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4:54:38

무림서부

무림서부
등장인물 설정 웹툰
장건/무공

무림서부
파일:무림서부_표지.jpg
장르 무협, 환생, 서부극, 가상역사
작가 컵라면.
출판사 문피아
연재처 문피아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본편: 2020. 11. 16. ~ 2021. 10. 13.
외전: 2021. 12. 13. ~ 2022. 01. 18.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특징5. 등장인물6. 설정7. 평가8. 미디어 믹스
8.1. 웹툰8.2. 오디오북
9. 오마주10. 기타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무협 웹소설. 작가는 《게임 속 전사가 되었다》를 집필한 컵라면.

2. 줄거리

무공이 실존하는 세상에 환생한 주인공.

바다 너머의 땅은 그가 알던 세상이 맞을까.

3. 연재 현황

문피아에서 2020년 11월 16일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2021년 1월 12일 유료연재로 전환되었다.

네이버 시리즈, 리디, 카카오페이지, 조아라에 연재본이 발매되었다.

2021년 10월 13일 총 244화로 본편이 완결되었다.

2021년 12월 13일부터 진서하 외전을 연재했으며 2022년 1월 18일 총 27화로 완결되었다.

웹툰화 이후 문피아네이버 시리즈를 제외한 타 플랫폼에서 서비스가 중지되었다.

4. 특징

독특하게도 중원을 배경으로 하지 않고 서부극가상 역사 판타지 배경에 정통 무협을 퓨전한 작품이며,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소재를 훌륭히 합쳐낸 필력으로 유명해졌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림서부/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림서부/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장건의 무공에 대한 내용은 장건(무림서부)/무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장건의 무공:
장건(무림서부)/무공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7.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00e164,#00e164><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00e164,#00e164> 파일:네이버 시리즈 로고.svg ||
별점 9.67 / 10 | 조회 수 540만 2023. 02. 04. 기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58d3f7><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58d3f7> 파일:sosul_network_icon-removebg-preview.png ||
별점 4.19 / 5.0 | 참여자 941명 2023. 12. 23. 기준


서부극, 무협 소설, 가상 역사 판타지란 얼핏 맞지 않는 세 장르를 훌륭하게 합쳐낸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다. 서부극의 클리셰인 1:1 대결, 마차강도, 아메리카 원주민 등을 무협의 방식으로 표현한 것도 장점이다. 또한 현대인의 관점에서 재현하는 무공과 그 무공을 사용한 대결을 세세하게 잘 묘사하기도 한다.

퓨전 무협임에도 오히려 원형적인 협의 낭만을 잘 살린 정통 무협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현재 무협 웹소설에서 대체로 사장된 것으로 여겨지는 근본적인 무와 협을 서부극에서 재현한 것이 독특한 부분. 다만 기본적으로 주인공이 먼치킨이기 때문에 정통 무협과 같은 왕도식 성장과는 거리가 먼 작품이다.

그러나 초반의 에피소드식 진행[1]과 느린 전개로 인해 진입이 쉽지 않다. 견뎌낸(?) 독자에게는 높은 평점을 받지만 웹소설 템포에 익숙한 대부분의 독자는 초반부에서 탈락하기 쉽다는 것. 각 에피소드별 완성도는 괜찮은 편이지만 그를 잇는 큰 줄기의 스토리가 없어서 줄거리가 진행되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아예 초반부는 이름과 설정만 보고 어느정도 스킵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밋밋한 초반부는 작가의 전작인 게임 속 전사가 되었다에서도 지적되었던 문제. 과묵한 먼치킨 주인공이 떠돌아다니다 보니 여러 사람과 엮이고 종국에는 세계의 파멸과 싸우는 전작의 플롯을 그대로 사용했다.

따라서 빠른 템포와 사이다 전개에 익숙한 웹소설 무협 독자라면 호불호가 상당히 갈릴 수 있는 작품이지만, 이러한 느린 템포와 서정적인 서사에 익숙한 정통 무협 독자라면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작중에서 서술되는 무협 소설무협 작가에 대한 헌사는 기존 무협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기도 했다.

8. 미디어 믹스

8.1. 웹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림서부(웹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오디오북

구독형 오디오북 플랫폼 윌라에서 오디오북 연재를 시작했다. # 성우진은 이동현, 박주호, 김성수, 김선웅, 정서우, 박상빈, 손효경, 유선민.

9. 오마주

서부극과 무협 소설이 섞인 탓인지 양쪽을 오마주한 장면이 등장하기도 한다.
  • 서부극
    • 셰인
      첫 에피소드가 셰인의 엔딩과 비슷하게 마무리된다.
    • 마차 추격전
      서부극에 흔히 등장하는 강도와 세금을 운송하는 마차의 추격전이 나오기도 한다.
    • 대결
      서부극대결을 모티브로 한 1:1 구도의, 찰나에 끝나는 직선적 무공 대결이 주로 등장한다.
    • 장고
      주인공의 이름 '장건'이 서부극 '장고'의 패러디라는 추측이 있다. 또한 이름이 동일한 역사적 인물로 서역실크로드 모험, 개척을 겪었던 장건을 따왔을 수도 있다. 외양은 놈놈놈정우성이 확실시.
    • 석양의 무법자
      장보도 에피소드의 엔딩이 석양의 무법자처럼 마무리된다.
  • 무협 소설
    • 태극권
      장가 태극권(壯家 太極拳). 기존 무협지에 대한 헌사의 맥락으로 언급된다. 한편 무협소설에서 흔히 언급되는 태극권의 시초 장삼봉(張三丰)을 오마주한 것으로 여겨지나, 여기에서의 장(壯)은 장건의 성이다. 한글로는 장씨라 비슷하게 읽히는 것을 유도했을 수도 있다.

10. 기타

  • 작가 후기에 의하면 '초기는 서부극에 가깝고 후기는 무협에 가깝다. 능력이 부족해서 완전히 섞어내지 못했다'고 한다.

11. 관련 문서



[1] 서부극의 클리셰 중 하나가 주인공이 방랑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