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14:19:07

쉬브(슈퍼바이브)




파일:슈퍼바이브_BI_투명.png

슈퍼바이브 헌터
헌터 출시순 정렬


파일:헌터_쉬브.png
쉬브
Shiv
무결점 듀얼리스트
역할
본명
?????
알려진 바 없음
국가
알려진 바 없음
출시일
2024년 09월 20일
(최초의 헌터)
특별한 죽음을 선사해주지
- 헌터 선택 대사
1. 개요2. 능력
2.1. 기본 능력
2.1.1. 기본 지속 효과 - 불멸의 암살자2.1.2. 좌클릭 - 아트슬링거
2.2. 스킬
2.2.1. L Shift - 환영 구르기2.2.2. 우클릭 - 사슬 올가미2.2.3. Q - 단검 추격
2.3. 궁극기
2.3.1. R - 죽음의 무도
3. 스토리4. 평가
4.1. 대회에서4.2. 장점4.3. 단점
5. 역사6. 아레나 모드에서의 플레이7. 추천 빌드8. 기타

1. 개요

온라인 게임 슈퍼바이브의 14명의 최초의 헌터 중 하나.

2. 능력

2.1. 기본 능력

2.1.1. 기본 지속 효과 - 불멸의 암살자

파일:shiv_P.png
불멸의 암살자
악의
아트슬링거(기본공격)으로 동일 대상 연속 적중 시 9+0(➔5%)의 추가 피해를 줍니다.

불멸의 악인
적을 쓰러뜨리거나 처치에 관여할 때마다 최대 체력 25%에 해당하는 체력을 회복합니다.

총 피해량: 9|최대 체력 회복량: 25%
[ 대사 모음 ]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쉬브의 패시브.
쉬브의 기본 공격은 동일 대상을 적중 시에 추가 피해를 입힌다. 불멸의 암살자는 스택이 쌓이면 프론트라이너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피해를 가한다. 쉬브가 모든 적 헌터와 1:1 대치 전투에서 능한 이유다. 쉬브가 각개 격파로 적팀을 상대하는 이유기도 하다. 적팀의 헌터를 하나씩 끊어내면 체력 수치가 무려 25% 회복되기 때문에 1선에서 싸우는 이유기도 하다.

2.1.2. 좌클릭 - 아트슬링거

파일:shiv_lmb_1.png
아트슬링거
쿨타임: 0.4초

에너지 볼트를 발사하여 58+0(➔30%)의 피해를 입히고 불멸의 암살자 (패시브) 1중첩을 부여합니다.
총 피해량: 58
[ 대사 모음 ]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쉬브의 평타.
쉬브는 쉬브 유저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있는데. 엄연히 쉬브도 원거리형 헌터에 분류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거리를 유지하고 적을 때리는 편이 추가 피해를 가할 수가 있다. 절대 다수의 쉬브 유저는 사거리 따위는 신경도 안 쓰고 환영구르기로 달라 붙는다. 애초에 쉬브의 총은 사거리가 짧다.

2.2. 스킬

2.2.1. L Shift - 환영 구르기

파일:shiv_dash.png
환영 구르기
쿨타임: 6.5초
마나: 6

짧은 거리를 대시하며 이동속도 부스트를 얻고 다음 아트슬링거(기본공격) 위력이 강화됩니다.
강화 아트슬링거(기본공격) 사거리보다 50%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대상을 공격하면 50+0(➔29%)의 추가 피해를 주고, 불멸의 암살자 (패시브) 2중첩 및 추가 실드 파괴 효과를 적용합니다.

강화 공격이 적중하면 환영 구르기 (L Shift)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초기화됩니다.

