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싱가포르 해군| 싱가포르 해군 (1967~현재) ]]''' Republic of Singapore Navy | Angkatan Laut Republik Singapura | ||
<colbgcolor=#EE2536>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EE2536> ''' SSK ''' | 인빈시블급 | 아처급 | 챌린저급 | |
'''[[초계정| 초계정 ]]''' | PB | 센티넬급M | 피어리스급 | 팡리마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스위프트급 | 인디펜던스급(1970) | |
''' FIC ''' | FIC 145급 | CCL급 | SMC 2형 | SMC 1형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시 울프급 | ||
원양초계함 (OPV) | {포츠담급} | ||
[[초계함|''' 초계함 ''']] | ''' PCG ''' | 인디펜던스급(2017) | 빅토리급 | |
[[호위함|''' 호위함 ''']] | ''' FFG ''' | {MRCV 사업} | 포미더블급 | |
'''[[상륙함| 상륙함 ]]''' | '''[[LHD| LHD ]]''' | {JMMS 사업} | |
'''[[상륙수송선거함| LPD ]]''' | 인듀어런스급(2000) | ||
'''[[전차상륙함| LST ]]''' | 프리저번스 | 케언 힐급 | 인듀어런스급(1971) | ||
'''[[소해함| 소해함 ]]''' | ''' MCMV ''' | 베독급 | |
''' MSC ''' | 주피터급 | ||
''' 지원함 '''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 | 스위프트 레스큐 | |
''' 무인정 ''' | ''' USV ''' | 프로텍터급 | 비너스 16 | 스파르탄 스카웃 | 피라냐 | |
훈련함 | 멘토 | ||
※ 갈색 글자: 퇴역 함정 ※윗첨자M: 개장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Swift-Class Patrol Craft |
1. 개요
싱가포르 해군의 고속정. 총 12척이 건조되었다.2. 제원
스위프트급 고속정 Swift-Class Patrol Boat | |||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고속정 | ||
이전급 | 없음 | ||
다음급 | 피어리스급 초계정 | ||
기준배수량 | 불명 | ||
만재배수량 | 46.4톤 | ||
전장 | 22.7m | ||
전폭 | 6.2m | ||
흘수선 | 1.6m | ||
동력 | <colbgcolor=#eee> 방식 | 디젤 엔진 | |
기관 | 도이츠 SBA-16M816 디젤엔진 2기 (각 1,330BHP | 총 2,660BHP) | ||
추진 | 프로펠러 샤프트 2기 | ||
속도 | 33노트 (61km/h) | ||
항속거리 | 10노트 순항시 1,700km | ||
승무원 | 승조원 12명 | ||
''' 레이더 ''' | 항법 | 데카 TM1226 항법 레이더 1기 | |
무장 | ''' 기관포 ''' | 오리콘 GAM-B01 기관포 마운트 1개소 ┗ 오리콘 KAA 20mm 85구경장 기관포 | |
기타 | M2HB 12.7mm 중기관총 4정 |
3. 상세
1970년대 후반, 싱가포르 해군의 전력이 확장되고 있을때 해안감시 및 순찰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담 플랫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필요는 특히 1975년 썬더스톰 작전 당시 두드러졌는데, 싱가포르 해군은 남베트남 보트피플들이 싱가포르에 상륙하려는 것을 저지하고 해상 구호활동을 하기 위해 시 울프급 미사일 고속정을 동원하였다. 이는 중요한 대수상 타격 자산을 잡무로 돌린 것이기 때문에 작전상 비효율적이라고 판단되었다.이에 호주의 드 해빌랜드 카프리코니아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알루미늄 선체 해안 순찰정(Coastal Patrol Craft, CPC) 12척 건조 계약이 STM과 체결되어 초도함인 RSS 스위프트 나이트가 1980년에 진수되었고, 다른 자매함들도 연달아 완공되어 모두 1981년에 취역하였다.
이후 1997년에 해안순찰 임무 자체가 싱가포르 해군에서 싱가포르 경찰청 해안경비대로 이관되면서 12척의 스위프트급은 경찰측으로 양도되어 샤크급으로 재취역하였다.
4. 동형함 목록
||<-5><tablebordercolor=#CCC><tablealign=left><nopad> ||
싱가포르 해군
Republic of Singapore Navy
Republic of Singapore Navy
함번 | 함명 | 함생 | 건조사 | 비고 |
P11 | RSS 스위프트 나이트 RSS Swift Knight | 기공: 불명 진수: 1980년 6월 8일 취역: 1981년 퇴역: 1994년 4월 24일 | STM | 퇴역 |
P12 | RSS 스위프트 랜서 RSS Swift Lancer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3년 5월 7일 | STM | 퇴역 |
P14 | RSS 스위프트 소즈맨 RSS Swift Swordsman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3년 5월 7일 | STM | 퇴역 |
P15 | RSS 스위프트 워리어 RSS Swift Warrior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4년 4월 24일 | STM | 퇴역 |
P16 | RSS 스위프트 아처 RSS Swift Archer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3년 5월 7일 | STM | 퇴역 |
P17 | RSS 스위프트 워로드 RSS Swift Warlord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7년 1월 22일 | STM | 퇴역 |
P18 | RSS 스위프트 컴배턴트 RSS Swift Combatant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3년 5월 7일 | STM | 퇴역 |
P19 | RSS 스위프트 챌린저 RSS Swift Challenger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7년 1월 22일 | STM | 퇴역 |
P20 | RSS 스위프트 캐벌리어 RSS Swift Cavalier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7년 1월 22일 | STM | 퇴역 |
P21 | RSS 스위프트 컨커러 RSS Swift Conqueror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4년 4월 24일 | STM | 퇴역 |
P22 | RSS 스위프트 센츄리온 RSS Swift Centurion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7년 1월 22일 | STM | 퇴역 |
P23 | RSS 스위프트 치프틴 RSS Swift Chieftain | 기공: 불명 진수: 불명 취역: 1981년 퇴역: 1994년 4월 24일 | STM | 퇴역 |
5. 둘러보기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