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18 02:38:40

믹 존스(축구선수)

잉글랜드의 前 축구 선수
파일:Mick_Jones.jpg
<colbgcolor=#eee><colcolor=#000,#e5e5e5> 이름 믹 존스
Mick Jones
본명 마이클 데이비드 존스
Michael David Jones
출생 1945년 4월 24일 (80세)
잉글랜드 노팅엄셔 샤이어오크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신체 179cm
직업 축구선수(공격수 / 은퇴)
소속 <colbgcolor=#eee> 선수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1962~1963 / 유스)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1963~1967)
리즈 유나이티드 FC (1967~1975)
국가대표 3경기 (잉글랜드 / 1965~1970)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평가

1. 개요

잉글랜드의 前 축구 선수. 주로 중앙 공격수로 활약했다. 리즈 유나이티드에서 1967년부터 1975년까지 8년간 뛰며 313경기에 출전하여 111골을 기록했다. 돈 레비 감독 시절 앨런 클라크와 함께 강력한 공격 듀오를 이루며 리즈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총 3차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에 출전했으며, 1969-70 유러피언컵에서는 대회 득점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존스는 디닝턴 마이너스 웰페어에서 지역 리그 축구를 하다가 발탁되어 1961년 셰필드 유나이티드의 유스가 되었다. 중간 팀과 센트럴 리그 팀을 거쳐 1963년 4월 20일 올드 트래포드에서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로 데뷔를 했다.

4일 후인 자신의 18번째 생일에 메인 로드에서 열린 맨체스터 시티와의 경기에서 첫 2골을 넣으며 팀의 3-1 승리에 기여했다. 존스는 셰필드 유나이티드에서 통산 149경기 출전하여 63골을 기록했으며, 잉글랜드 대표팀에 2차례 선발된 상태에서 돈 레비의 관심을 받아 1967년 9월 10만 파운드의 이적료로 리즈 유나이티드로 이적했다. 당시 셰필드 유나이티드의 감독 존 해리스는 "이것은 클럽 역사상 가장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존스가 합류한 첫 시즌인 1967-68 시즌에 리즈는 리그컵을 우승했지만, 존스는 컵타이드 규정으로 인해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 하지만 인터-시티 페어스컵에서는 2골을 기록했으며, 페렌츠바로시와의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1]

다음 시즌인 1968-69 시즌에는 14골을 넣으며 리즈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1969년에는 동료 공격수 앨런 클라크가 합류하여 강력한 듀오를 구축했다.

1969-70 시즌에 리즈는 리그 타이틀과 FA컵, 유러피언컵 우승을 노리는 트레블 도전에 나섰다. 그러나 에버튼이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셀틱이 유러피언컵 준결승에서 리즈를 상대로 1·2차전 전부 승리를 거두면서 리즈는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또한 웸블리에서 열린 첼시와의 FA컵 결승전에서는 거친 모래 투성이 피치[2]에서 1-1로 비긴 상황에서 존스가 남은 시간 10분을 앞두고 왼발 슛으로 골을 넣었다. 하지만 첼시가 빨리 동점골을 넣어 재경기로 이어졌다.

올드 트래포드에서 열린 재경기에서는 전반전에 클라크의 패스를 받은 존스가 오른발 슛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첼시가 연장전에서 역전승을 거두며 리즈는 결국 시즌을 무관으로 마쳤다.

1972년에는 아스날과의 FA컵 100주년 결승전에서 클라크에게 어시스트를 제공하여 팀의 1-0 승리와 우승에 기여했다. 하지만 경기 막판에 아스널 골키퍼 제프 바넷과의 우발적인 충돌 후 어색하게 착지하면서 팔꿈치 탈구 부상을 당했다. 존스는 노먼 헌터의 도움을 받아 로열 박스까지 올라가 FA컵 우승 메달을 받았다.

하지만 이 부상으로 인해 2일 후 울버햄튼과의 리그 마지막 경기를 결장했고, 울버햄튼이 2-1로 승리하면서 리즈는 더비 카운티에 1점 차로 리그 우승을 내주었다. 1971-72 시즌에서 존스의 최고 경기는 1972년 2월 19일 엘런드 로드에서 로즈 라이벌리 상대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5-1로 꺾은 경기에서 기록한 해트트릭이었다.

다음 시즌 시작부터 29경기 무패 행진을 벌이며 존스는 14골을 넣어 리즈의 두 번째 리그 타이틀 획득에 기여했다. 하지만 이때부터 무릎 문제가 시작되어 1974년 여름 집중적인 물리치료를 받았다. 1975년 초 리저브 팀에서 다시 뛰기 시작했지만 지속적인 통증에 시달렸고, 조 조던이 9번 등번호를 이어받았다.

팀은 레비 감독이 여름에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을 맡기 위해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유러피언컵에서 FC 바르셀로나를 꺾으며 첫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존스는 시즌 내내 출전하지 못한 채 관중석에서 지켜봐야 했다. 리즈가 바이에른 뮌헨에게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패하는 것을 본 후, 무릎 문제를 극복하지 못한 채 30세의 나이로 은퇴했다. 그의 리즈 경력은 312경기 출전 111골로 마무리되었다. 존스의 공격 파트너였던 앨런 클라크는 존스가 은퇴한 후로는 예전 같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존스는 1965년부터 1970년까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중앙 공격수로 3차례 A매치에 출전했으며, 모두 친선경기였다.

1965년 5월 12일 20세의 나이로 서독과의 경기에서 국가대표 데뷔를 했으며, 잉글랜드가 1-0으로 승리했다. 두 번째 경기는 여전히 셰필드 유나이티드 소속일 때인 1965년 5월 16일 예테보리울레비 스타디움에서 열린 스웨덴과의 경기로, 잉글랜드가 2-1로 승리했다. 세 번째이자 마지막 경기는 리즈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뛴 1970년 1월 14일 네덜란드와의 0-0 무승부 경기였다.

3. 평가

미크 존스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리즈 유나이티드의 전성기를 이끈 핵심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앨런 클라크와 함께 구성한 공격 듀오는 당시 잉글랜드 축구에서 가장 위협적인 조합 중 하나였다.

존스는 뛰어난 득점 능력뿐만 아니라 동료들을 위한 플레이메이킹 능력도 겸비한 완성형 중앙 공격수였다. 1972년 FA컵 결승전에서 보여준 것처럼 중요한 순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선수였지만, 무릎 부상으로 인해 30세의 이른 나이에 은퇴해야 했던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의 은퇴 후 공격 파트너였던 앨런 클라크조차 "존스가 없으니 예전 같지 않다"고 토로했을 정도로, 리즈 유나이티드에서 그의 존재감과 중요성은 매우 컸다.
[1] 1차전에서 존스의 골로 1-0 승리, 2차전은 0-0 무승부로 리즈가 우승을 차지했다.[2] 전 주에 열린 올해의 말(Horse of the Year) 쇼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