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라의 역대 군주 | ||||||||||||||||||||||||||||||||||||||||||||||||||||||||||||||||||||||||||||||||||||||||||||||||||||||||||||||||||||||||||||||||||||||||||||||||||||||||||||||||||||||||||||||||||||||||||||||||||||||||||||||||||||||||||||||||||||||||||||||||||||||||||||||||||||||||||||||||||||||||||||||||||||||||||||||||||||||||||||||||||||||||||||||||||||||||||||||||||||||||||||||||||||||||||||||||||||||||||||||||||||||||||||||||||||||||||||||||||||||||||||||||||||||||||||||||||||||||||||||||||||||||||||||||||||||||||||||||||||||||||||||||||||||||||||||||||||||||||||||||||||||||||||||||||||||||||||||||||||||||||||||||||||||||||||||||||||||||||||||||||||||||||||||||||||||||||||||||||||||||||||||||||||||||||||||||||||||||||||||||||||||||||||||||||||||||||||||||||||||||||||||||||||||||||||||||||||||||||||||||||||||||||||||||||||||||||||||||||||||||||||||||||||||||||||||||||||||||||||||||||||||||||||||||||||||||||||||||||||||||||||||||||||||||||||||||||||||||||||||||||||||||||||||||||||||||||||||||||||||
소나라 건국 | ← | 초대 소강공 (召康公) 희석(姬奭) | → | ??대 소 유백(召幽伯)[1] |
연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국군 소강공 | 1대 국군 연후 극 | 2대 국군 연후 지 | 3대 국군 연후 무 | 4대 국군 연후 헌 |
5대 국군 연후 화 | 실전 | 7대 국군 연후 성 | 실전 | 9대 국군 혜후 | |
10대 국군 희후 | 11대 국군 경후 | 12대 국군 애후 | 13대 국군 정후 | 14대 국군 목후 | |
15대 국군 선후 | 16대 국군 환후 | 17대 국군 장공 | 18대 국군 양공 | 19대 국군 환공 | |
20대 국군 선공 | 21대 국군 소공 | 22대 국군 무공 | 23대 국군 문공 | 24대 국군 의공 | |
25대 국군 혜공 | 26대 국군 도공 | 27대 국군 공공 | 28대 국군 평공 | 29대 국군 간공 | |
30대 국군 헌공 | 31대 국군 효공 | 32대 국군 성공 | 33대 국군 민공 | 34대 국군 희공 | |
35대 국군 후환공 | 36대 국군 후문공 | 초대 왕 역왕 | 2대 왕 연왕 쾌 | 비정통 연왕 자지 | |
3대 왕 소양왕 | 4대 왕 혜왕 | 5대 왕 무성왕 | 6대 왕 효왕 | 말대 왕 연왕 희 | |
초한쟁패기 연왕 한광 | 연왕 장도 | 연왕 노관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소나라 초대 국군 연나라 초대 국군''' | |||
성 | 희(姬) | ||
휘 | 석(奭) | ||
아버지 | 주문왕(周文王) 희창(姬昌)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996년 | |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996년 |
1. 개요
소공(召公) 석(奭). 서주시대 소(召)나라의 초대 공작이자 연(燕)나라의 초대 백작. 주문왕의 아들이자 주무왕 및 주공 단의 동생이었으며, 연후 극의 아버지였다.그는 형인 주 무왕을 따라 상나라를 멸망시키는데 큰 공을 세워 계(薊) 땅[2]에 분봉받아 연나라의 초대 백작이 되었지만, 연나라가 주나라의 수도인 호경에서 굉장히 멀기도 하고 자신이 맡은 주 왕실의 재상일을 등한시할 수 없어, 아들인 공자 극(克)을 보내 연나라를 다스리게 했다. 그리고 자신은 무왕이 봉한 채읍인 소 땅에 머물러 소나라 공작 '소(강)공 석'이라 불리게 되었다.
주 무왕 사후 형인 주공 단과 함께 조카인 성왕을 모시며 나라를 잘 다스려 주나라 최고 전성기인 성강지치(成康之治)를 이룩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2. 생애
주 무왕 원년(기원전 1046년), 형인 주 무왕을 따라 목야대전에서 상군을 쳐서 격파했다. 대패한 주왕 제신은 달기와 함께 분신자살했다. 그리하여 주나라가 천하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역성혁명을 성공시킨 주 무왕은 신정권의 안정을 위해 공신과 희성 종실 및 성현의 자손들을 분봉했다.그리하여 소공 석은 동북 변경의 계 땅에 분봉받아 연나라를 세웠다. 그러나 그는 주나라의 정사를 돌봐야 했으므로 연나라를 다스릴 여력이 없어 아들인 극에게 연나라의 백작위를 맡기고, 주나라의 내정을 돌보는데 전념했다. 그리하여 주 무왕은 석을 소읍에 봉해 소나라의 공작이 된다.
주 무왕이 죽고 아들인 태자 송(誦)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주 성왕이다. 이때 3공 중 하나인 태보(太保)가 되었다. 주 성왕이 어려 형인 주공 단이 섭정하자 그것을 불쾌히 여겼다고 하는데, 이에 주공 단이 〈군석〉이라는 글을 지어 주었다.소공 석이 그 말을 듣고서야 의구심을 누그러뜨렸다.[3]
섬서 지역을 다스릴 때 친히 송사를 살피며 정사를 돌봤다고 한다. 그가 죽은 뒤 연나라는 아들 극이 다스렸다. 소나라는 어느 아들에게 물려주었는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