적에게 피해를 받거나 강화 공격을 사용하면 이동속도 부스트 효과가 종료됩니다.
추가 피해량: 50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2_아이콘.png 피해량 +20%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3_아이콘2.png 피해량 +20%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4_아이콘4.png 재사용 대기시간 -1.5초
[ 대사 모음 ]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쉬브의 핵심 스킬. 헌터의 개성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스킬이며 쉬브의 알파이자 오메가
쉬브의 이동기 및 회피기. 이 스킬의 진가는 환영 구르기를 사용한 후의 평타이다. 환영 구르기를 사용하고 적 헌터나 크립 몹에 이르기까지도 평타가 적중하면 스킬의 쿨타임이 초기화가 된다. 환영 구르기는 평타의 데미지를 퍼센트 단위로 올린다. 그렇기에 환영 구르기 이후 평타의 적중도에 따라서 누적된 데미지가 달라진다.
쉬브가 스타일리쉬하고 화려한 플레이를 보여주는 이유이기도 하다. 보통 회피기를 쓰고 평타가 적중하면 또다시 회피기를 쓸 수 있으니....
한 가지 주의할 점은 평타의 사거리보다 환영 구르기로 이동하는 범위가 생각보다 크다는 점이다. 자칫 환영구르기를 잘못 쓰는 경우에 심연에 빠져서 낙사할 수 있다. 그렇기에 낭떠러지가 있는 구릉에선 환영 구르기를 조심해서 써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2.2.2. 우클릭 - 사슬 올가미

파일:shiv_rmb.png
사슬 올가미
쿨타임: 13초
마나: 30

23+0(➔7%)의 피해를 주고 대상을 이동스킬 사용 불가 상태로 만드는 사슬 올가미를 던집니다.

올가미는 적 또는 파괴 가능한 기물에 적중한 뒤 650유닛을 더 날아갑니다. 두 번째 대상을 적중할 경우, 두 대상은 모두 기절하며 53+0(➔13%)의 추가 피해를 받습니다.
초기 피해량: 23|추가 피해량: 53|기절 지속시간: 1초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2_아이콘.png 피해량 +50%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3_아이콘2.png 적중 후 거리 +100, 재사용 대기시간 -4초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4_아이콘4.png 사슬 올가미로 적 두 명 적중 시 불멸의 암살자 중첩 결합
[ 대사 모음 ]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쉬브의 CC기. 쉬브의 핵심 스킬 2
쉬브가 사슬 올가미를 던져서 적에게 이동 불가 상태 이상을 부여한다. 사슬 올가미의 특징은 환영 구르기에 못지 않게 쉬브에게 있어서 아주 중요한 스킬이다.
특히 파괴가 가능한 기물. 나무부터 시작해서 부술 수 있는 나무문에 사슬 올가미를 던지면 비거리로 멀리 날아갈 뿐더러 히트 판정이 좋아진다. 쉬브를 상대로 나무로 비벼서 대치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 이유이다. 섣부르게 나무가 평타를 막아준다고 생각하면 사슬 올가미에 묶여서 이어지는 환영 구르기 - 평타 콤보에 그대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
또한 사슬 올가미는 선마스터 기준으로 불멸의 암살자 중첩을 결합하기 때문에 적 헌터 2명에게 중첩을 결합한다면 상대 팀을 완전히 제압할 수 있다.

2.2.3. Q - 단검 추격

파일:shiv_Q.png
단검 추격
쿨타임: 28초
마나: 30

단검을 1350유닛 멀리 던져 적중한 표면이나 헌터에 단검이 부착됩니다. 6초 후 단검의 위치로
이동하고, 다시 눌러 즉시 순간이동합니다.

단검이 있는 위치로 무조건 돌아옵니다.

적중한 적은 4초 동안 50%만큼 둔화됩니다.
강제 순간이동 활성화 대기시간: 6초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2_아이콘.png 재사용 대기시간 -8초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3_아이콘2.png 지형 적중 시 재사용 대기시간 -25%, 적 적중 시 재사용 대기시간 -50%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4_아이콘4.png 단검 적중 시 환영 구르기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
[ 대사 모음 ]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쉬브의 이동기.
쉬브가 단검을 투척하고 단검이 꽂힌 자리로 이동하는 스킬이다. 단검이 부착되는 곳은 꽤 다양하다. 지형지물부터 시작해서 크립 몹, 적 헌터까지 부착할 수 있다. 단검이 꽂힌 위치가 심연이 아니라면 어디든지 이동할 수 있다.
단검 추격에는 한 가지 주의사항이 존재한다. 일단 단검을 투척하면 무르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쉬브는 무조건 6초 후에 단검이 투착된 곳을 향해서 예외없이 이동한다. 심지어 쉬브가 혼자 남은 상황에서 단검 투척을 잘못할 경우에는 그대로 게임이 끝나기에 주의해야 한다.

