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검은 악보 |
일본어 | [ruby(黒,ruby=くろ)][ruby(楽,ruby=がく)][ruby(譜,ruby=ふ)] |
영어 | Black MIDI |
Dark MIDI라고도 부른다. 한국에서는 직역하여 Black Score라고 불리기도 한다.
악보가 검게 물들 정도로 노트를 많이 넣은 악보나 이를 연주하는 동영상을 의미했으나, 음악 평론가나 작곡가들이 비평하면서 점차 악보를 검게 만드는 '기법 또는 행위'로써의 의미로도 쓰이게 되었다.
'콘론 낸캐로우(Conlon Nancarrow)'의 자동 피아노나, 미디 프로그램을 이용한 컴퓨터 음악 등으로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연주가 가능해지면서 검은 악보의 토대가 만들어지게 된다.
2. 상세
약칭 검악. 이를 제작하는 사람들은 서로를 검악러라고 부르며 키즈펀이라는 은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서브컬처계에서 인기 있는 게임 동방 프로젝트 테마곡 위주로 어레인지되며, 간혹 대중음악이나 클래식을 취급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국내에선 네이버, 일본에선 니코니코 동화, 미국에선 유튜브 중심으로 올라온다.검은 악보의 시초가 된 일본의 '무리악보 시리즈'는 니코동에서 실제 연주를 고려하지 않은 악보 동영상에 붙는 태그였다. 악보를 출력하기 위해 MIDI 파일과 함께 업로드를 하곤 했다. 그때도 주 편곡 대상은 동방 프로젝트. 현재 기록이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무리악보 시리즈는 2007년 5월 27일에 제작된 〈楽譜で少女綺想曲〉(악보로 소녀기상곡)이다.
그러던 중 2009년 4월 30일 시라자키윳키@쿠로유키고한이 니코동에 올려져 있던 最終鬼畜妹フランドール・S의 발광 악보들을 종합하여 만든 '최종귀축 여동생 플랑드르 s의 악보를 새까맣게 해보았다'를 업로드한다. 이 이후 나이트 오브 나이츠 등 서브컬처 게임 배경 음악의 '발광 피아노 버전'이 투고 되며 서브컬처계에서 유행하게 된다.
서양권에서의 유행은 2011년에 kakakakaito1998이라는 유저가 '중학생과 초등학생이 네크로판타지아의 악보를 새까맣게 해 보았다'라는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리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네크로판타지아 악보는 제작자에 의해 두 번에 걸쳐 음표 수가 추가로 강화되었다.
한국 측에선 최종귀축 여동생 플랑드르 S의 검은 악보가 스펀지 2.0 배경음악으로 인해 유입되면서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했었고, 곧 위 세 곡과 검은 악보판 레드존이 '4대 검은 악보'라는 용어로 지칭되는 모습도 자주 보이게 되었다.
이 곡들을 시작으로 검은 악보 활동이 국내 기준 2015년까지 활발해졌고 그 이후론 점점 인기가 식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2012년부터 편곡 기법을 획일화해 음표 수가 50만, 100만을 찍으며 음표만 늘려가는 작품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 기법 #===
- 프레스[가칭]
서로 반음/온음 차이의 음들을 한꺼번에 연주하는 기법이다. 피아노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한 손가락으로 둘 이상의 건반을 누르거나, 아예 손바닥이나 팔로 건반들을 누른다. 협화음만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소음이나 악기를 구현할 때 높은 빈도로 사용한다. - 이 기법은 원래 현대 음악에서 창시된 게 아니고 약 150년 전에도 있었던 기법이다. 정식 명칭은 톤 클러스터(Tone Cluster)로, 낭만파 시대 작곡가 샤를 발랑탱 알캉이 1859년 'Une Fusée (Op. 55)'라는 곡 말미에 저음부에서 이 기법으로 폭발음을 구현한 바 있다. # 이것 말고도 에스키스(Op. 63) 45번이나 장조 에튀드(Op. 35) 7번에서도 비슷한 기법을 사용했다. 이후 레오 오른스타인(Leo Ornstein)과, 톤 클러스터의 새로운 기보법을 창시한 헨리 코웰(Henry Cowell)을 필두로 하는 현대음악에 자주 쓰이게 된다. Circus Galop에도 톤 클러스터가 사용되었다.
