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8 10:28:59

Brave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사전적 뜻}}}에 대한 내용은 [[용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용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용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영화 'Brave'}}}에 대한 내용은 [[메리다와 마법의 숲]]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메리다와 마법의 숲#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메리다와 마법의 숲#|]]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일본의 그룹 아라시의 음반}}}에 대한 내용은 [[BRAVE(아라시)]]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BRAVE(아라시)#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BRAVE(아라시)#|]]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사전적 뜻: }}}[[용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용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용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영화 'Brave': }}}[[메리다와 마법의 숲]]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메리다와 마법의 숲#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메리다와 마법의 숲#|]]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일본의 그룹 아라시의 음반: }}}[[BRAVE(아라시)]]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BRAVE(아라시)#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BRAVE(아라시)#|]]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S='style="display: flex; font: 0.7em/1 sans; font-family: revert; justify-content: center; gap: 3px"', D='style="padding: 0.2em; border-radius: 0.3em; background: green; color: #fff" dark-style="background: #070"', M='"style="padding: 0.2em; border-radius: 0.3em; background: blue; color: #fff" dark-style="background: #007"', KX='"style="padding: 0.2em; border-radius: 0.3em; background: red; color: #fff" dark-style="background: #700"', AI='"style="padding: 0.2em; border-radius: 0.3em; background: orange; color: #fff" dark-style="background: #8a5a00"'
파일:WWW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Chrome|
파일:Chrome 로고.svg
Chrome
#!wiki
{{{#!wiki
AI}}}
]]
[[Microsoft Edge|
파일:Microsoft Edge 로고.svg
Edge
#!wiki
{{{#!wiki
AI}}}
]]
[[Firefox|
파일:Firefox 로고.svg
Firefox
#!wiki
{{{#!wiki
AI}}}
]]
[[삼성 인터넷|
파일:삼성 인터넷 로고.svg
Samsung Internet
#!wiki
{{{#!wiki
AI}}}
]]
[[Safari|
파일:Safari 아이콘.svg
Safari]]
[[Arc(웹 브라우저)|
파일:Arc_(browser)_logo.svg
Arc
#!wiki
{{{#!wiki
KX}}}
]]
[[Avast Secure Browser|
파일:어베스트 시큐어 브라우저 로고.svg
Avast Secure Browser]]
[[AVG Secure Browser|
파일:AVG Secure Browser Icon.svg
AVG Secure Browser]]
[[Avira Secure Browser|
파일:Norton Private Browser icon.svg
Avira Secure Browser]]
[[Brave|
파일:Brave 아이콘.svg
Brave
#!wiki
{{{#!wiki
AI}}}
]]
[[CCleaner Browser|CCleaner Browser]]
[[ChatGPT Atlas|
파일:GPT Atlas.png
ChatGPT Atlas
#!wiki
{{{#!wiki
AI}}}
]]
[[Chromium|
파일:Chromium 로고.svg
Chromium]]
[[Comet(웹 브라우저)|
파일:comet.svg
Comet
#!wiki
{{{#!wiki
AI}}}
]]
[[Dragon(웹 브라우저)|
파일:드래건 브라우저 로고.png
Dragon
#!wiki
{{{#!wiki
D}}}{{{#!wiki
KX}}}
]]
[[Epic|
파일:Epic Privacy Browser icon.png
Epic]]
[[Floorp|
파일:Floorp icon.png
Floorp
#!wiki
{{{#!wiki
D}}}
]]
[[Iron(웹 브라우저)|
파일:SRWare Iron.png
Iron]]
[[K-Meleon|
파일:K-Meleon 아이콘.png
K-Meleon
#!wiki
{{{#!wiki
D}}}{{{#!wiki
KX}}}
]]
[[LibreWolf|
파일:LibreWolf icon.svg
LibreWolf
#!wiki
{{{#!wiki
D}}}
]]
[[Lunascape|
파일:Lunascape icon.png
Lunascape]]
[[Maxthon|
파일:Maxthon 아이콘.svg
Maxthon]]
[[Meta Quest Browser|
파일:메타 퀘스트 브라우저 아이콘.svg
Meta Quest Browser
#!wiki
{{{#!wiki
M}}}
]]
[[Midori|
파일:Midori icon.png
Midori]]
[[Mullvad Browser|
파일:mullvad-browser-logo.png
Mullvad Browser
#!wiki
{{{#!wiki
D}}}
]]
[[Norton Private Browser|
파일:Norton Private Browser icon.svg
Norton Private Browser]]
[[Osiris|
파일:Osiris_icon.png
Osiris
#!wiki
{{{#!wiki
KX}}}
]]
[[Opera|
파일:Opera 로고.svg
Opera]]
[[Pale Moon|
파일:Pale Moon 로고.png
Pale Moon
#!wiki
{{{#!wiki
D}}}
]]
[[Puffin Browser|
파일:vAnA04c.png
Puffin Browser]]
[[Sleipnir|
파일:Sleipnir3forMac.png
Sleipnir
#!wiki
{{{#!wiki
KX}}}
]]
[[SlimBrowser|
파일:SlimBrowser logo.png
Slim​Browser
#!wiki
{{{#!wiki
D}}}
]]
[[Slimjet|
파일:Slimjet.png
Slimjet
#!wiki
{{{#!wiki
D}}}
]]
[[Tor Browser|
파일:Tor Browser icon.svg
Tor Browser]]
[[UC Browser|
파일:UC_Browser_Logo.png
UC Browser
#!wiki
{{{#!wiki
KX}}}
]]
[[Vivaldi|
파일:비발디(웹 브라우저) 아이콘.svg
Vivaldi]]
[[Waterfox|
파일:WaterFox_logo.svg
Waterfox]]
[[네이버 웨일|
파일:네이버 웨일 아이콘.svg
Whale]]
각주 설명
#!wiki
D

