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자성 송씨(子姓 宋氏) | ||||||
초대 미자 계 | 제2대 미중 연 | 제3대 송공 계 | 제4대 정공 | 제5대 민공 | |||
제6대 양공 | 제7대 여공 | 제8대 희공 | 제9대 혜공 | 제10대 애공 | |||
제11대 대공 | 제12대 무공 | 제13대 선공 | 제14대 목공 | 제15대 상공 | |||
제16대 장공 | 제17대 민공 | 제18대 송공 유 | 제19대 환공 | 제20대 양공 | |||
제21대 성공 | 제22대 송공 어 | 제23대 소공 | 제24대 문공 | 제25대 공공 | |||
제26대 평공 | 제27대 원공 | 제28대 경공 | 제29대 송공 계 | 제30대 후소공 | |||
제31대 도공 | 제32대 휴공 | 제33대 후환공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자성 대씨(子姓 戴氏) | |||
제34대 척성군 | 송왕 강왕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colbgcolor=#0D98BA><colcolor=#522142,#522142> 송(宋)나라 7대 국군 여공 厲公 | |||
성 | 자(子) | ||
씨 | 송(宋) | ||
휘 | 부사(鮒祀) | ||
아버지 | 송민공(宋湣公) 자공(子共) | ||
숙부 | 송양공(宋煬公) 자희(子熙)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859년 | |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859년 |
1. 개요
송나라의 제7대 군주. 송민공(宋湣公)의 아들. 송희공의 아버지.2. 생애
숙부인 송양공(宋煬公)[1]을 죽이고 즉위했다.[2] 그가 바로 송 여공이다. 그가 죽고 아들인 자거가 뒤를 이으니 그가 송 희공이다.[1] 송양지인(宋襄之仁)으로 유명한 송양공(宋襄公)이 아니다.[2] 즉시 즉위한 건 아니고 자신보다 앞선 계승권을 가진 형에게 먼저 제의해 예식을 갖췄는데 그가 바로 공자의 조상 중 한명인 불보하(弗父何)란 사람이다. 불보하는 이를 받아들여 공에 즉위하면 여공에게 암살될 걸 우려해 이를 반려했고 여공은 형에게 상경(上卿) 벼슬을 하사하며 불보하와 그 후손은 송보주(宋父周)의 대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상경을 지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