- 거의 모든 검은 악보 말미에는 피아노의 모든 건반을 한꺼번에 치는, 일명 올프레스(All Press)라는 기법이 등장하는데, 이제는 클리셰로 굳어진 상태이다.[2]
- X자[가칭]
악보에서 보이는 글리산도나 아르페지오 반진행의 X자 모양을 이르는 말이다. 검은 악보에서는 반음계와 분산화음을 극적인 때든 아니든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람의 한계를 벗어난 컴퓨터로 만드는 것이다 보니 3도 이상으로 광범위한 글리산도를 날리기도 한다.[4] 나이트 오브 나이츠, 네크로판타지아를 엄청 까맣게 만든 패턴으로 유명세를 탔다. - 슬로프[가칭]
음표가 마치 경사 모양으로 생긴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이라이트 부분 하면 떠오르는, 한 마디에 두 번씩 있는 보통 45° 경사를 가진 기법을 말한다. 이것 역시 나이트 오브 나이츠, 네크로판타지아로 유명세를 탔다. - 대부분 음이 올라가는 업 슬로프 형식을 가지고, 한 마디에 두 번 씩 들어가는 더블 슬로프가 기본이나 두 번째 마디마다 4번째 슬로프를 2배 짧은 슬로프 2개로 대체하는 트리플 슬로프의 형태도 많다. 업 슬로프 이외에도 음이 내려가는 다운 슬로프, 위의 두 가지가 교차하는 X 슬로프 등의 형태가 있다.
- 검은악보가 음악성을 가지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자, 위의 동일음 연타와 합쳐져 마치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듯 음을 변화, 유지를 반복해 발전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후술할 스테어와는 목적부터 다른 기법이다.[6]
- 스테어[가칭]
마치 계단처럼 음이 하나씩(반음 포함)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하는 것으로 위의 슬로프와는 다르게 단순하게 음의 변화만 나타내는 것이 목표이다. - 일반적으로 한 겹의 스테어가 사용되고, 슬로프와 마찬가지로 음이 올라가느냐 내려가느냐에 따라 업 스테어와 다운 스테어로 나뉜다.[8]
- 여러 겹의 스테어를 겹쳐 분위기에 맞게 업, 다운을 반복하기도 한다.
- 동일음 연타
동일한 음을 짧은 박자로 연타하면 기계음이나 소음을 구현할 수 있다.[9] 음표 수를 늘리기 위해 올프레스와 합쳐서 남용되는 기법으로, 악보의 막장성은 올프레스 연타의 빈도와 타수가 얼마나 높은지에 따라 결정된다. - 깔때기[가칭]라는 것이 있다. 한 음에서 시작해 빠르게 여러 음을, 최종적으로는 올프레스까지 짧은 깔때기 모양의 연타한다. 그 특성에 맞게 짧게 한 번 치는 올프레스와는 큰 차이가 있다.
- Note art
서양 검은악보의 주축을 이루는 기법으로, 소리가 나지 않는 노트들을 배열해 그림을 그리는 기법이다.이발소 앞에 붙어있는 것처럼 생긴Swirl 이 대표적인 형태이다. 음악에 따라서 넣으면 좋은 효과를 넣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다. 서양에서는 위 동일음 연타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잦은데, 너무 과도하면 Spam art 라고 불리며 동양은 물론 서양 검악 커뮤니티에서도 욕 먹는 행위이니 클라이맥스 아니면 넣지 말자.
2.1. 구성
아래는 검은악보의 일반적인 구성, 플롯이다.- 도입
악보가 그렇게 까맣지도 않고, 사람이 치는 악보에 약간의 음표가 가미되어 곡의 기본적인 멜로디를 한 번 들려주는 파트이다. - 도입 부분 앞에 음표로 글씨나 그림을 쓰기도 한다.
- 1차 하이라이트
곡의 멜로디를 유지하면서 검은악보 특유의 기법이 약간 사용되는 파트이다. - 슬로프와 낮은음 부분의 연타가 사용되나 대체로 16분음표 정도가 사용되는 편으로, 32분음표 정도로 짧은 음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작품에 따라 이게 있는 작품도, 없는 작품도, 2차 이상의 하이라이트가 있는 작품도 있다.
- 스윕
갑자기 곡이 잔잔해지거나, 느려지거나, 사람이 칠 수 있을 정도로 쉬워진다면 이 파트가 왔을 확률이 높다. - 위에서 말한 듯 곡의 템포를 낮춘 후, 점점 빨라지게 하다가 스테어부터 시작해 점차적으로 음표를 늘려 한번에 임팩트를 준다.
- 메인 하이라이트
스윕 이후 곡의 기본 멜로디가 나오고, 이후 음표가 늘어나다 메인 하이라이트에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부터는 각종 기법들이 난무하는 우리가 아는 진정한 '검은' 악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하강
하이라이트가 지난 후 템포를 유지하거나 낮추면서 결말을 향해 나아가는 단계이다. - 하강 파트 후 올 프레스를 넣는 것은 초기 검은악보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 클리셰로 받아들여진다.
