaf], ناقص [nāqiṣ]). 두 개의 약자음을 포함하는 동사(لفيف [lafīf])도 있다.
- 함자동사 (Hamzated Verb, الفعل المهموز [al-fiʿl al-mahmūz]): 어근 자음 중 하나가 함자(ء [ʼ])인 동사이다. 함자의 위치에 따라 활용 시 음운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 중자음동사 (Doubled Verb, الفعل المضعّف [al-fiʿl al-muḍaʿʿaf]): 어근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자음이 동일한 동사이다. 특정 활용형에서 두 자음이 합쳐지거나 분리되는 변화를 겪는다.
- 4자음 동사 (Quadriliteral Verb, الفعل الرباعي [al-fiʿl ar-rubāʿī]): 어근이 네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동사들도 존재한다. 이들은 별도의 파생형 체계(일반적으로 1형~4형)를 가진다.
현대 아랍어 구어체(방언)에서는 표준 아랍어의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가 상당 부분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다. 쌍수 활용이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소멸된 경우가 많다. 여성 복수 인칭 활용이 남성 복수 인칭으로 통합되기도 한다. 사용되는 시제나 법의 종류가 줄어든다.
일부 방언에서는 특정 동사 활용 대신 능동 분사(اسم فاعل [ism fāʿil])를 사용하여 현재 진행 또는 상태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성(남성/여성)에 따른 변화만 고려하면 되는 등 활용이 간소화된다.
예)
영어: I eat, he eats, she eats...
프랑스어: je mange, ils mangent, vous mangez...
표준 아랍어: نحن نأكل، أنتم تأكلون، أنا آكل...[18]
이집트 아랍어(방언): 먹다의 동명사 형태인 aakul만으로 나(ana) 당신(inta), 우리(ihna) 등 모든 인칭을 나타낼 수 있다.
9. 수사
아랍어의 수들은 굉장히 복잡한 식으로 작동한다.9.1. 기수
아랍어에선 수 1과 2가 형용사이다. 명사 뒤를 따르며, 명사의 성, 격 등과 동의해야 한다.3 부터 10 까지는 명사 앞에 오며, 뒤따르는 명사가 소유형 복수 꼴로 있어야 되지만 성별은 반대여야 한다. 또한 명사는 주위 단어들로 결정되는 격과 한정성을 따라야 한다.
11부터 19까지는 따르는 명사가 피소유형 단수 꼴로 있어야 되고, 성을 동의해야 하며, 나머지는 변하지 않는다.
숫자 | |||||||||
0 ٠ | ṣifr(un) (صِفْرٌ) | 1 ١ | wāḥid(un) (واحِدٌ) | 2 ٢ | ithnān(i) (اِثْنانِ) | 3 ٣ | thalātha(tun) (ثَلاثةٌ) | 4 ٤ | arba‘a(tun) (أَرْبَعةٌ) |
5 ٥ | khamsa(tun) (خَمْسةٌ) | 6 ٦ | sitta(tun) (سِتّةٌ) | 7 ٧ | sab‘a(tun) (سَبْعةٌ) | 8 ٨ | thamāniya(tun) (ثَمَانِيةٌ) | 9 ٩ | tis‘a(tun) (تِسْعةٌ) |
10 ١٠ | ‘ashara(tun) (عَشَرةٌ) (여성형 ‘ashr(un) عَشْرٌ) |
여기에서 1 부터 20까지의 숫자를 설명해준다(영어)
9.2. 서수
"두번째" 후의 아랍어 서수들은 기수들을 동사 1형처럼 변화시켜서 만든다.순서 | 남성 | 여성 |
1 | أَوَّلُ awwalu | أُولَى ūlá |
2 | ثَانٍ thānin (한정형: اَلثَّانِيُ al-thānī) | ثَانِيَةٌ thāniyatun |
3 | ثالِثٌ thālithun | ثالِثةٌ thālithatun |
4 | رابِعٌ rābi‘un | رابِعةٌ rābi‘atun |
5 | خامِسٌ khāmisun | خامِسةٌ khāmisatun |
6 | سادِسٌ sādisun | سادِسةٌ sādisatun |
7 | سَابِعٌ sābi‘un | سابِعةٌ sābi‘atun |
8 | ثامِنٌ thāminun | ثامِنةٌ thāminatun |
9 | تاسِعٌ tāsi‘un | تاسِعةٌ tāsi‘atun |
10 | عاشِرٌ ‘āshirun | عاشِرةٌ ‘āshiratun |
서수들은 형용사이기 때문에 명사의 성과 동의한다.
[1] ʼinna 또는 인나 라고 읽음[2] النيل an-nīl 처럼[3] 한정성이 없는 단어를 한정시키는 역할을 한다[4] Al-mu‘jam Ul-waṣīt, rev. 3, vol. 1, p. 23, entry: ("Al-أل")[5] 누구, 무엇, 어디 같은 것들[6] 예시: المَن = ال + مَن (ال + 누구) 따라서 성립 X[7] 대명사, 관계대명사 등[8] ‘Abd Allāh ibn ‘Aqīl (1998), v. 2 p. 47[9] 5가지의 조건이 모두 성립해야만 가능한 굉장히 깊고 어려운 사용법이다.[10] Ibn Hishām (2001), p. 379[11] مِن القوم الرسولُ الله منهم – لهم دانَتْ رِقابُ بني مَعَدٍّ[12] Jamīl Shāmi (1992), p. 107[13] 함자의 포함 유무는 상관 X[14] 두 개[15] كُتُبٌ, كُتُباً, كُتُبٍ 등[16] -a, -ā, -u, -ū, -aw[17] -i, -ī, -ay[18] 'anā 'ākulu, 'antum ta'kulūna, naħnu na'kulu...[19] 아랍어는 자체 숫자가 있고, 아라비아 숫자처럼 우서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