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0:28:57

샌디 월시

샌디 왈시에서 넘어옴
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 시즌 스쿼드
1 포프 · 2 카츠야 · 6 와타나베 · 7 에우베르 · 8 키다(C) · 9 다이야 · 10 A.로페스 · 11 얀 마테우스
11 J.퀴뇨네스 · 14 우에나카 · 16 · 17 켄타 · 19 박일규 · 20 · 21 이이쿠라 · 23 · 25 토이치
27 · 28 야마네 · 31 키무라 · 34 타쿠토 · 37 에이타로 · 39 타이키 · 42 모치즈키 · 43 노구치
44 · 45 장 클로드 · 46 아사다 · 47 야마무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티브 홀랜드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샌디 왈시 메헬렌.webp
요코하마 F. 마리노스 No. 15
샌디 월시
Sandy Walsh
<colbgcolor=#e4003a><colcolor=#fff> 본명 샌디 헨리 월시
Sandy Henny Walsh
출생 1995년 3월 14일 ([age(1995-03-14)]세)
벨기에 브뤼셀
국적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
[[벨기에|]][[틀:국기|]][[틀:국기|]] |
[[아일랜드|]][[틀:국기|]][[틀:국기|]] |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 체중 73kg
포지션 라이트백, 센터백
유소년 클럽 템포 오버리세 (2001~2002)
ERC 후일라르트 (2002~2003)
RSC 안데를레흐트 (2003~2011)
KRC 헹크 (2011~2012)
소속 클럽 KRC 헹크 (2012~2017)
SV 쥘터 바레험 (2017~2020)
KV 메헬렌 (2020~2025)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 )
국가대표 18경기 2골[1] (인도네시아 / 2023~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벨기에 태생의 인도네시아 국적 축구선수. 현재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뛰고 있다.

2. 클럽 경력

RSC 안데를레흐트 유스와 KRC 헹크 유스를 거쳤고, 헹크에서 1군에 데뷔했다. 2012년 9월 2일 리그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는데 공교롭게도 그 상대가 오랜 기간 몸담았던 팀인 RSC 안데를레흐트였다. 경기 막판 교체로 들어갔고, 이 경기 후 더 이상 2012-13 시즌 리그 경기를 소화하지 못했다.

하지만 점차 헹크에서 출전기회를 늘려가며 2015-16 시즌 주전 수비수로 입지를 다졌다. 그러나 2016-17 시즌 다시 경쟁체제가 시작되며 주로 국내 리그보다는 유로파리그 위주로 뛰었고, 이에 왈시는 이적을 추진, 2017년 SV 쥘터 바레험으로 팀을 옮긴다. 쥘터 바레험에서는 주전급으로 꾸준히 뛰었다.

2020-21 시즌 KV 메헬렌으로 다시 팀을 옮겼고, 프로 데뷔 이래 가장 많은 경기 수를 소화하며 핵심 자원으로 뛰고 있다. 또한 공격력도 진일보하여 이전 9시즌 동안 리그 단 3골을 넣었던 그가 2020-21 시즌 한 해에만 3골을 넣기도 했고, 메헬렌에서 보다 공격적으로 활용되어 현재까지 리그 107경기 8골을 메헬렌에서 4년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2024-25시즌에는 단 6경기만 교체로 출전할 정도로 베스닉 하시 감독의 구성에서 사실상 밀려나며 입지가 급격히 좁아진 걸로 보인다. 벨기에 스포츠 기자인 도나스 반 데 베이레에 의하면 일본 J리그 클럽인 산프레체 히로시마와 이적 협상이 진행되고 있고 합의가 진행 중인 걸로 알려졌다.

2025년 2월 9일, 요코하마 F. 마리노스로 이적했다.

3. 국가대표 경력

가지고 있는 배경이 조금 복잡한데, 아버지는 영국에서 태어난 아일랜드 국적자이며 어머니는 스위스와 네덜란드에서 자란 인도네시아인이다.[2] 때문에 모든 조건을 다 만족할 경우 그가 선택하여 뛸 수 있는 국가는 잉글랜드, 아일랜드, 스위스, 네덜란드, 벨기에, 인도네시아까지 6개국이나 된다.

실제로 그는 어머니의 실제 거주지인 네덜란드 국적을 택해 유소년 국가대표로 뛰었다. 네덜란드 U-17 대표팀으로 UEFA U-17 챔피언십 우승도 경험했으며 U-20 대표팀까지 올라간 만만치 않은 경력이 있다. 그러나 끝내 네덜란드 성인 국가대표에는 발탁되지 못하고 있었다.

