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cd00,#ffcd0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1.#26
[1] 사적 제242호로 승격[2] 보물 제2037호로 승격[3] 보물 제1310호로 승격[4]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변경[5] 보물 제943호로 승격[6] 보물 제798호로 승격[7] 보물 제796호로 승격[8] 보물 제797호로 승격[9] 보물 제1322호로 승격[A]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호로 지정변경[A] [12] 보물 제600호로 승격[13] 보물 제1349호로 승격[14] 보물 제1331호로 승격[15] 보물 제1419호로 승격[16] 보물 제1546호로 승격[17] 보물 제1376호로 승격[18] 보물 제1040호로 승격[19] 보물 제1395호로 승격[20] 보물 제1311호로 승격[21]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변경[22] 보물 제1807호로 승격[23] 보물 제2024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곡성충렬사
1.#76
[24] 보물 제1346호로 승격[25] 보물 제1347호로 승격[26]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변경[27] 보물 제830호로 승격[28] 보물 제1305호로 승격[29] 보물 제1372호로 승격[30] 보물 제1557호로 승격[31]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10호로 지정변경[32]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11호로 지정변경[33] 보물 제2122호로 승격[34] 보물 제947호로 승격[35] 보물 제945호로 승격[36] 보물 제946호로 승격[37] 보물로 승격[38] 보물로 승격[39]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6호로 지정변경[40]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7호로 지정변경[41] 보물 제1555호로 승격[42] 보물 제1307호로 승격[43] 보물로 승격[44]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12호로 지정변경[45] 보물 제1544호로 승격[46]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정수사대웅전
1.#126 남평향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176 도갑사도선국사진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보림사사천왕상복장육경합부
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화순쌍봉사대웅전목조삼존불상
1.#276 화순운주사칠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48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나주죽림사극락전영산회상도
1.#326 보성 용연사 석조불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1. 개요
寶林寺四天王像腹藏金剛般若論. 고려 고종 29년(1242)에 처음 발간했고 조선 세조 때 복원한 불경. 현재 전라남도 장흥군의 보림사에서 소장하고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로 지정되었다.2. 내용
고려 후기인 고종 시기, 1236년에 해인사 대장경판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대장도감에서 고려대장경에 편입시키기 위해 간행한 불경이다. 책에는 壬寅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彫造(임인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라는 간기가 있다.현존하는 이 책은 훗날 조선 세조가 간경도감에서 별도로 판본을 인출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외에도 송광사에는 고려 초기에 판각된 속장경(교장)판 금강반야론을 조선 세조가 복원한 판본이 하나 더 남았는데 송광사 본은 따로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과 같이 만들어진 불경으로 해동용궁사 금강반야바라밀경론이 있다.
송광사본 금강반야론과 함께 고려, 조선시대 불교문화, 인쇄술, 판목 연구에 있어 학술적, 역사적 가치가 크다.
3. 외부 링크
4.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96호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에 위치한 보림사의 사천왕상 속에 들어있던 유물 중 하나이다.
『금강반야론』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풀어 쓴 경전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책이다.
이 책은 본래 고려대장경에 속해 있었는데, 이 판본만 별도로 조선 전기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간행한 것에 대한 기록은 따로 남아 있지 않지만, 원판은 1236년 해인사대장경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기구인 대장도감에서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금강반야론』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풀어 쓴 경전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책이다.
이 책은 본래 고려대장경에 속해 있었는데, 이 판본만 별도로 조선 전기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간행한 것에 대한 기록은 따로 남아 있지 않지만, 원판은 1236년 해인사대장경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기구인 대장도감에서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