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소설 '스크리브너 바틀비'}}}에 대한 내용은 [[필경사 바틀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필경사 바틀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필경사 바틀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소설 '스크리브너 바틀비': }}}[[필경사 바틀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필경사 바틀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필경사 바틀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문서 작성 도구 |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476198,#476198> 워드 프로세서 | |
| 집필 특화 | ||
| 노트/메모 | ||
| 워크스페이스 | ||
| ||
스크리브너 로고.
1. 개요
스크리브너(Scrivener[1])는 긴 서류나 시나리오, 장편 소설 등 산문을 작성하는 것에 특화된 워드프로세서로, MS Word나 아래아 한글 같은 범용 워드프로세서보다는 Celtx나 Final Draft 같은 전문가용 소프트웨어를 목표로 제작되었다.개발사는 영국 소재의 Literature & Latte로, 개발자이자 작가인 Keith Blount가 MS Word와 Excel을 이용해 글을 쓰다가 기능에 문제를 느끼고 스스로 개발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세계 유수의 작가들이 사용하고 있다. 개발사에서는 단순한 워드프로세서가 아닌, '생산성 앱'이라는 범주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는 본래 macOS와 iOS의 애플리케이션 분류에서 따온 것이다.[2].
2. 구성
주력은 매킨토시 버전이며, 윈도우 버전은 일부 기능이 조금씩 뒤처져 추가된다. 완벽하진 않지만 메뉴 한글도 지원한다.스크리브너의 매력은 긴 글을 쓸 때인데, 자기가 작업한 모든 것을 이 프로그램 안에 다 집어넣을 수 있다. 사실 그렇게 만든 프로그램이기도 하고 말이다. 일단, 프로그램 자체적으로 아웃라이너 기능이 있어서 글을 작성시 아웃라인 형식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나무위키를 예로 든다면 마디마디 별로 글을 잘라 쓸 수 있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마디별로 쓴 글을 왼편에 보이는 Draft 아래에 폴더 형식으로 넣을 수 있다. 거기다가, Research 항목에는 글 쓰기에 필요한 모든 것을 다 집어넣을 수 있다. PDF 파일이든, 동영상이든, 오디오 파일이든, 텍스트 파일이든간에 다 집어넣어서 글 적는 데에 참고할 수 있으며, 또한 이것도 아웃라인화 할 수 있어서 정리하는 데에 꽤나 도움이 된다. 사실 이걸 노리고 만든 기능이다. 그래서 짧은 글보단, 여러 가지 참고해야 하며 또한 어느 정도 긴 글을 작성시 아주 편하다. 덕택에 맥에서 논문 쓰는 사람들 사이에선 신기로 모셔진다. 나머지 신기로는 Papers가 있지만, 지금은 영 그런 상태.
스크리브너가 기타 아웃라이너 지원 저작 SW에 비해 가진 강점이라면 좀 더 강화된 코르크보드[3] 기능이다. 논리전개를 재배열할 필요성이 있을 때 포스트잇 옮겨놓듯이 편하게 순서를 바꿀 수 있다.
글을 다 쓴 최종 결과물을 컴파일(Compile)하는 기능[4][5]을 가지고 있어서 많이 쓰는 워드, RTF, PDF 포맷 뿐만 아니라 마크다운, LaTeX 등의 추가 컨버팅이 필요한 별도 출력 형식도 지원 가능하다. 아래아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아 한글에서 읽을 수 있게 MS Word 파일로 불러와야 한다.
단점이라면 기능이 너무나도 많은 탓에 익히는 것만으로도 학습곡선이 많이 필요하다는 점. PDF파일로 뜨는 공식 매뉴얼이 800페이지가 넘는다. 80페이지가 아니라 800페이지다. 해외 리뷰들에서도 이 점을 많이 지적하고 있으며, 다른 워드프로세서나 문서작성 소프트웨어 중 학습이 많이 필요한 종류로 분류된다. 그래서 대부분의 유저들은(프로 작가들 포함) 자신들이 익힌 기능만 사용하는 게 대부분이다. 어지간한 경우 그 정도로도 충분하기도 하고... 또한 글 토막마다 오브젝트 인스펙터를 통해 여러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태깅이나 주석, 기타 등등을 응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으나 개인의 사용 목적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별 용도를 찾지 못한 사람에겐 어디에 쓰는지 모르겠는데 주석 넣는 텍스트 박스만 종류별로 엄청 많은, 뭐가 뭔지 모를 프로그램으로 보일 수도 있다.
3. 업데이트
2016년 7월 20일 드디어 iOS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가격은 21.99달러. 그러나 스냅샷 기능 등이 빠져있다. 드롭박스 동기화도 실시간 동기화가 아니라 프로젝트를 닫아야 업로드가 된다.2021년 3월 23일, 윈도우용 스크리브너3가 출시되었다. 가격은 한화 59900원이다. 17년 8월 20일 이후로 윈도우용 스크리브너를 구매한 사람은 무료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이전에 구매한 사람은 45% 할인 받을 수 있다. 무료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시리얼넘버가 필요하며, 업그레이드를 하면 스크리브너3용 시리얼이 무료로 재발급된다. 윈도우용 스크리브너는 2를 뛰어넘고 바로 3으로 넘어갔기에 많은 기능이 한번에 추가되었다고 한다.