2022년 한창 해외계 인도네시아 교포를 발굴해 전력 강화를 도모하던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신태용 감독이 그에게 접촉했고, 한 두 차례의 반려 끝에 결국 2023년 8월, 투르크메니스탄과의 친선전에서 인도네시아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처음 A매치를 소화했다. 이후 인도네시아 대표팀의 핵심 수비자원이 되었으며,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무대도 밟았다.

그리고 일본과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패색이 짙던 후반 추가 시간에 프라타마 아르한의 롱 스로인으로 시작된 세컨볼을 침착하게 차 넣으며 키퍼의 도움으로 만회골을 터트리면서 유종의 미를 거두는 데 성공했다.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원정에서 선제골을 터트리며 인도네시아에 승점 1점을 안기는데 크게 기여했다.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 메헬렌에서는 주로 측면 수비를 담당하나 국가대표팀에선 조르디 아마트와 함께 센터백 라인을 구성하고 있다.
  • 2010년대 중반 인스타그램 시작 초기부터 친 인니성향을 보였고 유창한 인도네시아어 실력을 갖췄으며[3] 신태용호의 혼혈교포 수집한참전부터 나 인도네시아계니까 국대 뽑아달라고 얘기했었다. 결혼식도 인도네시아 방식으로 치룰만큼 인도네시아 사랑이 깊다.