- 최근엔 하강 파트 없이 하이라이트 이후 바로 올 프레스로 넘어가는 경우도 잦다. 그리고 음표수가 매우 많아질 경우 올프레스 후에 엔딩을 넣기도 한다.
- 엔딩
올 프레스 이후 높은 음으로 BPM을 매우 낮춘 상태에서 곡의 멜로디를 한 번 약하게 나타내고 끝내는 결말 이후의 파트로,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극명하게 갈린다. 플랑드르 S 에서 먼저 쓰였다가, 이후 나이트 오브 나이츠[11], 네크로판타지아[12] 에서도 쓰이기 시작한다. 일부 영상은 엔딩까지 완전히 끝날때 쯔음 암전[13]을 넣어 끝내기도 한다.
2.2. 예시
동양 스타일과 서양 스타일로 나뉜다. 대개 동양 쪽[14]은 음표수가 비교적 낮은 편이고 악보 중심의 영상을 찍는 반면, 서양 쪽[15]은 2012년 후반 들어서 정말로 많은 음표수를 자랑하며 Synthesia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시각적으로 노트에 집중된 영상을 다룬다. 가면 갈수록 두 부류는 서로의 특징이 더 양극화되어서 동양식은 음표 수를 10만 개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는 반면[16] 서양식은 수가 기본 10억~ 백억에 준하는 것도 생길 정도다. 국내에서도 2014년 이 검은악보을 제작하는 유튜버가 있다.동양(한국, 일본) 검은악보 제작자들 다수는 서양 검은악보를 반대하고 취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서양의 올 프레스로 도배된 검은악보를 보다 막상 우리나라의 작품을 보면 음량 조절, 화음 일치 등을 세심히 조절해 피아노 하나만으로 북과 같은 큰 타악기나 바이올린 같은 현악기의 소리를 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애초에 기본 악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음표를 집어넣는다는 것 자체가 음악적 능력을 요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동양 예시
서양 예시
서양 예시 2[17]
3. 음악성 논쟁
검은 악보는 현대 음악 중에서도 음악성에 대한 논란이 큰 편이다. '음악'과 '현대 음악'의 범주까지로는 인정받는 편이긴 하지만 과연 이게 진정으로 음악성이라고 할 만한 요소가 가미된 곡 또는 작곡 기법이냐는 논란에서 벗어나진 못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음악학과 교수들에게 검은악보의 음악성을 인정받으러 검은 악보 편곡자들이 답사를 가기도 했을 정도. 이런 음악성 논란이 발생하는 원인은 대개 남의 원곡을 빌려 편곡 위주로 만들고, 화성학과 대위법 같은 정형화된 학문보다도 검은 악보라는 정체성을 기초로 한다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이다. 위의 두 영상도 언뜻 보면 비교 같겠지만, 동양이나 서양이나 음표수가 적건 많던 간에 검은 악보가 음악성이 좋다고 평가받기 힘든 것은 사실이다.일반적으로 음악이란 것이 어떠 대상이나 심상과 사상 혹은 어떠한 아이디어, 어쨌든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청각적이거나 시간적으로 나타내는 예술이고, 음악성이 있다고 한다면 최소한 이에 대해 어느정도 기준에 부합해야 할 것이다. 물론 음악성이란 것은 어떻게 딱 잘라서 정의할 수도 없는 것이고 따라서 검은 악보란 것에 대해 단호하게 이것은 음악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문제가 어째서 발생하는가 생각해봐야 할 일인데, 이런 특이한 장르는 대체로 어떠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이 아이디어와 음악을 이용해서 무언가를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18] 검은 악보에선 대부분의 사용자가 그저 "악보를 채운다"는 사실에만 집착할 뿐 음악으로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지나 음악이 가지는 가치에 대해서는 전혀 주목하지 않기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위의 서양 검은악보들을 보면 2012년 후반 이후로 음악의 본질인 어떠한 생각(심상, 이미지 등)의 전달이라는 것과는 동떨어져 있다. 즉 (재)편곡자의 의도의 반영이나 이에 대한 평가가 부재되었다는 것인데, 이는 결국 검은 악보를 음악으로 보고 평가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동일하다. 악보에 작성되는 것에 대한 평가 기준이 음악에 대한 요소가 아니니 결국 음악과는 멀어지고, 단순히 기존 음악의 멜로디를 남겨놓고 어떻게 악보 공간을 채우느냐에만 집착하니 그냥 정형화된 틀 안에서 마우스 클릭 횟수와 컴퓨터 성능을 자랑하는 단순 기술 시연의 장이 되면서 예술이 아닌 일종의 기술로 경쟁하는 무대가 되는 것이다. 실제로 음표를 적당히 불렸던 4대 검은 악보 시절 초창기 곡들도 음표 수를 굳이 공개하며 게시하는 일은 많았는데, 저것만 보고 검은 악보에 있어 경쟁심을 일으키는 수치화된 지표인 음표 수에만 집착하다 보니 나온 게 바로 서양식 검은 악보들이다.