2.3. 궁극기

2.3.1. R - 죽음의 무도

파일:shiv_R.png
죽음의 무도
쿨타임: 50초
마나: 20

2초 동안 주변 적을 최대 5회 공격합니다. 한발당 34.7+0(➔18%)의 피해를 주고 불멸의 암살자 (패시브)의 중첩 지속시간이 모두 초기화됩니다.

바깥 반경에 있는 대상을 적중한 경우 17.4+0(➔9%)의 추가 피해를 입히고 6초 동안 대상에게 치유방해 효과를 부여합니다.

활성화 중 약식 환영 구르기 (L Shift) 충전량을 2회 획득합니다.
투사체 피해량: 35|추가 피해량: 17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2_아이콘.png 피해량 +10%, 재사용 대기시간 -5초
파일:슈퍼바이브_스킬레벨3_아이콘2.png 피해량 +10%, 재사용 대기시간 -5초
[ 대사 모음 ]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 확인 중

쉬브의 궁극기.
죽음의 무도는 사용하는 즉시 쉬브 주변 원형 범위에 타격을 가하는데. 약간의 팁이라면 원형 중심부의 피해보다 외곽 쪽이 피해를 입히는 게 조금 크다.
또한 죽음의 무도를 맞으면 불멸의 암살자 스택이 초기화가 되지만, 환영 구르기가 빚맞더라도 쿨타임이 없이 네 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 헌터에게 순간적인 폭딜을 가할 수가 있다.

3. 스토리


무결점 듀얼리스트

제국 출신의 악명 높은 권총 암살자로, 한때 제국 내 최고의 지위를 누렸지만 불명예를 안고 감옥에 오래 수감되었던 과거가 있습니다.
지금은 '라이즌 제국'의 잔재를 위해 충성심과 유용성을 증명하고자 합니다.

4. 평가

순간적인 폭딜로 적 헌터를 제압하는 데에 탁월한 성능을 가진 암살자형 파이터.

4.1. 대회에서

(확인 중)

4.2. 장점

  • 압도적인 폭딜이 가능
    쉬브의 패시브와 아이덴티티인 환영 구르기는 압도적인 폭딜을 내기에는 안성맞춤이다. 환영 구르기를 이용한 강화 평타를 계속 이어갈 수 있다면 쉬브만큼 압도적인 폭딜을 낼 수 있는 헌터는 거의 없다. 심지어 궁극기를 배우면 강화 평타를 빗맞춰도 4번은 초기화가 되기 때문에 쉬브의 리스크는 거의 없는 수준에 가깝다.


4.3. 단점

  • (확인 중)
    (확인 중)
  • (확인 중)
    (확인 중)

5. 역사

OBT에서는 대장간 시스템의 도입으로 가장 수혜를 받은 헌터가 되었다. 슈퍼바이브가 아니라 쉬브바이브로 만들어버렸다. 저티어와 고티어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가 너프를 바라는 헌터가 되었다. 유일한이 아닌 이유는 도무지 죽지 않는 오공이 있기 때문이다. OP 수준을 넘어서 일반 게임과 랭크 게임의 환경을 부수고 있다.

특히 사거리를 늘려주는 광학조준 건틀릿과 기본공격 피해량을 늘리는 파워 건틀릿, 이동기를 사용하면 체력이 회복하는 바이브 주입기, 기본 공격을 주변의 적에게 퍼트리고 기본공격 피해량을 늘려주는 굴절기 등등....

6. 아레나 모드에서의 플레이

7. 추천 빌드

8.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