}}}: 데스크톱 전용
#!wiki
M

}}}: 모바일 전용
#!wiki
KX

}}}: 한국어 부분지원/미지원
#!wiki
AI

}}}: AI기능 내장
#!wiki
[[웹 브라우저#s-4|웹 브라우저 목록]] {{{-2 ([[웹 브라우저#s-5|한국어]])}}}
#!wiki
[[틀:서비스를 종료한 웹 브라우저|서비스를 종료한 웹 브라우저]]
#!wiki
[[렌더링 엔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c1d1f> 파일:Brave 아이콘.svg브레이브
Brave
}}}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f50> 개발사 Brave Software
분류 웹 브라우저
최신 버전 릴리스 노트[1]
엔진 Blink, V8, WebKit[2]
플랫폼 데스크톱
Microsoft Windows, Linux, macOS
모바일
Android, iOS, iPadOS
사용자 175만 명(2025년 9월 국내 앱 사용자 기준) #
언어 한국어, 영어 등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특징
2.1. 개인정보 보호와 광고 및 트래커 차단2.2. Tor 네트워크 탑재2.3. Brave Firewall + VPN2.4. Leo AI
3. 속도4. Brave Search5. Brave Rewards
5.1. BAT 팁 보내기가 지원되는 브레이브 소프트웨어 인증 창작자5.2. 팁 보내기가 지원되는 공식 사이트 목록5.3. 개별 사용자에게 팁 보내기만 가능한 플랫폼 목록
6. 안드로이드 버전7. 논란
7.1. 주소창 제휴코드 무단 삽입
8. 문제점 및 해결법9. 기타10. 관련 문서

1. 개요

자바스크립트의 개발자이자 모질라 재단의 설립자인 브랜든 아이크와 브라이언 본디가 설립한 기업인 브레이브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한 블링크 기반의 웹 브라우저이다. 2016년 1월 20일에 개발자 버전이 처음 출시되었다.

