킵차크 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DB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바투 칸 | 사르타크 칸 | 울라그치 칸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베르케 칸 | 멩구티무르 칸 | 투다멩구 칸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탈라부가 칸 | 토크타 칸 | 우즈베크 칸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티니베크 칸 | 자니베크 칸 | 베르디베크 칸 | |
대혼란 시대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쿨파 칸 | 나우루즈베크 칸 | 키드르 칸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티무르 크와자 | 오르두 사이크 | 키르디베크 |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압둘라 | 무라드 | 카야르 풀라드 |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아지즈 샤이크 | 압둘라 | 울제이 테무르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하산 베그 | 압둘라 | (공석) |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툴룬 베그 카눔 | 무함마드 술탄 | 우루스 칸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하지 체르케스 | 일 베그 | 무함마드 술탄 |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우루스 칸 | 콰한 베크 | 아랍 샤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
(공석) | (공석) | 토크타미쉬 칸 |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쿠유추크 | 테무르 쿠틀룩 칸 | 샤디 베그 |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풀라드 칸 | 카림 베르디 칸 | 풀라드 칸 |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티무르 | 잘랄웃딘 젤레니 솔탄 | 카림 베르디 칸 | |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
케베크 칸 | 카림 베르디 칸 | 자바르 베르디 칸 | |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
체케레 칸 | 자바르 베르디 칸 | 다르비쉬 칸 | |
제55대 | 제56대 | 제57대 | |
카드르 베르디 칸 | 핫지 무함마드 칸 | 울루그 무함마드 칸 | |
제58대 | 제59대 | 제60대 | |
바라크 칸 | 울루그 무함마드 칸 | 사이드 아흐메트 1세 | |
제61대 | |||
퀴취크 무함마드 | |||
이흐 칸국 · 카잔 칸국 · 카심 칸국 · 아스트라한 칸국 · 크림 칸국 시비르 칸국 · 우즈베크 칸국 · 카자흐 칸국 | }}}}}}}}}}}} |
킵차크 칸국의 칸 베르케 칸 | ||
이름 | 보르지긴 베르케 | |
왕조 | 보르지긴 왕조 | |
출생 | 1207년, 몽골 제국 부르칸 칼둔 | |
사망 | 1266년, 일 칸국령 아제르바이잔 쿠라 강 | |
재위 | 킵차크 칸 | |
1257년 ~ 1266년 | ||
부친 | 주치 | |
모친 | 술탄 카툰[1] | |
종교 | 텡그리 → 이슬람 | |
자녀 | 타그타가이 카툰 지제크 카툰 우르바이 카툰 |
1. 개요
킵차크 칸국의 제4대 칸이자 칭기즈 칸의 손자, 그리고 주치의 삼남.[2] 그의 치세에 인구 조사가 실시되고[3] 행정제도의 개혁과 함께 조세 제도가 재편되는 등의 업적이 있었다. 따라서 초대 칸인 바투 칸과 함께 사실상 칸국의 기초를 세웠다고 평가된다.[4]2. 생애
베르케는 1236년 그의 형제 오르다, 바투와 함께 서방 원정에 나서서 전공을 세우면서 두각을 드러냈다. 킵차크 칸국이 설립되고 나서 바투와 그의 아들 사르타크 칸이 연이어 사망하면서 1257년 킵차크 칸국의 칸이 되었다.[5]1252년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나서 그는 독실한 무슬림이 되었는데, 1258년 사촌 훌라구가 아바스 왕조를 침공해 멸망시키고 칼리프를 죽이며 바그다드를 파괴했다는 일에 매우 분개하였고 이후 훌라구가 몽골 제국 대칸 계승 분쟁으로 인해 자리를 비운 사이에 벌어진 맘루크 왕조와 훌라구가 세운 일 칸국끼리 맞붙은 아인 잘루트 전투의 패배를 갚기 위해 훌라구가 맘루크 왕조를 재침공하자 일 칸국의 영토를 급습해 뒤통수를 친다. 또한 베르케는 맘루크의 술탄 바이바르스와 동맹을 맺음으로써 일 칸국을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기까지 했다.
이에 열 받은 훌라구 역시 군대를 이끌고 킵차크 칸국에 쳐들어 갔고 테레크강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오히려 패배한다. 이것이 몽골 제국 역사상 최초로 벌어진 내전으로 이후 일 칸국과 킵차크 칸국은 서로 집안 싸움에 돌입하는데 이후 차가타이 칸국, 오고타이 칸국까지 이 내전에 휘말리면서 몽골 제국의 분열은 가속화된다.[6]
1266년 베르케 칸은 일 칸국을 침공하나 훌라구의 아들 아바카 칸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사후에 그의 조카 뭉케 테무르가 칸위를 계승한다.
3. 평가
훌라구의 일 칸국과 대립하여 내전을 벌이는 등 몽골 제국의 분열을 가속화시켰으나 불가리아, 동로마 제국을 침공해 대외적으로는 킵차크 칸국의 영토를 넓히고 대내적으로는 수도 사라이를 건설해 중계무역의 거점으로 삼아 킵차크 칸국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내정을 안정시키는 등 킵차크 칸국의 전성기를 이룩한 칸으로 평가받고 있다.[1] 호라즘 왕조의 공주로, 몽골 군대에 사로잡힌 후 칭기즈 칸의 장남 주치와 결혼하였다.[2] 바투와는 형제 지간이었다.[3] 이는 킵차크 칸국에서 실시된 '유일한' 인구조사였다.[4] 명나라의 영락제와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5] 사르타크 칸의 죽음과 관련해서 베르케가 칸 자리를 노리고 그를 독살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6] 베르케와 훌라구의 대립에는 종교적인 사정 외에 정치적 배경도 있었는데 몽골의 관습상 원래 킵차크 칸국의 몫으로 돌아가야 했던 아제르바이잔 지역을 몽케 칸이 동생인 훌라구에게 넘겨버린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