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종교 정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창당) | → | 진리평화당 | → | '''''' (당명 변경) | ||||
(개별 합류)[1] | |||||||||
(개별 합류)[A] | |||||||||
공명민주당 (개별 합류)[3] | → | (개별 합류)[B] |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개별 합류)[B] | |||||||||
[[신민주당(1993년)| 진리평화당 ]](당명 변경) | → | 신민주당 | → | (당명 변경) | |||||
→ | [[공화당(1997년)| 공화당 ]](개별 합류)[A] | ||||||||
'''''' (당명 변경) | → | 통일한국당 | → | (해산) | |||||
한주의통일한국당 (개별 합류)[7] | → | → | (개별 합류)[C] | ||||||
민족진보당 (창당준비위원회)[C] | → |
진리평화당 (眞理平和黨) (1992 ~ 1993) | |
신민주당 (新民主黨) (1993 ~ 1995) | |
통일한국당 (統一韓國黨) (1995 ~ 2004) | |
<colcolor=#2050ac> 등록 약칭 | <colbgcolor=#fff>한국당 (韓國黨) (1995.4.1.~2004.2.13.) |
등록번호 | 제59호 |
등록연월일 | 1992년 11월 6일 (진리평화당) |
당명 변경 | 1993년 1월 18일 (신민주당) 1995년 4월 1일 (통일한국당) |
말소연월일 | 2004년 2월 13일 (자진해산) |
주소 | |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31길 41 (삼전동 111-7, 송화빌딩 3층) | |
총재 | 안광양 |
국회의원 | 0석 / 271석 (0%) |
광역자치단체장 | 0석 / 14석 (0%) |
기초자치단체장 | 0석 / 218석 (0%) |
당원 수 | 2,155명[10] |
정당보조금 | 0원 |
2004년 2월 13일 기준 |
1. 개요
진리평화당 / 신민주당 / 통일한국당은 대한민국에 1993년부터 2004년까지 11년 3개월 가량 존재했던 정당이다.2. 역사
2.1. 진리평화당
1992년에 허경영을 중심으로 '진리자유당' 창당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이후 '진리평화당'으로 이름을 바꾸어 창당되었다. 그러나 창당 초기부터 내홍이 생겼고, 당 임시전당대회에서 허경영 총재 불신임안이 의결되어 박종채 최고위원이 총재 권한대행을 맡게 된다.허경영은 제14대 대통령 선거 진리평화당 후보자였다.# 그러나 허경영의 대선 출마는 당권을 잃으면서 좌절되었고, 당에서는 후보자 등록 마감이 임박한 시점에서 현홍균 고문을 후보로 확정했으나, 이 또한 기탁금 3억원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무산되었다.#
2.2. 신민주당
박종채 총재 권한대행은 제14대 대통령 선거 이후 사임하였고, 사법서사 출신에 불민당-신민주당 총재였던 염종훈이 총재가 되었다. 얼마 후에는 당명을 '신민주당'으로 바꾸었는데, 이는 염종훈이 중심이었던 과거 신민주당으로 회귀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11]1994년에도 지도부 변경이 잦았다. 4월에 염종훈이 사임하고 공명민주당 사무총장이었던 노해택이 권한대행을 맡았으며, 임시전당대회로 정대영이 총재로 선출되었지만, 얼마 못 가고 5월에 사임하면서 다시 노해택이 총재를 맡기도 했다.
2.3. 통일한국당
1995년에는 '통일한국당'으로 당명이 바뀌었다. 그리고 1996년에는 13대 대선에 출마했던 한얼교 창시자 신정일이 새 총재이자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12] 이로 인해 신정일은 과거 총재였던 허경영과 15대 대선에서 맞붙게 된다. 신정일은 대선에서 5위로 낙선하였고, 1998년 12월에는 노해택이 대표자 자리에 복귀하였다.1999년 9월에는 안광양이 총재가 되었다. 2002년 3월 15일, 안광양 총재는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출마를 선언하여 통일한국당 대통령 후보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11월 27일에 출마를 포기하고 한나라당 소속 이회창 후보를 지지 선언하였다. #
2004년 2월 13일, 자진 해산했다. 그리고 해산 당시 대표였던 안광양은 2007년에 '통일한국당'을 재창당한다.
3. 역대 지도부
- 대표자
- 1대 허경영 (1992-11-06 ~ 1992-12-09)
- 권한대행 박종채 (1992-12-09 ~ 1992-12-29)
- 2대 염종훈 (1992-12-29 ~ 1994-04-13)
- 권한대행 노해택 (1994-04-13 ~ 1994-05-06)
- 3대 정대영 (1994-05-06 ~ 1994-05-27)
- 4대 노해택 (1994-05-27 ~ 1996-01-31)
- 5대 신정일 (1996-01-31 ~ 1996-02-22)
- 6대 노해택 (1996-02-22 ~ 1996-03-05)
- 7대 신정일 (1996-03-05 ~ 1998-12-23)
- 8대 노해택 (1998-12-23 ~ 2000-09-05)
- 9대 안광양 (2000-09-05 ~ 2004-02-13)
4. 선거 결과
11년의 존속 기간 중에서 참여한 선거는 얼마 되지 않는다. 총선에는 아예 참여하지 않았다.[13]4.1. 대통령 선거
<rowcolor=#fff> 연도 | 선거명 | 후보자 | 득표수 (득표율) | 결과 |
1997 | 15대 | 신정일 | 61,056 (0.23%) | 낙선 (5위) |
4.2. 전국동시지방선거
<rowcolor=#fff> 연도 | 선거명 | 광역단체장 (비율) |
1995년 | 1회 | 0 / 15 (0%) |
5. 기타
- 당의 존속 기간이 상당히 길다. 군소정당임에도 불구하고 11년 3개월을 존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