보안과 온라인 프라이버시 보호를 내세우고 있으며,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모든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2. 특징

2.1. 개인정보 보호와 광고 및 트래커 차단

A new privacy-first browser can replace Chrome on all your devices.
개인 정보 보호를 우선으로 하는 새로운 브라우저가 모든 디바이스에서 크롬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Wired #
Brave has a smaller fanbase, but it takes security seriously. Each time you close Brave, it asks you what data you would like to delete. It has several beneficial features, such as HTTPS Everywhere and a script blocker. It’s highly customizable, so you can choose how secure and private you want to be.
브레이브 웹 브라우저는 팬층은 적은 편이지만 보안에 관해서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이를 증명해 주듯 브레이브 새 탭에서 광고와 추적기를 차단한 횟수를 표시해 줍니다. 브레이브 실드에는 HTTPS Everywhere[3] 및 스크립트 차단과 같은 몇 가지 유용한 기능이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사용자 지정이 매우 용이하므로 원하는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수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McAfee #
파일:Brave-New Tab.png
새 탭 화면에서 브레이브 실드로 차단한 추적기, 광고 개수와 HTTPS 업그레이드, 페이지 로드를 절약한 시간을 표시해 준다.[4]
브라우저에 기본적으로 광고 차단, 추적기 차단, HTTPS 업그레이드, 브라우저 지문 채취[5] 방어, 스크립트 차단 등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이 '브레이브 실드'는 설정에서 다양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레이브 실드를 더 엄격하거나 느슨하게 차단하도록 바꿀 수 있다. 다른 광고 차단 프로그램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주며, 광고 차단 부가 기능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계상으로 메모리를 더 적게 사용한다.[6]

브레이브 소프트웨어는 검색 엔진의 개인정보보호에도 관심을 가졌고, 덕덕고와 협업을 발표하였다.# 각 국가에서 유럽의 GDPR 같은 개인정보 보호를 강제하는 법안이 지속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구글이 아닌 덕덕고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토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공개 탭의 검색 엔진은 덕덕고가 기본값이 된다. 덕분에 유튜브 프리미엄을 구매하지 않아도 광고 없이 볼 수 있다. 다만 유튜브도 브레이브를 막으려 하는 것인지 유튜브와 브레이브가 서로 업데이트를 계속하며 막혔다 뚫렸다 반복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기화 기능은 로그인 및 이메일 계정을 통한 가입 절차가 필요 없다. 동기화는 랜덤 단어 QR코드또는 25개로 구성된 코드를 통해 기기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동기화 데이터가 이메일 계정에 저장되는 Firefox와는 달리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7]

2.2. Tor 네트워크 탑재

파일:Brave Tor를 이용한 새로운 비공개 윈도우 1.68.131.png
Tor 비공개 탭 화면
브레이브 설치 과정에서 토어가 같이 설치되며, 비공개 탭에서 토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래 비공개 탭은 방문 기록과 쿠키를 삭제하는 것으로 물리적으로 방문 기록이 열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지만, 인터넷 공유기에서 방문 기록이 보이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 브레이브의 비공개 탭은 토어 네트워크를 통해 IP를 숨기고 공유기에서 방문 기록이 열람당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토어 네트워크 특성상 속도는 상당히 느릴 수밖에 없으며, 일부 사이트의 접속이 불가할 수 있다. 브레이브를 켜고 단축키 Alt+Shift+N[8]을 누르면 토어 네트워크가 실행된다. 모바일에는 이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며 토어 브라우저를 따로 설치해야 한다.

2.3. Brave Firewall + VPN

브레이브 소프트웨어와 Guardian Firewall가 협업해 VPN을 지원한다. 2024년 11월 27일 기준으로 VPN은 Windows/Android/iOS/macOS에서 지원되며, 추후 linux도 지원될 예정이다.

