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8:49:11

상서복야

좌우복야에서 넘어옴


1. 개요2. 연혁3. 위상4. 매체5. 역임 인물

1. 개요

상서복야(尙書僕射)는 전근대 동아시아의 고위 관직이다.

2. 연혁

중국 후한 시대에 생겨났고 이후 좌우로 나뉘었다.

수나라에서는 좌우 복야 둘다 재상이었다.

당나라에서 좌복야는 종2품, 우복야는 정3품이었다. 태종이 진왕(秦王) 시절 상서령 자리를 잠깐 맡았다는 이유로 상서령이 임명되지 않으면서 상서성(尙書省)의 실질적인 장관이 되었다. 명칭은 시기에 따라 복야, 승상, 승(丞) 등으로 일정하지 않았다.

고려3성 6부제를 받아들이면서 상서성에 좌복야(左僕射), 우복야(右僕射)를 두었고 모두 정2품으로 하였다. 상서성의 실질적인 장관이다.[1]

조선상서도성의 직제를 흡수한 삼사에 좌복야, 우복야를 두었고 그 품계는 고려와 같았다. 1400년(정종 2)에 사라졌다.

3. 위상

당나라에서는 초기를 제외하곤 중서문하(中書門下)가 비대해지면서 상서성의 입지가 축소되었기 때문에 동중서문하평장사참지정사를 겸하지 않으면 재상이 아니었고 고려에서도 같다. 조선에서는 도평의사사에 참여할 수 있는 자리였다.

4. 매체

명칭이 자주 바뀌었고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를 제외하면 요긴한 자리가 아니었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사극에서도 나오지 않으며[2] 한국에서 이를 묘사한 사극은 〈연개소문〉 정도였다.. 연개소문 자체는 역사왜곡 등 고증이 엉망인 사극으로 악명높은데, 황당하게도 이거 하나만은 제대로 고증한 셈이다.[3]

2023년 드라마인 고려 거란 전쟁에서 김치양이 상서우복야 직함을 달고 등장하고, 유진이 상서좌복야의 직책에 오른 것이 자막으로 나온다.

5. 역임 인물

  • 심문계 - 남조 제나라 상서우복야 → 상서좌복야
  • 심약 - 남조 양나라 상서좌복야
  • 범운 - 남조 양나라 상서우복야
  • 심군리 - 남조 진나라 상서우복야
  • 심흠 - 남조 진나라 상서우복야 → 상서좌복야
  • 심협 - 북조 주나라 상서좌복야
  • 고경 - 수나라 상서좌복야
  • 양소 - 수나라 상서우복야 → 상서좌복야
  • 이주헌[4] - 고려 상서좌복야 → 상서우복야
  • 김치양 - 고려 상서우복야
  • 유진 - 고려 상서좌복야
  • 왕동영 - 고려 상서우복야
  • 문인위 - 고려 상서우복야
  • 박충숙 - 고려 상서좌복야
  • 왕림 - 고려 상서좌복야
  • 정신용 - 고려 상서우복야
  • 이주헌 - 고려 상서우복야
  • 안소광 - 고려 상서우복야
  • 김노현 - 고려 상서우복야
  • 전보인[5] - 고려 상서좌복야 → 상서우복야 출처
  • 이응보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원 - 고려 상서우복야
  • 진함조 - 고려 상서우복야
  • 주덕명 - 고려 상서좌복야
  • 장형 - 고려 상서좌복야
  • 김인위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주헌 - 고려 상서좌복야
  • 진함조 - 고려 상서좌복야
  • 주덕명 - 고려 상서우복야
  • 이공 - 고려 상서좌복야
  • 지채문 - 고려 상서좌복야
  • 양진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응보 - 고려 상서좌복야
  • 이단 - 고려 상서좌복야
  • 김여탁 - 고려 상서우복야
  • 유징필 - 고려 상서좌복야
  • 장극맹 - 고려 상서우복야
  • 이습 - 고려 상서좌복야
  • 최제안 - 고려 상서좌복야
  • 최충 - 고려 상서좌복야
  • 황보영 - 고려 상서좌복야
  • 이괴 - 고려 상서우복야
  • 최보성 - 고려 상서좌복야
  • 조현 - 고려 상서우복야
  • 박유인 - 고려 상서좌복야
  • 장극맹 - 고려 상서좌복야
  • 최보성 - 고려 상서우복야
  • 이인정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수화 - 고려 상서좌복야
  • 박섬 - 고려 상서우복야
  • 김원정 - 고려 상서좌복야
  • 고열 - 고려 상서우복야
  • 임종일 - 고려 상서우복야
  • 지맹 - 고려 상서좌복야
  • 최용[6] - 고려 상서우복야
  • 정중부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의민 - 고려 상서좌복야
  • 김양[7] - 고려 상서좌복야
  • 이허겸[8] - 고려 상서좌복야
  • 왕국모 - 고려 상서좌복야
  • 고의화[9] - 고려 상서좌복야
  • 남은 - 조선 삼사좌복야

[1] 상서령은 명예직이다.[2] 그나마 신삼국에선 사마의가 '상서우복야'직에 있었다는 것을 마속이 제갈량에게 언급하긴 했다.[3] 대조영에서는 복야라고 하지 않고 승상이라고 했던 것과 대조된다.[4] 성종이 “쇠로 말하면 좋은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사람이다.”라고 표현했으며 현종의 든든한 지원군이었다.[5] 성종8년 나주목 경학박사로서 후학을 근실히 가르쳐 상을 받은 기록이 있고 현종9년 좌복야를 지낸 후 이듬해 우복야로서 죽었다.사관이 평하길 '명경과 출신으로 여러 번 학관에 임명되어 당대에 노숙한 유학자로 이름났지만 성품이 가볍고 조급하다'라고 했다.[6] 최윤의와 숙비 최씨(예종의 아내)의 친부.[7] 김인존의 조부.[8] 인천 이씨의 시조[9] 이자의를 죽인 숙종의 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