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4 22:58:40

시마무라 하루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f0124><tablebgcolor=#df0124> 파일: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엠블럼.svg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2025-26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colbgcolor=#df0124><colcolor=#fff> 감독 장소연
코치 이용희 · 박성수 · 신으뜸 · 한유미 · 남한별 · 권준형
스태프 이주원 · 김고은 · 한지홍 · 김영오 · 노지민 · 장유빈
아웃사이드 히터 10 박정아 · 12 박경현 · 13 박은서 · 16 이한비 · 17 고예림 [[주장|
C
]] · 20 전하리
아포짓 스파이커 7 조이
미들 블로커 1 오은채 · 5 임주은 · 8 박연화 · 11 시마무라 · 18 김서영 · 77 하혜진
세터 15 박수빈 · 19 박사랑 · 23 이원정
리베로 2 이주현 · 4 한다혜 · 6 김민지 · 24 정솔민
타 V-리그 여자부 구단 명단
}}}}}}}}}}}}}}} ||
시마무라 하루요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f0124><tablebgcolor=#df0124> 파일: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엠블럼.svg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역대 아시아 쿼터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ddd
<rowcolor=#fff> 2023-24 2024-25 2025-26
필립스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
장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와일러[1]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시마무라[3]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1] 시즌 전 방출 | [2] 시즌 중 방출 | [3] 대체 영입
| [4] 일시 대체 영입 | [5] 일시 대체 영입 후 정식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
}}}}}}}}}}}}}}} ||

시마무라 하루요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등번호 11번
채선아
(2023~2025)
시마무라
(2025~ )
현역
}}} ||
}}} ||
파일:시마무라 2025 페퍼저축은행.webp
<colbgcolor=#df0124><colcolor=#ffffff>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No.11
'''시마무라 하루요
Shimamura Haruyo | [ruby(島村, ruby=しまむら)] [ruby(春世
, ruby=はるよ)]'''
출생 1992년 3월 4일 ([age(1992-03-04)]세)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2cm | 79kg
포지션 미들 블로커
학력 가마쿠라시립 요코에 초등학교 (졸업)
가마쿠라시립 요코에 중학교 (졸업)[1]
가와사키시립 타치바나 고등학교 (졸업)
배구입문 초등학교 4학년[2]
국가대표 일본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13~ )
소속 구단 NEC 레드 로켓츠 가와사키 (2010~2025)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2025~ )
애칭 John[3]
응원가 Bo Peep Bo Peep - 티아라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소속 일본 국적의 배구 선수. 포지션은 미들 블로커.

2. 선수 경력

2.1.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2025년 5월 13일 부상으로 낙마한 스테파니 와일러의 대체 선수로 지명되어 페퍼저축은행에 입단하게 되었다. 무려 일본 국가대표 주전 미들블로커이기에 기대를 모았으며, 현재까지 온 아시아쿼터 중에서는 최상급의 네임드를 자랑한다.[4]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한 뒤 9월 12일 입국했다.

2.1.1. 2025-26 시즌

1라운드 개막전 첫 경기 한국도로공사전에 풀타임으로 뛰면서 데뷔전을 치뤘다. 공격적인 스타일의 미들로 19득점(공성 50%)을 올리며 개막전 풀세트 접전끝에 팀이 승리하는데 큰 일조를하였다. 수비에선 블로킹 3개를 기록하고 유효블록 10개로 상대의 공격을 적절하게 차단하면서 공.수 겸장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2nd 기업은행전에선 14득점을 올리며 고군분투를했지만 수비가 불안한 팀의 리시브진 때문에 1세트 이후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팀의 패배를 막지못했다. 외국인 선수인 OP 조이가 부상으로 두 경기 연속 결장하면서 혼자 팀을 이끌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3. 플레이 스타일

학창 시절부터 OH, OP 포지션을 모두 경험해 봐서 그런지 상당히 공격적인 스타일의 스코어러형 미들 블로커이다. 이동공격이 장점으로 특기로는 옆으로 달리면서 치는 속공으로 이건 알면서도 막기 힘들 정도로 일본 리그 시절 내내 쏠쏠히 잘 써먹었을 정도이다.
파일:시마무라 이동간퀵.gif