2.4. Leo AI

Brave Leo AI
Brave에 탑재된 인공지능으로, 질문과 현재 페이지 요약, 콘텐츠 생성, 번역 등이 가능하다. 개인정보를 중시하도록 설계되어 타 인공지능 서비스와는 달리 채팅 기록, 모델 트레이닝 등의 개인 정보는 일절 사용되지 않는다. Qwen, Claude Haiku, LLaMA, Gemma의 모델을 지원한다.

Leo Premium에 구독하면 제한이 더 증가함과 동시에 DeepSeek R1, Claude Sonnet의 이용이 가능하다.

3. 속도

2021년 크롬, 엣지, 파이어폭스와의 웹 브라우저 벤치마크 비교

웹페이지 로드 속도가 빠른 블링크 엔진에서 자원을 잡아먹는 광고, 각종 추적기들을 차단하기 때문에 페이지 로드량이 줄어 매우 빠른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인터넷 환경이 나쁜 상황일 때 타 웹 브라우저보다 더 빠른 페이지 로드 속도를 보여준다.

4. Brave Search

Brave Search

2021년 6월 22일에 베타로 공개된 검색 엔진. 덕덕고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지 않으며 개인화된 검색 엔진임을 내세우고 있다. 2020년 5월에 서비스를 종료한 Cliqz의 개발사인 Tailcat을 인수한 이후 출시가 발표되었으며, Cliqz의 트위터에도 트윗이 올라왔다.#

제일 큰 특징은 다른 검색 엔진에서 결과를 가져오는 게 아닌 자체적인 색인을 사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다만 초기 단계에는 부족하여 일부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며, 그 비율을 공개하고 있다.# 결과를 편향시키는 비공개 알고리즘이 없다고 하며, 검색 순위 모델을 공개하여 다양성을 보장해 투명성을 주장하고 있다.#

Google Fallback Mixing이라는 기능을 제공하여, 검색 결과가 적은 경우 구글의 검색 결과를 가져와 함께 표시한다. 기능의 특성상 구글에 검색어가 보내지긴 하나, 브레이브 소프트웨어 측의 서버를 통해 검색 결과를 받아놓고 사용자에 전송한다. 또한 가져온 검색 결과는 Brave Search의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고 한다. #

베타인 점은 감안해야겠지만, 영어 이외의 검색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한국어로만 이루어진 검색어로 검색을 시도하면 전혀 관련 없는 유튜브 채널이 최상단에 위치하기도 한다. # 2025년 기준 개선되어 정상적인 검색 결과가 나온다.

2024년 중으로 한국어를 지원한다.

수익 모델로 광고와 유료 검색을 계획 중인 듯하다. 일정 금액을 내고 구독하면 광고 없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인 듯.

2024년부터 Brave Search에도 Leo AI 검색 요약 기능을 지원한다. 영어로 질문을 던지면 AI 창이 상단에 나와 대답해주는 식. 아예 실시간 검색 기반 답변을 미지원하는 Duck.ai와는 달리 해당 페이지의 검색 결과에 한해 실시간 검색을 통한 답변을 지원한다. 다만 한국어를 포함한 일부 언어는 아직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5. Brave Rewards

파일:Brave_Rewards.png
브레이브 페이먼트 화면
브레이브 웹 브라우저에 블록체인 기술이 들어가 있다. 광고주와 퍼블리셔와 유저 간의 광고 시장은 광고 차단과 낚시성 기사 제목, 어그로성 썸네일, 뜬금없는 팝업 광고, 불명확한 광고 수익 배분 방식 등으로 인해 심각하게 왜곡되어 있다. 유저는 광고를 최소한으로 보길 원하고 퍼블리셔는 좋은 콘텐츠에 대한 최대의 광고 수익을 원하는 것을 분석한 브레이브 소프트웨어는 양측 다 만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브레이브 페이먼트는 베이직 어텐션 토큰을 매개로 작동된다. 자세한 내용은 베이직 어텐션 토큰 문서 참조.

