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10:55:05

무경칠서

무경칠서
손자병법 오자병법 육도 삼략 울료자 사마법 이위공문대

1. 개요2. 구성3. 내용4. 기타

1. 개요

무인 무 지날 경 일곱 칠 글 서
중국의 일곱가지 대표적인 병서를 묶은 명칭.

송나라 신종의 마지막 연호인 원풍 연간(1078년~1085년)인 원풍 7년(1084년) 8월에 기존에 나와 있던 병법칠서를 토대로 이 일곱서적을 뽑아 이들 병서를 무학(武學)으로 지정하면서 칠서라 부른게 유래라고 한다. 조선시대 당시에는 무과의 시험과목으로도 사용되기도 했었다.

2. 구성

3. 내용

이중 가장 유명했던 두 병서인 손자병법과 오자병법을 묶어서 손오병법이라고도 칭했으며, 육도와 삼략을 합쳐서 육도삼략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중 오자병법, 사마법은 손실된 부분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울료자 역시 완전히 보존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 병가의 율료자와 잡가로 구분되는 울료자가 있었기에 현존하는 울료자가 병가의 울료자인지, 잡가의 울료자인지, 혹은 양쪽의 혼합인지도 의문시되고 있는 상태.

오손자 손무가 저술한 손자병법의 경우 그 손자인 손빈이 저술한 손자병법과 혼동되었던 적도 있었으나, 손빈의 손빈병법이 발굴되면서 두 개의 손자병법이 동시에 공존함이 밝혀졌으며 흔히 손자병법하면 손무가 저술한 13편과 82편[6]의 손자병법을 의미한다.

손오병법을 제외한 나머지 다섯 즉 육도, 삼략, 울료자, 사마법, 이위공문대는 저자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 실제 육도나 삼략은 한나라나 수나라에 와서 저술, 통합되었다는 설도 있고 사마법 역시 사기의 저자 사마천에 따르면 그 내용이 굉장히 방대할 뿐더러 병법만을 논한 서적이 아니었다고 하며, 사마양저 본인이 저술한 것이 아니라 사마양저의 이름만 딴 병법으로 언급되어있다. 울료자 역시 방효유(方孝孺)가 위서라고 언급한 이래로, 청나라 시기 이후로는 위서라는 것이 통설이 되어버렸다. 이위공문대 역시 정사에 기록된 이정의 저술들 가운데 그 이름을 찾을 수 없고, 실질적으로 송대 이후의 무경칠서 합본이 나오기 전까지는 그 실물을 본 사람조차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증학이 발달한 명청대 이후에는 거의 위서 취급을 받고 있다. 이위공문대는 현대에는 대체적으로 당나라 말기~송나라 초기에 성립되었다고 본다.

4. 기타

  • 무경칠서 중 손자병법이 제일 많이 번역되어 있다. 손자병법은 박창희, 김광수 번역본이 많이 추천 된다. 사실 항목에서 설명되어 있듯이 이 것만 봐도 다른 병법서는 안 봐도서될 정도라고 고대부터 쭉 평가되어 왔다.
  • 서양에선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로 소개되어 있다. 당연히 여기서도 이 게 제일많이 알려져 있다.


[1] 제손자는 손무의 손자인 손빈을 칭한다.[2] 야사에서는 태공망이 쓴 책은 육도, 그 육도를 황석공이 수정하여 쓴 책을 삼략으로도 본다.[3] 한자를 잘못 읽어 '위료자'로 부르기도 한다.[4] 혹은 '사마병법', '사마양저병법'으로도 칭한다.[5] 정식 명칭은 '당태종이위공문대'.[6] 82편 손자병법이 21세기 들어서 발굴되었지만, 알고보니 82편 손자병법이 위조된 책이었다.[7] 오탈자가 많고, 번역가 주관도 많이 개입되어 있다. 현재는 번역가가 사망하여 개정판 출간도 요원해 졌다. 자서한 것은 항목 참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