6. 같이 보기

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 시즌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25 시즌
<rowcolor=#ffffff>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비고
1 파일:일본 국기.svg GK 포프 윌리엄 William Popp 1994.10.21 192cm, 86kg
2 파일:일본 국기.svg DF 나가토 카츠야 Katsuya Nagato 1995.08.25 173cm, 73kg
6 파일:일본 국기.svg MF 와타나베 코타 Kota Watanabe 1998.10.18 165cm / 61kg
7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에우베르 Élber 1992.05.27 170cm, 70kg
8 파일:일본 국기.svg MF 키다 타쿠야 Takuya Kida 1994.08.23 170cm / 64kg 주장
9 파일:일본 국기.svg FW 토노 다이야 Daiya Tono 1999.03.14 166cm, 66kg
10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안데르송 로페스 Anderson Lopes 1993.09.15 185cm / 82kg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얀 마테우스 Yan Matheus 1998.09.04 170cm / 71kg
13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DF 제이슨 퀴뇨네스 Jeison Quiñónes 1997.08.17 185cm, 86kg
14 파일:일본 국기.svg FW 우에나카 아사히 Asahi Uenaka 2001.11.01 179cm, 75kg
16 파일:일본 국기.svg DF 카토 렌 Ren Kato 1999.12.28 175cm, 72kg
17 파일:일본 국기.svg MF 이노우에 켄타 Kenta Inoue 1998.07.23 171cm, 69kg
19 파일:일본 국기.svg GK 박일규 Park Il Gyu 1989.12.22 180cm, 76kg
20 파일:일본 국기.svg MF 아마노 준 Jun Amano 1991.07.19 175cm, 67kg
21 파일:일본 국기.svg GK 이이쿠라 히로키 Hiroki Iikura 1986.06.01 181cm, 71kg
23 파일:일본 국기.svg FW 미야이치 료 Ryo Miyaichi 1992.12.14 183cm, 70kg
25 파일:일본 국기.svg MF 스즈키 토이치 Toichi Suzuki 2000.05.30 165cm, 61kg
27 파일:일본 국기.svg DF 마츠바라 켄 Ken Matsubara 1993.02.16 180cm / 77kg
28 파일:일본 국기.svg MF 야마네 리쿠 Riku Yamane 2003.08.17 173cm, 65kg
31 파일:일본 국기.svg GK 키무라 료야 Ryoya Kimura 2003.06.10 187cm, 81kg
34 파일:일본 국기.svg MF 키무라 타쿠토 Takuto Kimura 2000.05.16 170cm, 69kg
37 파일:일본 국기.svg MF 마츠다 에이타로 Eitaro Matsuda 2001.05.20 170cm, 64kg
39 파일:일본 국기.svg DF 와타나베 타이키 Taiki Watanabe 1999.04.22 180cm, 75kg
42 파일:일본 국기.svg MF 모치즈키 코헤이 Kohei Mochizuki 2006.06.07 178cm, 76kg
43 파일:일본 국기.svg DF 노구치 레노 Reno Noguchi 2006.05.30 178cm, 76kg
44 파일:호주 국기.svg DF 토머스 뎅 Thomas Jok Deng 1997.03.20 182cm, 73kg
45 파일:토고 국기.svg MF 장 클로드 Jean Claude 2003.12.14 186cm, 73kg
46 파일:일본 국기.svg FW 아사다 히로토 Hiroto Asada 2008.01.16 180cm, 77kg
47 파일:일본 국기.svg MF 야마무라 카즈야 Kazuya Yamamura 1989.12.02 186cm, 80kg
<colbgcolor=#203078> 구단 정보
감독: 스티브 홀랜드 / 홈구장: 닛산 스타디움
출처: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웹사이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마르턴 파스
(Maarten Paes)
1998년 5월 14일 ([age(1998-05-14)]세) 2 0 파일:미국 국기.svg FC 댈러스
무하마드 리얀디
(Muhammad Riyandi)
2000년 1월 3일 ([age(2000-01-03)]세) 5 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스 솔로
에르난도 아리
(Ernando Ari)
2002년 2월 27일 ([age(2002-02-27)]세) 5 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세바야 수라바야
DF 프라타마 아르한
(Pratama Arhan)
2001년 12월 21일 ([age(2001-12-21)]세) 47 3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유나이티드 FC
아스나위 망쿠알람
(Asnawi Mangkualam)
1999년 10월 4일 ([age(1999-10-04)]세) 36 1 파일:태국 국기.svg 포트 FC
리즈키 리도
(Rizky Ridho)
2001년 11월 21일 ([age(2001-11-21)]세) 27 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자 자카르타
엘칸 바곳
(Elkan Baggott)
2002년 10월 23일 ([age(2002-10-23)]세) 19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블랙풀 FC
메이스 힐허르스
(Mees Hilgers)
2001년 5월 13일 ([age(2001-05-13)]세) 0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트벤터
조르디 아마트
(Jordi Amat)
1992년 3월 21일 ([age(1992-03-21)]세) 10 1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 FC
쉐인 파티나마
(Shayne Pattynama)
1998년 8월 11일 ([age(1998-08-11)]세) 5 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비킹 FK
샌디 월시
(Sandy Walsh)
1995년 3월 14일 ([age(1995-03-14)]세) 4 0 파일:벨기에 국기.svg KV 메헬렌
제이 이즈스
(Jay Idzes)
2000년 6월 2일 ([age(2000-06-02)]세) 9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네치아 FC
저스틴 허브너
(Justin Hubner)
2003년 9월 14일 ([age(2003-09-14)]세) 7 0 파일:일본 국기.svg 세레소 오사카
MF 위탄 술라에만
(Witan Sulaeman)
2001년 10월 8일 ([age(2001-10-8)]세) 35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바양카라 FC
리키 캄부아야
(Ricky Kambuaya)
1996년 5월 5일 ([age(1996-05-05)]세) 32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와 유나이티드 FC
사딜 람다니
(Saddil Ramdani)
1999년 1월 2일 ([age(1999-01-02)]세) 25 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사바 FC
에기 마울라나
(Egy Maulana)
2000년 7월 7일 ([age(2000-07-07)]세) 21 8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와 유나이티드 FC
마크 클록
(Marc Klok)
1993년 4월 20일 ([age(1993-04-20)]세) 18 4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브 반둥
야콥 사유리
(Yakob Sayuri)
1997년 9월 22일 ([age(1997-09-22)]세) 14 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PSM 마카사르
마르셀리노 페르디난
(Marselino Ferdinan)
2004년 9월 9일 ([age(2004-09-09)]세) 14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FC
아담 알리스
(Adam Alis)
1993년 12월 19일 ([age(1993-12-19)]세) 9 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보르네오 FC 사마린다
아르칸 피크리
(Arkhan Fikri)
2004년 12월 28일 ([age(2004-12-28)]세) 3 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아레마 FC
이바르 제너
(Ivar Jenner)
2004년 1월 10일 ([age(2004-01-10)]세) 2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위트레흐트
FW 덴디 술리스티야완
(Dendy Sulistyawan)
1996년 10월 12일 ([age(1996-10-12)]세) 16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바양카라 FC
디마스 드라자드
(Dimas Drajad)
1997년 3월 30일 ([age(1997-03-30)]세) 11 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카보 1973
라마단 사난타
(Ramadhan Sananta)
2002년 11월 27일 ([age(2002-11-27)]세) 7 4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스 솔로
라파엘 스트라위크
(Rafael Struick)
2003년 3월 27일 ([age(2003-03-27)]세) 9 0 파일:호주 국기.svg 브리즈번 로어 FC
호끼 짜라까
(Hokky Caraka)
2004년 8월 21일 ([age(2004-08-21)]세) 3 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PSS 슬레만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1월 21일
}}}}}}}}} ||


[1] 2024년 11월 20일 기준[2] 그래서 그의 이름을 영어식 발음인 샌디 월시로 발음한다.[3] 인도네시아 귀화파중에서는 마르크 클록과 함께 최상위권 실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