5.1. BAT 팁 보내기가 지원되는 브레이브 소프트웨어 인증 창작자

기본적으로 Brave Rewards를 켜면 푸시 알림으로 광고를 받게 되고 BAT 토큰을 적립할 수 있지만 이 토큰을 인출하는 것은 조건이 까다로운 편이다. 예전에는 인출이 불가능하고 팁 보내기[9]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2019년 7월 24일부터는 브레이브의 나이틀리(Brave’s Nightly Build) 버전으로 검색을 하는 사용자는 파트너 거래소인 업홀드에서 계정을 만들고 검증하면, 브레이브의 보상인 BAT 코인을 지갑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되었다. 토큰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암호화폐 거래소 업홀드(uphold)에서 신원을 검증한 후 획득한 BAT가 25BAT 이상 있어야 출금할 수 있다. 브레이브 브라우저를 통해서 uphold를 가입할 때도 25 BAT 이상을 소유하고 있어야 uphold 계정 생성이 가능하다[10]. 그래서 대다수는 그냥 팁 보내기로 소진해버리는 편.

팁 보내기가 가능한 유형은 사이트 주소, 유튜브 채널(사용자), 레딧 사용자, 트위터 사용자 등등 여러 가지 일 수 있다.
ㄱ~ㅎ, A~Z 순서.

5.2. 팁 보내기가 지원되는 공식 사이트 목록

5.3. 개별 사용자에게 팁 보내기만 가능한 플랫폼 목록

사이트에 팁 보내기가 지원되지 않지만 개별 사용자에게 팁 보내기가 가능한 플랫폼
유튜브, 레딧, 트위터, 트위치*[13],* [14]

6. 안드로이드 버전

안드로이드에서도 동일하게 브레이브 실드, 브레이브 페이먼트를 지원한다. 단, 비공개 탭에서 토어 네트워크 기능은 없다.

백그라운드 비디오 재생 기능 또한 탑재하고 있다. 유튜브 등을 접속해 화면을 끄거나 브라우저에서 홈 화면으로 나가도 비디오가 계속 재생되는 것. '설정' > '백그라운드 비디오 재생'을 활성화해야 한다.

2023년 8월 말 안정버전, 베타버전 가릴것 없이 유튜브 재생이 원활하지 않다. 한 영상 재생도 버퍼링이 심하며, 다음 영상으로 넘어갈때도 30초 이상 버벅이며 까만 화면이 지속된다. 페이지 새로고침을 하고 5초가량 기다리면 영상이 뜬다. 구글 측에서 광고차단 유틸리티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추측. 레딧 커뮤니티 브레이브브라우저 페이지에서도 많은 양덕들의 문제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프로그래머들의 추측에 의하면 광고를 스킵하는 애드블럭 기능을 막은 것으로 보이며, 광고 재생 시간동안 무음의 까만화면이 보이는 것이라고 한다.

나무위키를 열람할 때 유독 버벅임이 심하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7. 논란

7.1. 주소창 제휴코드 무단 삽입

2020년 6월 9일, 사용자에게 아무런 공지 없이 브레이브 브라우저에서 일부 사이트 주소 입력 시 자동으로 제휴 코드를 삽입하여 논란이 되었다. 관련기사 2020년 중반부터 브레이브 브라우저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특정 제휴 코드가 붙은 URL이 자동으로 완성되게 변경했다. 브레이브 소프트웨어에서는 이를 사용자들에게 공지와 동의 없이 해당 기능을 추가했다. 그동안 개인정보를 강화한 브라우저라며 광고하며 사용자를 유치해왔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배신감과 비난을 샀다. 브랜든 아이크는 제휴 코드를 넣는 것이 왜 문제가 되냐는 발언까지 해 더욱 논란이 되었다가 뒤늦게 선택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6월 11일, 결국 일부 개발자들이 모여 브레이브 브라우저를 포크해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 기존 브레이브 브라우저의 코드에서 모든 애드웨어 기능을 제거한 브라우저를 만든다는 계획으로, 제거될 기능에는 리워드, 브레이브 투게더, 브랜드 월페이퍼, 스폰 서드 컴포넌트, BAT 아이콘, 모든 광고 통합이 포함될 예정이었다. 이에 대해 브랜든 아이크는 "먼저 이름부터 바꿔야 할 것이고 또 자체적으로 많은 서비스와 업데이트 운영해야 할 것이다. 우리 서버에 무료로 올라탈 순 없다"라고 경고했다.

