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쌍형어(雙形語, doublet)는 같은 언어에서 형태는 다르지만 동일한 어원에서 변화한 단어들의 묶음을 말한다. 동원어의 일종이다.쌍형어가 생기는 원인은 다양하나, 대표적인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하나는 외부로부터의 유입 없이, 같은 언어에서 하나의 단어가 모종의 이유로 두 형태로 갈려 의미가 분화한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다른 언어에 속하지만 어원을 공유하는 두 단어가 있는데, 한쪽의 단어가 다른 한쪽으로 외래어로서 흡수되었다가 정착한 경우다.[1]
2. 예시
2.1. 한국어
- 가르치다, 가리키다
- 늙다, 낡다
- 머리, 마리
- 먹다, 먹이, 머금다, 모금('한 모금', '두 모금' 등)
- 나다, 내다, 내('향내', '풋내' 등), 내음, 냄새
- 놀다, 놀이, 노래, 노름
- 먹, 묵(墨)
- 말, 말(馬)
2.2. 영어
- an, one
- beef, cow
- brotherhood, fraternity - 정확히는 brother-, frater- 부분.
- chief, chef, cape, head[2]
- flour, flower
- garden, yard
- guarantee, warranty
- guest, host[3]
- hospital, hostel, hotel[4]
- sauce, salsa
- secure, sure
- shirt, skirt
- catch, chase
- zero, cipher[5]
2.3. 일본어
- 일본 한자음의 오음, 한음, 당음, 관용음
- たっとい, とうとい
2.4. 중국어
[1] 후자의 예로 미쉐린-미슐랭이 있다. 둘 다 타이어 제조 회사인 미쉐린에서 왔으나 '미쉐린'은 본디 의미인 타이어 회사로서, '미슐랭'은 음식점 관련 맥락으로 쓰인다. 아래에 제시된 예시 중 영어의 cow-beef(전자는 원래 영어에 있던 단어이고 후자는 동원어 관계인 프랑스어 단어를 차용)나 문백이독 현상이 있는 많은 중국어 방언의 한자 독음(백독은 원래 그 방언에 있던 단어이고, 문독은 중고한어나 관화 등의 발음에 기인한 독음)도 후자에 해당하는 예시이다.[2] 앞의 세 어휘는 머리를 뜻하는 라틴어 caput에서 분화한 고대 프랑스어 어휘에서 갈라져 나온 어휘이고, head는 원래부터 영어에 있던 어휘이다. caput, head 모두 인도유럽조어로 머리를 뜻하는 *káput에서 유래했다. 발음이 꽤 이질적이라서 어원이 같다고 인지하기 어렵지만, 인도유럽조어의 *k가 게르만어에서는 마찰음화를 거쳐 /h/로 발음이 변했기 때문에(그림의 법칙 참고) 라틴어나 로망스어군의 c는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h로 대응되는 경우가 흔하다.[3] 전자는 원래 영어에 있던 어휘, 후자는 고대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어휘이다. 인도유럽조어의 *gʰ가 게르만조어에서는 /g/ 이탈리아조어(이탈리아어파의 조상언어)에서는 /h/로 변화했기 때문에 첫 자음이 g/h로 갈리게 되었다.[4] 셋 다 프랑스어 기원의 어휘인데 이 경우는 프랑스어 자체의 언어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 라틴어 hospitālis에서 중세 프랑스어 hospital과 hostel이 분화되었고 이 두 어휘가 각각 영어에 차용되었는데, 이후 프랑스어에서 어중의 s가 묵음화되어 이들이 hôpital과 hôtel로 변했고, hotel은 발음과 표기가 변한 현대 프랑스어 어휘를 다시 차용해 온 어휘이다. 따라서 hospital-hostel 짝은 쌍형어 관계인 프랑스어 어휘를 모두 차용해서 생긴 쌍형어이고, hostel-hotel 짝은 어원은 같으나 프랑스어 자체의 음운변화 및 영어에 유입된 시기의 차이로 인해 생겨난 쌍형어이다.[5] 두 어휘 모두 0, 또는 '비었다'를 뜻하는 아랍어 صِفْر가 어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