파일:시마무라측면1.gif
이동간 속공 공격[5]

이동 공격에 더해, A퀵이나 B퀵에서도 안정된 결정율을 자랑하는 것이 시마무라 하루요의 강점이다.[6] 세터와의 호흡만 좋으면, 경기 중에도 속공의 선택지가 풍부해지면서 공격 패턴이 단조롭지가 않다. 빠른 이동 공격을 능숙하게 해내면서 상대 블로커에게 「다음은 어디에서 오는지 모른다」라고 하는 압박을 계속 주고 있다. 이런 공격 스타일로 SV.리그 24-25시즌 공격 성공률 48.5%로 리그 3위에 오를 정도의 기량을 보여줬다.

수비에서도 리그 평균 이상을 보여주고 있다. SV 리그 2024-25 시즌에 총 84개의 블로킹을 기록했으며, 이는 세트당 0.57개를 차단한 기록으로 이 기록은 SV. 리그 24-25시즌 블로킹 랭킹에서 8위의 성적이다. 종합하자면 탄탄한 기본기에 공격 수비 모두 잘하는 육각형의 선수로 일본 국가대표 미들 블로커다운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4. 여담

  • 일본 국가대표 출신이다.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8강 진출 확정을 앞두고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과 상대팀으로 만난 적이 있다.[7]
  • 1992년생 일본인 여성인데도 iPhone[8]이 아닌 삼성 갤럭시 유저로 2025년 기준 갤럭시 S23 Ultra를 사용 중이다. 스마트워치도 갤럭시 워치를 사용중이다.[9]
  • 형제가 5명으로 위로 언니 2명, 여동생, 남동생과 같이 9식구(조부모 포함) 대가족을 이루며 생활했었다. 형제가 많은 관계로 식사를 할때도 반찬은 큰 접시에 담아 뷔페식으로 나눠 먹었다고한다. 여동생인 시마무라 아이는 배구를 먼저 하고 있던 언니의 영향으로 프로에 진출하지 못했지만 대학때까지 배구선수 생활을 했었다.

5. 관련 문서


[1] 중학교에 입학했지만 배구부의 부원이 모자라 배구부가 휴부상태였다. 배구를 하고 싶다는 시마무라의 열의로 담당 선생님을 설득해 부원들을 직접 모집했다. 이렇게 1학년 7명과 2학년 1명을 모았고 부활동은 재계되었다. 거의 전원이 초보자라는 상태로 부가 시작되었고 결국 재학 중에는 대회를 나갈수 없었다. 하지만 시마무라는 현 선발로 대회에 출전했던 경험이 있다.#[2] 학교 배구선수 출신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배구를 시작했다.[3] 이 닉네임은 일본에서부터 계속 불리던 것으로, 올림픽 공식 프로필에 있을 정도이다. 애칭의 유례는 고등학교에 입학했을 때 당시 3학년 배구부 선배에게 '생김새가 존 같지 않아?'라는 말을 들은 것이 계기라고한다. 페퍼저축은행에서도 '존'이라는 애칭으로 계속 불리고있다.[4] 이런 선수가 왜 드래프트에서는 뽑히지 못했을까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미들 블로커 치고 낮은 신장 때문에 망설이던 팀이 많았기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5] 페이크와 잔발 스텝으로 들어가는게 백미이다.[6] 인터뷰에서 본인은 속공 공격이 빠른 스타일이 아니라고 말했지만 일본 리그 시절 기록만 봐도 빠른게 맞다.[7] 당시 5세트 14:12에서 14:16으로 대역전을 이끌어냈던 레전드 경기로, 이 경기로 인해 한국 여자배구가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8] 일본에서는 중년 이상도 남녀를 가리지 않고 아이폰을 많이 사용한다. 당장 흥국생명 감독인 요시하라 토모코 역시 시마무라에게 어머니뻘인 1970년생임에도 iPhone 및 Apple Watch 유저이다. 당연하지만 시마무라보다 7살 어린 토코쿠 레이나와 자스티스 야구치 역시 iPhone 유저이다.[9] 한국에서 생활하기 위해 갤럭시를 장만했다기에는 갤럭시 워치가 4~5로 추정되는데, 2021~2022년에 나온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