2020년 7월 10일, 브랜든 아이크의 지적대로, 프로젝트 이름을 Brave와 유사했던 Braver에서 Bold로 변경하였으며, 개발 방향도 브레이브에서의 포크를 포기하고 ungoogled-chromium을 가져와 새로운 웹 브라우저를 개발하는 것으로 선회하였지만, 2024년 기준으로 감감무소식이다.[15] 관련기사 볼드 브라우저 개발 깃허브

8. 문제점 및 해결법

  • 넷플릭스가 최대 720p 해상로도만 재생된다. 이는 크롬 외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 자체의 문제로 1080p 지원 확장 프로그램(github, 웹스토어)를 설치하면 FHD까지 재생 가능하지만, 4K 이상은 불가능하다.
  • 치지직에선 그리드 설치해도 무조건 720p 이상의 고화질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치지직 자체에서 브레이브 브라우저인지 감지해서 고화질 지원을 막기 때문. 이는 Brave Detection Block을 사용해 웹 사이트가 Brave 인지 판별 못하게 막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 치지직 뿐만 아니라 비슷하게 Brave에 지원을 막아놓는 웹사이트 전반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 웹페이지 번역은 자체 Brave 번역을 사용하는데, 크롬구글 번역과 비교하면 번역 속도가 다소 느리고 일부 소스코드가 깨지는 빈도가 잦다. 브레이브에서도 웹페이지 번역에 구글 번역을 사용하고 싶다면 TWP(Translate Web Pages)#github[16]#웹스토어 확장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원한다면 구글 번역 외에 빙 번역, Yandex 번역 등 다른 번역 엔진도 지원하나 보통 구글 번역이 제일 무난하다. Yandex 만큼은 번역퀄이 제일 떨어지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설치 후 텍스트를 드래그 할때마다 번역 버튼이 생기는게 불편하다면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 클릭 후 옵션에서 '선택한 텍스트에 번역 버튼 표시' 옵션을 해제하면 된다.

9. 기타

  • 2017년 12월 14일 우분투 공식 페이스북에서 브레이브 브라우저가 빠르고 안전하다며 칭찬했다.#
  • 유튜브 영상 앞에 나오는 광고를 원천 차단하여 광고 없이 영상을 바로 볼 수 있다. 향후 BAT 광고 플랫폼(BAT Ads) 서비스가 공개되면, 광고를 시청하는 소비자에게 BAT을 지급하고 원하지 않는 사람은 광고를 차단할 수 있는 선택 기능을 넣을 것으로 보인다.
  • 유튜브 애드블록 차단 이슈 이후 애드블록 대체제로 입소문을 탔으며, 막혔다 뚫렸다 하는 것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7]
  • 네이버/다음/레딧 등 웹사이트에서 로그인이 되지 않는 등 일부 웹사이트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설정에서 모든 쿠키 허용으로 바꾸면 해결된다.
  • 현재는 백엔드와 프런트엔드 모두 크로미엄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프런트엔드로 Electron 기반의 Muon을 사용하고 있었다. Muon의 마지막 버전은 0.25.2 버전이고 Muon 버전의 소스 코드는 이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15.76버전 업데이트로 모든 웹 페이지에 대한 다크 모드를 지원한다.
  • 크로미엄 계열 브라우저에 경우 Chromium 88 버전 이후로 리눅스에서 비디오 가속이 가능한데[18], 브레이브는 그 이전부터 비디오 가속을 지원하는 몇 안 되는 웹 브라우저였다.
  • 구글 측이 Manifest V3를 강제하는 정책을 2024년 6월부로 실시함에 따라 더 이상 uBlock Origin과 같은 일부 확장 기능의 이용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Firefox와 함께 Chrome 브라우저의 대안으로 더더욱 주목받고 있다. Brave 또한 Manifest V2를 계속 지원하겠다고 선언하였으며[19], 특히 크로미엄 기반 브라우저가 압도적으로 점유율이 높고 Brave 또한 전술한 논란을 제외하면 Firefox와 비슷하게 개인정보를 더더욱 중시하기 때문에 때문에 Brave의 점유율이 더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Vivaldi도 마찬가지로 Manifest V2를 계속 지원하기로 선언하였으나, 개인 정보 보호 관련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선호되지는 않는 편.
  • 보안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몇몇 국내 사이트에서 설치된 보안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트래커 차단 기능을 끄면 된다.
  • 검색엔진 중 구글에 문제가 생겼는지 검색엔진을 구글로 설정하면 Bing 혹은 구글 커스텀 서치로 검색된다.
  • Zorin OS, Nobara Linux 등의 일부 배포판에서 기본 웹 브라우저로 채택되었다.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들 기본 웹 브라우저가 Firefox인 점과는 차이가 있다.