사실 검은 악보가 음악성이 있냐 없냐의 문제는 초점을 검은 악보의 어디에 두는지에 따른 관점의 차이고, 이 두 관점 중 하나를 지지하기 때문에 해결되지 않는 것이다. 검은 악보를 거시적으로 보면 검게 물들인다고 해도 원본보다 개선시키려는 노력을 통해 얼마든지 음악성이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미시적으로 보면 검은 악표의 본질인 음표를 늘리는 '행위'에 음악성이 없다고 주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방 프로젝트 음원을 사용해 막장스럽지 않고 그럴듯하게 검은 악보를 만들었다고 쳐도, 검은 악보 애호가는 마치 동방 프로젝트 어레인지 음반을 듣듯 편곡을 잘했다고 평가하는 반면 음악 평론가는 원곡빨이라고 비평해서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곡의 음표가 많다는 것이 음악성이 없다는 주장의 근거가 되기는 힘들다. 아무리 음표 수가 많더라도 그 음표들이 의미가 있도록 설계하면 그만이다. 단지 검은 악보 수준의 음표 수 만큼을 다 일일이 손으로 쓰면서 의미를 넣는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과, 음표를 늘리려고 하는 행위로만 음악성을 주장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지. 악보 대부분을 음표로만 채우면서도 모든 음표가 음악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게 하려면, 명암을 조절하는 소묘마냥 악상기호 및 강세를 하나하나 지정해줘야 한다. 그렇지만 미래에 사람이 기본 리듬만 짜고 나머지를 컴퓨터가 한다면 마냥 불가능하지는 않다. 현재 기술로도 인공지능이 작곡한 곡이라면 인간의 곡처럼 수려한 결과물은 나오지 않더라도 의미있는 음표로 가득 채우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19]
4. 여담
- 유행 시기는 비슷하지만 요정의 아리아와 죽음의 왈츠과는 관계없다.
- 캐나다의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의 자동 피아노용 작곡인 Circus Galop이 많이 엮인다. 이 곡은 고전적 작곡법에 기초하여 대위적 요소가 아주 많이 사용된 곡으로, 분석해보면 상당히 음악적으로 많은 고려를 했음이 보인다. 특히 인간 피라미드 부분을 보면 F# 단조에서 정교한 멜로디의 성부들이 코랄 형식과 같이 순차적으로 쌓이다가 반음계의 하강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음악적으로 상당히 훌륭한 묘사이며, 오케스트라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마지막 부분의 F장조의 블루스 음계를 사용한 부분도 마찬가지이다.[20][21]
- 한편 서커스 갤럽은 검은 악보로 분류되지 않는다. 검은 악보의 정의를 단순히 악보를 검게 물들일 정도로 노트를 많이 넣은 곡이라고 내린다는 가정 하에, 서커스 갤럽은 매우 정교한 고전음악이라는 사실과는 별개로 검은 악보의 정의에 가까워진다. 단지 서커스 갤럽의 음표 수가 검은 악보라는 명칭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검은 악보로 분류되지 않을 뿐이다.
- 관련 카페로 한국흑보협회가 있다. 2011년 10월 개설되었다고 하는데, 음악 애호가들의 비판을 피하다보니 폐쇄적인 성격을 띄게 되었다. 실제로 클래식 카페들은 검은 악보에 대해 비판적이다.
- 어떤 검은 악보 제작자는 자신이 만든 오리지널 검은 악보 음악을 직접 정말 들을만한 음악으로 바꾸기도 했다. 이것을 본 시청자들의 평은 "컴퓨터를 망치기만 하는 '검은 악보'가 '진짜 음악'이 되었다." 실제로 두 링크를 비교해서 들어보면 단순히 사용한 악기 뿐만 아니라 곡의 전개 면이나 완성도 차이가 뚜렷하다.
- 위 Pi를 시작으로 오리지널 검은 악보를 만드는 사람이 늘어났는데, 곡의 전개나 멜로디 등은 굉장히 괜찮은 편.
