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16:56:15

블리자드 프린세스


텐죠인 아스카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사이버 걸 · 사이버 엔젤 · 기계천사 · 화이트나이트
서브 에이스 에이스
GX
사이버 프리마
사이버 엔젤-벤텐-
사이버 엔젤-이다텐-
GX (빛의 결사)
화이트나이트 퀸
코믹스
블리자드 프린세스
ARC-V
사이버 엔젤-나사테이야-

GX
사이버 블레이더
사이버 엔젤-다키니-
GX (빛의 결사)
푸른 얼음의 백야룡
코믹스
얼음 여왕
ARC-V
사이버 엔젤-비슈누-

}}}}}}}}} ||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BlizzardPrincess-JP-Manga-GX-NC.png
한글판 명칭 블리자드 프린세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ブリザード・プリンセス
영어판 명칭 Blizzard Princess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마법사족 2800 2100
소환한 턴, 상대의 마법 / 함정의 효과와 발동을 무효로 한다.
"자 어서 모습을 드러내! 나의 프린세스! 블리자드 프린세스!"
안젤라,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텐죠인 아스카가 사용한 최상급 몬스터.

작중에서는 미사와 다이치와 파트너로 참여한 요한 안데르센, 아몬 가람과의 태그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아스카가 의도했던 전술은 크리스탈 걸아이스 돌을 필드에 소환하여 방어한 후, 때가 되면 크리스탈 걸을 릴리스 하여 이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 그후 아이스 돌을 아이스 돌 미러로 블리자드 프린세스로 바꿀려고 했었다. 그런데 미사와가 이전 턴에 했던 실책을 갚기 위해서, 아스카가 지키던 이 두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다이다라봇치를 소환해 버린다. 게다가 그 다이다라봇치는 아몬 가람의 카드에 막혀서 데미지도 못주고 허수아비로 전락.

뒤늦게 미사와가 아스카가 노리던 걸 알아차리고서 카드를 몇장 세트하여, 아스카가 형태가 조금은 다르지만 노리던 전술을 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아스카가 미사와의 일반 함정 요마의 원군을 발동해, 그에 의해 소생된 누리카베와 물까치흑마를 릴리스하여 어드밴스 소환했다. 이 카드의 효과로 요한의 세트 카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곤충의 무리, 그리고 아몬의 지속 마법 봉인의 진언의 효과를 봉인했다. 마지막에는 아이스 돌 미러를 사용해 아이스돌을 블리자드 프린세스로 바꿔서 봉인수 브론과 봉인수 쟈룸쥴을 전투 파괴해서 승리를 거뒀다.

공격시에는 큰 얼음덩이로 된 플레일을 휘두른다.

파일:NEC_0051.jpg

활기차 보이는 일러스트와는 달리, 작중에서는 '블리자드'라는 이름 답게 쌀쌀맞고 고압적인 표정을 짓는 경우가 많다. 효과 발동시에는 '흥!' 하는 새침한 모습을 보이기까지 한다.

속성이나 종족, 이름, 원작 사용자가 사용한 얼음 여왕과 매우 닮았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BlizzardPrincess-YG07-JP-UR.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블리자드 프린세스,
일어판명칭=ブリザード・プリンセス,
영어판명칭=Blizzard Princess,
속성=물, 종족=마법사족,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100,
효과외1=이 카드는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적용한다. 이 턴에\, 상대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유희왕 GX 코믹스 7권 동봉으로 등장한 카드. 어드밴스 소환에 필요한 릴리스를 경감시키는 효과 외 텍스트를 가졌으며, 자신이 일반 소환에 성공한 턴 동안만 대 한파와 비슷한 룰 효과를 적용시키는 효과 몬스터.

마법사족 하나로 어드밴스 소환이 가능하며, 릴리스 하나로 나온 것이라 치면 공격력은 높은 편이다. 빙결계로 유사 서치가 가능하며, 제스터 콩피더 트릭키, 태양의 신관 등 특수 소환 능력이 있는 마법사족을 같이 써주면 금방 어드밴스 소환으로 꺼낼 수 있다. 인스턴트 퓨전으로 마법사족 융합 몬스터를 꺼내서 릴리스삼는 것도 가능. 특히 같은 주인이 사용한 아이스 돌은 이 카드를 서치한 다음 바로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할 수 있으니 상성이 아주 좋다. 아이스 돌 미러까지 서치해서 추가 콤보가 가능한 것은 덤.

소환만 하면 상대 마법이나 함정을 봉쇄할 수 있으므로 소환 반응형이나 공격 반응형 함정을 막아버릴 수 있으며, 막히는 것은 상대 것 뿐이므로 자신은 얼마든지 마법 / 함정을 사용해서 추가 타격을 줄 수 있다. 다만 이미 적용된 효과를 무효로 할 수는 없으므로, 마법 / 함정으로 이미 락이 걸려있는 경우라면 이 카드로 대처할 수 없다. 더구나 몬스터 효과는 막지 못하며, 신의 심판 등으로 소환 자체가 막히면 아예 물거품이 된다는 점은 주의할 것.

효과가 적용되는 것은 소환된 턴 뿐이므로, 다음 턴이 지나고 나면 바닐라나 다름없는 신세가 되어버리기에 필드에 오래 버티기는 힘들다. 상대가 방해할 수 없는 틈을 타서 공격으로 최대한 타격을 주는 것이 기본 역할이 되겠다. 소환권을 써야된다는 특성상 다른 몬스터 전개가 힘들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확산하는 파동을 써서 혼자 상대 몬스터를 쓸어버리는 방법도 있다.

연격의 제왕, 망량발호 등으로 상대 턴에 소환하면 상대 덱에 따라 더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

사신 아바타와는 달리 발동 제한 효과는 룰 효과라 체인 블록을 만들지 않는다. 따라서 천벌에 의해 무효화할 수 없다. 또한 대 한파와 마찬가지로 효과 적용시에 위협하는 포효 등을 체인 발동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유희왕 5D's 월드 챔피언십 2011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CPU 듀얼리스트로 나오는 묘지기의 대신관이 자기가 굴리는 묘지기 덱에 이걸 넣고 쓰고 있다. 전술한 대로 마법사족 덱에서 어태커로 1장쯤 넣어도 나쁠 건 없는 카드고 묘지기도 마법사족 주축이라 그리 이상한 전술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칙칙한 묘지기들과 이 카드의 분위기가 너무 달라서 그 깨는 광경에 한번 놀라고 마함이 봉쇄되어 또 한번 놀라게 된다.

한국에는 꽤 오랜 시간이 지나 프리미엄 팩 7로 정발되었다. 대원이 돈 냄새를 맡았는지 시크릿 레어가 되어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레어도를 자랑한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0-04-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G07-JP001 | 遊戯王GX 第7巻 付録カード
2011-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G07-EN001 | Yu-Gi-Oh! GX volume 7 Promotional Card
2012-08-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09-EN009 | COLLECTIBLE TIN 2012 WAVE 1
2012-08-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07-KR004 | 프리미엄 팩 Vol.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