10. 관련 문서


[1] 크롬 계열 브라우저 중에서도 업데이트가 매우 잦은 편에 속한다.[2] iOSiPadOS.[3] HTTPS 업그레이드 확장 기능.[4] 필요가 없다면 없앨 수도 있다.[5]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OS 및 브라우저 종류와 버전, 접속한 디바이스 종류 등을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사용자를 식별, 추적하는 악성 추적기. 전자 프런티어 재단에서 제공하는 Panopticlick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6] 그러나 아예 광고가 없는 것은 아니다. 유튜브는 일반 채널 영상이든 파트너 채널 영상이든 아예 없지만 트위치 혹은 아프리카TV일 경우 파트너 스트리머 혹은 BJ 방송이라면 충분히 광고가 뜨기 마련이다.[7] 다만 코드가 유출될 경우 제 3자가 다른 기기로 접근할 수 있기에 코드 표시란에는 "이 코드를 절때 노출하지 마세요"라는 문구가 있으며, 잘못하면 개인정보가 털릴 우려가 있으므로 타인에게 코드를 알려주거나 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8] 맥의 경우 Option+Command+N[9] 브레이브 브라우저는 기부를 팁 보내기라고 부른다.[10] You need to have minimum 25 BAT to create an Uphold account. Please try again later. If you already have a verified Uphold account, continue to login.[11] 여기에 연결된 링크만 지원이 되며 세이브 더 칠드런 인터내셔널과 한국 지사는 지원이 안된다.[12] 2022년 3월 14일 2시 30분부로 법률적 문제 및 구글의 요청으로 개발 중단되었다.[13] 트위치 지원 공지[14] 인증 크리에이터 등록 신청 링크. 여기서 등록을 하면 BAT 토큰 기부를 받을 수 있게 된다.[15] 마지막 코드 수정일이 2020년 6월 25일이며, 그것도 오래된 Ungoogled Chromium 코드이다.[16] 깃허브에서 설치시 확장 프로그램 페이지에서 개발자 모드를 켜고, .crx는 보안 문제로 직접 설치되지 않으니 .zip 파일 상태로 드래그하여 설치해야한다.[17] 2023년 12월 9일 기준 애드블록 차단 경고창이 뜨지 않고 광고 차단이 정상적으로 된다.[18] 88 버전 이전에도 구글에서 크롬 OS에서 쓸 목적으로 비디오 가속 관련 코드가 존재하였으나,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기본적으로 관련 코드가 비활성화되어 있었다. 브레이브처럼 제작사 차원에서 지원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강제로 비디오 가속을 활성화시켜도 작동하지 않았으며, 소스코드에 별도의 패치가 된 버전을 찾아서 설치하여야 했다.[19] What Manifest V3 means for Brave Shields and the use of extensions in the Brave browser(Br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