4. 편의기능
글 작성하는데 편하라고 여러 양식들이 지정되어 있는데, 주로 정통 영문학 및 시나리오 작성법에 충실하기 때문에 템플릿이 한국어 사용자들에게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인터넷을 뒤져보면 사람들이 스크리브너 용으로 만든 템플릿을 다운받아서 쓸 수 있다. 정 아쉬우면 자신이 직접 만들어도 상관 없다.4.1. 상용구
윈도우 스크리브너 3 기준 파일-옵션-corrections에서 Enable additional substitutions와 Edit Substitutions를 이용하면 상용구의 사용이 가능하다.5. 구입 및 라이선스 팁
Nanowrimo라는 글쓰기 실천 사이트에서 아주 간단한 과제 보상으로 맥과 윈도우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50%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이 쿠폰은 적어도 2년간 계속 제공되어 왔으며 2022년에도 지속해서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스크리브너는 다른 소프트웨어 판매 사이트하고 다르게 결제시 달러 이외의 화폐를 받으므로 국가 설정에 따라 가격의 변동이 매우 크다. 상기한 50% 쿠폰을 적용하고 아르헨티나 페소로 결제시 약 26%의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참고로 결제사이트는 자국통화결제이므로 주의할 것.[7]메일과 관련된 레딧영상
- 애드가드로 유명한 StackSocial에서도 스크리브너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8] StackSocial에서는 라이선스 키 대신 쿠폰 코드를 제공하는데, 이 쿠폰 코드를 스크리브너 공식 홈페이지 결제 페이지에 입력하면 결제 금액이 0원으로 변경된다.이 블로그 포스트에 구체적인 구매 및 적용 과정이 스크린샷과 함께 자세히 안내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도 입점되어 있지만, 셰어웨어 버전으로 제공되며 정식 라이선스 키를 입력하면 정식판으로 전환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를 통한 자동 업데이트 지원이 그나마 장점이다.
- 설치 및 라이선스 활성화 시에는 관리자 권한(Administrator 계정)으로 실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는 스크리브너가 라이선스 패킷을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Windows의 보안 설정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 프로그램이 라이선스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라이선스를 분실한 경우, 해당 페이지에서링크 주문자 정보를 입력하면 라이선스를 복구할 수 있다.
6. 유사 툴
- 국내에서 제작된 아웃라이닝을 지원하는 저작용 소프트웨어로는 2008년 개발된 유키노 드림노트가 있다. 프로그램은 무료로 제공되며, 판타지 소설에 특화된 전용 기능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유연성이 다소 떨어지고, 비주얼 베이직 6 기반으로 개발된 탓에 출시된 지 오래되어 현재는 더 이상의 후속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유키노 드림노트의 후속작으로 폴더스토리와 폴더워크가 있다. 대신 이쪽은 인터넷 연결이 필수다.
- 소설 집필에 특화된 툴로는 노벨라가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이 프로그램은 맞춤법 교정 기능을 제공하지만, 스크리브너처럼 로컬이나 오프라인 작업은 지원하지 않는다. 대신, 연동성은 뛰어난 편이다.
- 웹소설 연재 갤러리의 한 유저가 만든 SSda라는 웹사이트도 있다. 타임라인, 장소, 캐릭터 등 설정 관련 기능이 많아 ‘유키노 드림노트’와 유사하지만, SSda는 온라인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아예 소설 집필 전용으로 개발된 뮤블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스크리브너처럼 로컬에 더해 실시간 클라우드 연동 모두 지원한다.[9] 작가라면 뮤블의 캔버스식 플롯 에디터와 위키 기능을 활용해 스크리브너의 아웃라이닝 기능을 상당 부분 대체할 수 있다.
[1] 본래 필경사(대서인)이라는 의미의 어휘이다.[2] 매킨토시용으로 개발되었기에 범주명 자체를 프로그램 종류에 써먹었다. 현재 윈도우, 리눅스, iOS 버전이 나왔다. 리눅스 버전의 경우엔 베타 딱지를 붙이고 있다.[3] 쪽지처럼 미리보기 상태로 순서 재배치[4] 간단하게 마디로 쓴 글들을 한 문서로 묶는다. 이것도 어느 것을 컴파일할 지 설정할 수 있다.[5] 이 컴파일 기능은 바인더에서 초안이라 불리는 삭제할 수 없는 특정 폴더에 들어가 있는 것들만 컴파일 가능하다. 그리고 초안에는 오로지 텍스트만 들어갈 수 있고 이미지나 pdf, 그외 텍스트 이외 파일들이 포함된 폴더나 문서는 초안에 넣을 수 없어서 그 파일들을 제외하기전엔 컴파일이 불가능하다. 사용할 때 유의.[6] 요약, 레이블, 작성단계, 메모, 사용자 정의 메타데이터, 참조 대상, 키워드, 해설/각주 등등... 솔직히 서로서로 뭐가 다른 건지 모를 정도. 결국 프로그램에서 이러라고 만든 기능을 배우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하면 그 중에 아무거나 기능상 그럴싸한 걸 골라서 사용하게 된다. 사용설명서에서도 그걸 권하고 있고 말이다.[7] 2025.04.01 만우절에 갑작스러운 메일과 함께 운영자의 영상이 올라왔다. Nanowrimo사이트 폐지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현시점 Nanowrimo사이트는 접속불가[8] 2025년 6월 12일 기준 최대 20% 할인 적용[9] 국내 집필용 프로그램 중에 로컬, 오프라인 작업이 가능한 건 유키노 드림노트랑 뮤블 두 가지뿐인데 유키노 드림노트는 최신 운영체제를 지원하지 않아 사실상 '뮤블'이 유일한 선택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