- 그렇게 검은 악보로 제작된 오리지널 음악들에 쓸데없이 많고 지저분하게 배치되기만 한 노트 수를 대폭 줄이고 깔끔하게 다듬어서 해당 음악을 멀쩡한 음악으로 바꾸는 유튜버가 있었다. 당시 해당 유튜버는 이 과정을 Deblack이라고 칭했으며, 2019년 7월에 Deblack을 그만두고 오리지널 음악을 작곡하는 데만 전념하고 있다.
- 혼자 플레이하는 게 불가능하지만 물론 사람 여럿이 붙으면 어떻게든 연주는 가능하다. #[22]
- Black MInD는 검은 악보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곡이다.
- 비슷한 의미로 '미디 변환' 시리즈가 있다. 이것도 검은 악보이긴 한데, 차이점이라면 진짜 오디오 파일을 미디로 변환한다는 점이 다르다. 원리는 수천-수만개의 음표들이 눌러지면서 음역대가 비슷해져 청각적 착각을 일으키게 되는 것.
Despacito를 사용한 예시. 이해가 안 간다면 원곡을 듣고 오자.[23]
[가칭] 실제 이름은 따로 있을 가능성이 있다.[2] 참고로 음악의 극한(통계적으로 특기할 만한 사례들)을 다룬 이 곳에 의하면, 이미 1983년에 작곡된 Joseph Schwantner의 Magabunda라는 곡에서 올프레스가 등장한다.[가칭] [4] 사실 실제 인간의 연주를 목적으로 하는 곡들에서도 다중 글리산도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악랄한 것은 아믈랭의 헝가리 광시곡 2번 카덴차에서 나오는 '옥타브 글리산도'이다. # 이런 기술들이 검은 악보에도 구현되는데, 문제는 속도가 빠르거나 색이 다른 건반이 끼어들어가는 등 도가 지나쳐서 인간의 연주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가칭] [6] 슬로프의 경우 화음이 고려되고 보통 여러 겹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테어와 구분된다.[가칭] [8] 스테어끼리 교차하는 경우는 많기 때문에 굳이 X 스테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진 않는다.[9] 이 기법은 스플리터코어나 엑스트라톤 등에서도 시도된다.[가칭] [11] 가장 대표적인 84914개 버전3분 27초 부터 보면 된다. 그 이후 100만 노트, 200만 노트, 막장 검은악보 버전인 억대 노트에도 이 엔딩이 등장한다.[12] 420만개 버전 엔딩이 제일 유명하며, 이 엔딩은 후속 버전에도 나오는데, 일부 엔딩은 BPM을 줄이지 않았다.[13] 다른 말로 페이드 아웃, 용암[14]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등.[15] 미국, 캐나다, 유럽 등.[16] 막장 검은악보가 탄생하기 전인 2012년 중반만 해도 나이트오브나이츠 84914개가 국내에서는 가장 검은 악보로 인식되었다.[17] 이것을 기점으로 막장 검은악보의 시초가 되었다.[18] 4분 33초처럼 관객의 소리도 연주가 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위한 음악이나 노이즈 같은 실험음악 장르도 엄연히 음악으로 인정받으며, 검은 악보도 엄연히 현대 음악으로 분류될 수 있긴 하다.[19] 박자나 화음 같은것의 정석에서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는 아무렇게나 음표 뿌려놔도 대충 듣기에는 어색하지는 않은것을 생각해 본다면 인공지능이 작곡 하는건 그렇게 먼 미래는 아니다. 물론 100% 컴퓨터가 작성한 곡이라면 퀄리티 이전에 과연 예술로 인정할 수 있는 지 부터가 논쟁거리이긴 하다.[20] 우리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자동피아노를 위한 곡들 대부분이 미국 태생의 자동피아노 전문 작곡가 콘론 낸캐로우(Conlon Nancarrow)의 기법을 계승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대위적인 합체를 실험적으로 많이 이용했는데, 곡이 진행될수록 성부를 하나씩 더 쌓는 것은 물론, 4:5 같이 직관을 벗어나는 비율로 대위법을 사용해서 작곡하기도 했다. 심지어 자동 피아노를 위한 에튀드 33번에서는 의 비율을 사용했으며 나 e와 같은 초월수를 이용하기도 했다![21] 사실 아믈랭은 진작에 낸캐로우를 알았는데, 1975년부터 용돈을 모아 수많은 현대음악가들의 음반을 사서 들었다고 하며, 이 덕분인지 만 18세였던 1980년 8월에 작곡된 짧은 연습곡 제1번도 낸캐로우의 자동피아노를 위한 연습곡 25번에 상당히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22] 해당 곡의 이름은 나이트 오브 나이츠다.[23] 처음의 잡음 같은 것은 뮤비의 파도소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