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12:08:31

빅토리아 우드(코미디언)

Victoria Wood
빅토리아 우드
파일:Victoria_Wood.jpg
<colbgcolor=#302e2e><colcolor=white> 출생 1953년 5월 19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랭커셔 프레스트위치
사망 2016년 4월 20일 (향년 62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런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코미디언, 배우, 싱어송라이터
활동 1974년 ~ 2016년
배우자 제프리 더럼(1980년~2005년 이혼)

1. 개요2. 여담


1. 개요

그녀의 대표 코믹 송 The Ballad of Barry and Freda. (1986)
파일:victoria and julie.jpg
단짝 친구인 배우 줄리 월터스와 함께

영국코미디언, 작가, 싱어송라이터.

날카로운 관찰력과 달변가적인 면모를 기반으로 영국의 계급 사회에 대한 풍자가 가미된 서민적인 유머를 선보여서 영국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던 코미디언이다.

그녀는 특히, 일상적인 대화, 여성의 삶, 영국 서민들의 소소한 생활에서 영감을 얻은 코미디 스타일로 유명하였고 종종 피아노를 치며 직접 쓴 재치있는 노래들을 선보였었다.

1988년에 공연한 그녀의 TV 스페셜 <An Audience with Victoria Wood>는 BAFTA 텔레비전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 여담

  • 1971년에 처음 만난 여배우 줄리 월터스와 무척 친한 사이였다. 그래서 두 사람이 함께 공연한 영상들이 상당히 많다.
  • 모리세이가 빅토리아 우드의 열혈팬이다. 더 스미스 시절의 가사에서부터 보여준 모리세이 특유의 기묘한 유머감각은 빅토리아 우드의 코미디 스타일에 매우 큰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일례로 더 스미스의 곡 The Queen Is Dead의 가사 중 "Eh, I know and you cannot sing!" I said: "That's nothing, you should hear me play piano!"라는 구절은 빅토리아 우드가 그녀의 스탠드업 코미디 무대에서 즐겨 썼던 멘트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모리세이는 심지어 스미스 초기 시절 인터뷰에서 "밴드가 성공하면 빅토리아 우드를 찾아가서 그녀에게 청혼할거다."라는 말까지 했다. 이에 빅토리아 우드는 "전 사실 모리세이와 결혼했죠. 그이가 투어 때문에 바빠서 얼굴을 단 한번도 못봤지만요"라고 위트있게 답한 바 있다.[1]
  • 펄프의 리더이자 프론트맨 자비스 코커도 빅토리아 우드의 열혈팬이다. 자비스가 인터뷰에서 빅토리어 우드의 코미디 스타일을 존경한다고 밝힌 적도 있었다. 실제로 두 사람은 영국인들의 소소한 일상과 계급적 늬앙스를 유머와 음악으로 표현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1] 빅토리아 우드는 1980년에 마술사이자 배우인 제프리 더럼과 결혼한 유부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