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7 11:34:35

몽파르나스-비앵브뉘역

몽파르나스-비앵브뉘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 방면

생 플라시드
← -.- km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0408)
바뉴-뤼시 오브락 방면
바뱅
-.- km →
샤를 드골 에투알
방면

파스퇴르
← -.- km
파일:파리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0408)
나시옹 방면
에드가 키네
-.- km →
매리 도베르빌리에 방면
노트르 담 데 샹
← -.- km
파일:파리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0408)
매리 디시 방면
에드가 키네
-.- km →
생 드니-위니베르시테,
레 쿠르티유 방면
뒤록
← -.- km
파일:파리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0408)
샤티옹-몽루즈
방면

개테
-.- km →
다국어 표기
프랑스어 Station Montparnasse - Bienvenüe
역 운영기관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파일:파리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RATP
개업일
1906년 4월 24일
1. 개요2. 역사3. 여담


1. 개요

파리 좌안 지역의 6구, 14구, 15구의 경계에 걸쳐있는 메트로역이다. 이름에서 보이듯이 파리의 대형 철도역 몽파르나스역과 메트로의 환승역이며, 파리 메트로 4호선, 6호선, 12호선, 13호선의 4개 노선이 운행한다. 연간 이용객은 2019년 기준으로 2,985만명을 기록했다.

파리의 대표적인 막장환승역이다. 다른 막장환승역과의 차이는 이곳은 RER도 운행하지 않는데 막장환승역으로 인증받았다는 점이다. 여러 회사가 독자적으로 건설한 역을 통로로 연결하고 같은 역 이름으로 합치다 보니 생긴 결과이다.

2. 역사

1906년, 파리 도시철도(Compagnie du chemin de fer métropolitain de Paris; CMP)[1]가 2호선 남부선(la ligne 2 sud)을 개업할 때 아브뉘 드 맨(Avenue de Maine)역을 개업했다. 남부선은 그 다음해에 5호선에 흡수되는데, 1933년 역 인근의 맨 광장(place du Maine)이 비앵브뉘 광장(place Bienvenüe[2])으로 개명될 때 역 이름도 비앵브뉘역으로 바뀌고, 5호선의 북부 확장시 현행 6호선과 분리될 때 지금의 파일:파리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호선의 역이 된다.

1910년 4월,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호선의 몽파르나스역이 당시의 몽파르나스 철도역 입구[3]에 만들어졌다.

같은 해 11월, 파리 북남 전기 지하철도(Société du chemin de fer électrique souterrain Nord-Sud de Paris) A선의 몽파르나스역이 개통되었고, 먼저 만들어진 4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게 된다. 1931년 북남전기철도가 CMP에 합병되면서 이 역은 파일:파리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호선의 역이 된다.

1937년, 향후 파일:파리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호선의 역이 될 14호선[4]의 비앵브뉘역이 개통되었다. 6개월 뒤 몽파르나스역과 비앵브뉘역을 연결하는 지하 통로가 완공되었다.

1942년, 샤를 드골 에투알역에서 파리 북역 사이를 운행하던 5호선이 북쪽으로 확장되면서 남쪽 종점이 플라스 디탈리역으로 정해지는 동시에, 플라스 디탈리-샤를 드골 에투알 구간은 6호선이 승계받게 되었다. 바로 이 때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호선과 파일:파리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호선의 몽파르나스역, 파일:파리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호선과 파일:파리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호선의 비앵브뉘역이 합쳐져 지금의 몽파르나스-비앵브뉘역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3. 여담

몽파르나스역의 환승이 어려워진 것도 이러한 역사와 관계가 없지 않다. 원래 별도로 만들어진 두 개의 환승역을 지하통로로 잇다 보니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된 것이다. 옛날 이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비앵브뉘역(4, 12호선)과 몽파르나스역(6, 13호선) 안에서의 환승은 그다지 어렵지 않으나, 이 두 역을 오가는 순간 막장환승이 시작된다.

철도역과 가깝게 이어지는 역은 남쪽에 위치한 구 비앵브뉘역인 6, 13호선이고, 구 몽파르나스역인 4호선, 12호선을 이용해서 몽파르나스 철도역을 이용해야 한다면, 가까운 파스퇴르(Pasteur)역이나 라스파이(Raspail)역에서 환승할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환승거리가 이렇게 길다 보니 역 내에 세계 최고속 무빙워크를 설치하기도 했다. 개통시는 시속 11km로 작동했으나 고장이 빈번했기 때문에 결국 보통 속도로 감속해여 운전하다가 2011년 해체되었다.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리 지하철 4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상티에역|{{{#bb4b9c 상티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생플라시드역|{{{#bb4b9c 생플라시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파리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파리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width=15]] [[당페르 로슈로역|{{{#78c696 당페르로슈로(콜로넬 롤탕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파일:파리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width=15]] [[파일:파리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width=15]][[플라스 디탈리역|{{{#78c696 플라스디탈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파시역|{{{#78c696 파시}}}]]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파리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파리 지하철 12호선의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상티에역|{{{#bb4b9c 상티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생플라시드역|{{{#bb4b9c 생플라시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뤼뒤바크역|{{{#028d5b 뤼뒤바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세브르-바빌론역|{{{#028d5b 세브르-바빌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파리 지하철 13호선 아이콘.svg 파리 지하철 13호선의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지선) 라 푸르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지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RATP의 모태가 되는 기업이다.[2] 프랑스의 토목공학자 퓔장스 비앵브뉘(Fulgence Bienvenüe)를 기려 만든 광장. 파리의 메트로 시스템을 설계했다.[3] 몽파르나스 대로(boulevard du Montparnasse)에 위치[4] 현재의 14호선이 아니라 13호선의 모태가 되는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