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프리카의 통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소말리아 실링 | 소말릴란드 실링 | 지부티 프랑 | 남수단 파운드 | |
| | | | |
에티오피아 비르 | 에리트레아 낙파 | 르완다 프랑 | 부룬디 프랑 | |
| | | | |
케냐 실링 | 탄자니아 실링 | 우간다 실링 | 말라위 콰차 | |
| | | | |
모잠비크 메티칼 | 모리셔스 루피 | 세이셸 루피 | 코모로 프랑 | |
| | |||
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 ( | 유로( (마요트, 레위니옹) | }}}}}}}}} |
Y'Amafaranga Y'Amarundi (룬디어)
Franc Burundais (프랑스어)
1. 개요
부룬디의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BIF, 기호는 F 혹은 FBU.비록 1 프랑은 100 "상팀"(centimes)으로 나뉘기는 하나, 부룬디가 독자적인 프랑을 발행한 뒤 상팀 동전은 발행되지 않는다.
인플레이션은 2007년 기준으로 7% 정도.
2. 환전
해당국 통화를 갖고 있다면 국내에서는 환전할 수 없으며 하나은행 비고시 추심 통화 목록에 없으나, 그래도 국내에서 환전해야 한다면 중고 거래나 아프리카 여행 관련 사이트에서 거래해야 한다.아래의 통화를 보유하고 있다면 부룬디의 사설 환전소이나 은행에서 환전하는 것이 좋다.[1]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2], 스위스 프랑, 덴마크 크로네
- 아프리카: 케냐 실링, 탄자니아 실링, 르완다 프랑,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남수단 파운드, 이집트 파운드
- 아시아: 일본 엔, 중국 위안
- 중동: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3. 지폐
3.1. 1차
이전의 부룬디 왕국에서 발행된 지폐의 국호를 공화국으로 수정한 형태.3.2. 2차
앞면 | 뒷면 | ||
| 10F | 부룬디 지도와 국장 | 국가 표어 |
| 20F | 전통춤 추는 전사 | |
| 50F | 은고마(전통 북) 연주자 | |
| 100F | 루이 르와가소레, 독립기념비 | |
| 500F | 구 부룬디은행 | 국장 |
| 1,000F | 넓은꼬리천연조 | 큰뿔소 무리 |
3.3. 3차
앞면 | 뒷면 | ||
| 50F | 전통 덕아웃 카누 | 고기잡이 준비, 하마 |
| 100F | 전판과 동일 | 새 집 짓는 사람들 |
| 500F | 2가지가 있다.[3] | 부룬디 은행 건물 |
| 1,000F | 여러 가지 소들과 커피 열매 | 국가 통합 기념비 |
| 2,000F | 차 수확 | 탕가니카 호 |
| 5,000F | 정부 청사 | 부줌부라 항 |
| 10,000F | 멜키오르 은다다예와 루이 르와가소레 | 공부하는 학생들[4] |
- 100프랑권은 아직 동전이 나오지 않아서 유일하게 통용을 허용하고 있다. 나머지는 모두 통용 금지.
3.4. 4차(현행권)
앞면 | 뒷면 | ||
| 500F | 커피열매, 악어 | 부룬디 지도와 전통 어선 |
| 1,000F | 소, 넓은꼬리천연조 | 부룬디 지도와 바나나나무 |
| 2,000F | 파인애플, 그레이터쿠두 | 부룬디 지도와 차 수확하는 농부 |
| 5,000F | 전통 춤, 아프리카물소 | 부룬디 지도와 키바라 국립공원 |
| 10,000F | 멜키오르 은다다예와 루이 르와가소레, 하마 | 부룬디 지도와 열대 식물 |
2023년 6월 7일, 갑작스레 고액권 2종의 색깔을 바꾼 신권을 발행했으며[5] 동시에 10일 후인 6월 16일까지만 기존 구권의 계좌 입금만 받아주고 이후로 전면 폐기하였다.
이는 시중에 고액권이 잘 유통되지 않는 현상이 일부 계층의 탈세용 지하자금 사재기로 인해서라는 정부의 판단이 있었기 때문으로, 그래서인지 현금 장롱 쌓아두기 방지의 목적으로 교환이 아닌 입금으로 제한한 것으로 추측된다.[6]
4. 주화
1, 5, 10, 50프랑 4종.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7deg, #1eb53a 10%, #fff 10%, #fff 14%, transparent 14%), linear-gradient(43deg, transparent 86%, #fff 86%, #fff 90%, #1eb53a 90%, #1eb53a 10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50%,#ce1126 5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1eb53a> 상징 | <colcolor=#000,#fff>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부룬디 왕국 · 루안다-우룬디 · 부룬디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프랑코포니 · 동아프리카 공동체 · 아프리카 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부룬디 프랑 | |
국방 | 부룬디군 | |
문화 | 요리 · 부룬디 축구 국가대표팀 · 룬디어 | |
지리 | 기테가 | |
민족 | 후투족 · 투치족 · 트와족 · 헤마족 · 스와힐리족 | }}}}}}}}} |
[1] 목록에 있다고 해도 일부 사설 환전소, 은행에서만 가능하다.[2]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3] 구권:멜키오르 은다다예, 신권:한 부룬디 화가의 그림. 옆의 도안은 신권이다.[4] 본래 미국의 사진작가 켈리 퍼잭(Kelly Fajack)이 2002년 경 아프리카 활동시 찍은 사진으로 부룬디 측이 무단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기까지 발행 후 2년간 켈리 본인은 그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한다. 결국 개정되면서 해당 이미지는 강판되었다.[5] 5,000프랑 청색▶회색 / 10,000프랑 금색▶적색[6] 하지만 최고액권인 10,000프랑도 2022년 기준으로 3.3달러 정도로 실제 가치는 상당히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