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F2116><colcolor=#ffffff> 박연선 | |
| |
출생 | 1972년 1월 18일 ([age(1972-01-18)]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
1. 개요
대한민국의 작가. 드라마, 영화 시나리오와 더불어 소설도 집필한다.2. 활동
2003년에 영화 동갑내기 과외하기를 시작으로 영화와 드라마를 넘나들며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다. 만화적, 감성적인 요소를 많이 쓰고, 극 중 캐릭터를 잘 살려내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본인도 인터뷰에서 말하길 만화를 무척 좋아하는 편이라고 한다.이러한 감성적이고 만화적인 요소는 2007년작 얼렁뚱땅 흥신소에서 정점을 찍는데, 단순한 사랑이야기에서 벗어나 도시 속의 보물찾기를 소재로 어른들의 성장일기를 그린 이 작품은 그러나 당시 불어닥친 사극 열풍[1]에 끼여 시청률은 바닥을 찍었다. 많은 호평과 마니아층을 낳았으나 시청률은 처참하게 망해버린 그야말로 저주받은 걸작이 되고 말았다.[2]
시청률과는 정말 인연이 없는 작가 중 한 명이다. 연애시대가 최고 시청률인데, 그마저도 18% 수준이어서 당시 기준으로는 그렇게까지 잘 나온 시청률은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 작품 자체는 굉장한 호평을 받는 경우가 많고, 마니아층이 굉장히 많은 작가 중 한 명이다. 부진한 시청률은 작품 자체보다는 불운한 대진운인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난폭한 로맨스의 경우 넘사벽인 해를 품은 달(드라마)이었다. 이후 JTBC에서 집필한 청춘시대 시리즈의 경우에는 수치로만 보면 2%대로 낮지만 당시 JTBC 기준으로는 그냥저냥 나온 수준이다. 가장 최악의 케이스는 날아올라라, 나비로 원래 JTBC에서 2021년 방영 예정이였으나 출연 배우중 한 명인 심은우의 학교폭력 논란으로 국내 방영 자체가 무산되었다.
작가가 박무열, 유은재라는 이름에 유독 애착이 많다. 각각 남, 여 주인공이름으로 쓰였는데,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의 남, 여 주인공 이름에서 시작된다. 후에 연애시대에서는 여주인공 이름이 살짝 변형된 유은호이고, 박무열은 이름만 언급되는 엑스트라로 나온다.
이 이름은 화이트 크리스마스에서 약간 변형되었다가[3] 난폭한 로맨스에서도 남, 여 주인공의 이름으로 그대로 쓰이고 있다. 또한 난폭한 로맨스이후 오랜만의 복귀작인 청춘시대에서도 다시 유은재가 등장한다.
드라마가 방영될때 각 디씨 갤러리에 자주 출현한다. 얼렁뚱땅 흥신소나 화이트 크리스마스[4]가 방영될때도 여지없이 갤러리에 출현하더니, 난폭한 로맨스때도 갤러리에 나타나 댓글로 이것저것 후일담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한 유저가 내용정리한 정리본.
서스펜스, 스릴러 요소를 극에 섞어넣는 것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는 매니아를 양산케 하는 박연선의 고유한 매력으로 꼽히지만, 때에 따라서는 극의 집중도를 흩어놓는 단점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3. 작품 목록
3.1. 영화
<rowcolor=#ffffff> 연도 | 제목 | 역할 | 감독 | 비고 |
2003년 | 동갑내기 과외하기 | 시나리오 | 김경형 | |
대한민국 헌법 제1조 | 각색 | 송경식 | ||
2004년 | 그녀를 믿지 마세요 | 배형준 | ||
신부수업 | 허인무 | |||
여선생 VS 여제자 | 장규성 | |||
2007년 | 꽃미남 연쇄 테러사건 | 시나리오 | 이권 | |
2008년 | 날나리 종부전 | 원작 | 임원국 | |
2009년 | 백야행 - 하얀 어둠 속을 걷다 | 시나리오 | 박신우 | |
2012년 | 파파 | 각색 | 한지승 |
3.2. 드라마
<rowcolor=#ffffff>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연출 | 비고 |
2002년 | | 베스트극장 - 얼음 마녀 장례식에 와 주세요 | 각본 | 윤재문 | |
2003년 | 베스트극장 - 지고는 못살아 | 박홍균 | |||
베스트극장 - 사랑한다 말하기 | 백호민 | ||||
2004년 | | 파란만장 미스김 10억 만들기 | 장기홍 | ||
2006년 | 연애시대 | 한지승 | |||
2008년 | | 얼렁뚱땅 흥신소 | 함영훈 | ||
2010년 | 드라마 스페셜 - 무서운 놈과 귀신과 나 | 김용수 | |||
2011년 | 화이트 크리스마스 | ||||
2012년 | 난폭한 로맨스 | 배경수, 김진우 | |||
2016년 | | 청춘시대 | 이태곤, 김상호 | ||
2017년 | 청춘시대 2 | ||||
2019년 | 검사내전 | 크리에이터 | 이태곤, 고혜진 | ||
2022년 | [5] | 날아올라라, 나비 | 각본 | 김다예, 김보경 |
3.3. 소설
<rowcolor=#ffffff> 연도 | 출판사 | 표지 | 제목 | 비고 |
2016년 | 놀 | | 여름, 어디선가 시체가 | |
[1] 당시 매치업 상대가 이산, 왕과 나였다.[2] 시청률이 2~3% 수준이다. 광고가 2~3개 붙다가 심지어는 1개로 줄어들어 남는 시간을 전주까지의 사건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을 통해 벌충하기도 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3] 극중 여자주인공 이름이 유은성인데, 작가가 DC 갤러리에 남긴 글에 따르면, 기존의 유은재라는 이름에 배우 이은성의 이름을 더해 만들었다고 한다.#[4] 이때는 팬들이 디씨 내에 정전인 갤러리에서 활동했는데, 그곳이 바로 GP506 갤러리였다.[5] 본래 JTBC 방영 예정이었으나 심은우의 학교폭력 논란으로 인해 국내 방영이 무산되었다. 대만의 방송사 중화전신MOD(中華電信MOD)와 OTT 플랫폼에서 공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