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티아의 역대 군주 | ||||
| 네오프톨레모스 | → | 몰로소스 | → | ??? |
| <colcolor=#b59162><colbgcolor=#663333> 프티아 아이아코스 왕조 제3대 국왕 몰로소스 Μολοσσός|Molossus | |
| 부모 | 네오프톨레모스 (아버지) 안드로마케 (어머니) |
| 형제 | 아스티아낙스 (이부 형) 암피알로스 피엘로스 페르가모스 |
1. 개요
아이아키다이 가문의 왕족으로 네오프톨레모스와 안드로마케의 아들이다.2. 행적
트로이 전쟁의 대영웅 아킬레우스의 손자로, 아킬레우스의 아들 네오프톨레모스가 트로이 함락 후 트로이의 왕세자빈이자 헥토르의 아내였던 안드로마케로부터 얻은 아들이었다. 네오프톨로모스와 안드로마케의 관계를 다룬 전승은 바리에이션이 엄청나게 많은데, 몰로소스는 그 중에서도 항상 나오는 두 사람의 아들이다. 대부분 네오프톨레모스의 장남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히기누스는 암피알로스를 장남으로 기록했다.에우리피데스의 비극《안드로마케》에서는 어머니와 함께 메넬라오스와 헤르미오네 부녀에게 살해당할 뻔 했다. 다행히도 증조부인 펠레우스에게 구출되었지만 아버지 네오프톨레모스는 오레스테스를 비롯한 미케네인들에게 살해되었다.[1] 네오프톨레모스의 후계자로 아버지가 죽는 전승에서도 결국은 국왕 대행인 양아버지 헬레노스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2] 결국 어느 전승에서든 아킬레우스의 정통 후계자는 몰로소스였다. 아이아코스 왕조가 이전부터 다스린 프티아와 네오프톨레모스가 건국한 에페이로스를 물려받아 몰로시아 왕가의 창시자가 되었다.
몰로소스의 혈통은 먼 훗날 알렉산드로스 대왕까지 이어졌다.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의 어머니였던 올림피아스가 에페이로스 왕가의 혈통을 물려받았기 때문이었다.
3. 형제
형제는 전승마다 다르며, 아폴로도로스의《비블리오테케》에서는 외동으로 기록되었다.[3] 에우리피데스의《안드로마케》에서는 헤르미오네의 언급을 통해 다른 친형제들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언급되었다.[4]이름이 기록된 친형제들은 총 3명으로 암피알로스[5]와 피엘로스, 페르가모스다. 이 중에서 그나마 막내 동생인 페르가모스가 페르가몬의 창시자로 비중이 있다. 하지만 피엘로스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6]
이부형제로는 어머니 안드로마케가 전 남편 헥토르와의 사이에서 낳은 이부형 아스티아낙스와, 헬레노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케스트리노스가 있다. 다만 케스트리노스는 헬레노스의 다른 아들인 겐테르라는 전승도 있으니 확실한 이부형제는 아스티아낙스 뿐이다.
4. 관련 문서
[1] 오레스테스는 원래 헤르미오네의 약혼자였으나 메넬라오스가 헤르미오네를 네오프톨레모스와 결혼시켜서 이런 비극이 초래된 것이었다. 네오프톨레모스도 헤르미오네와 결혼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하는 오레스테스를 모욕했다.[2] 헬레노스의 친아들이었던 케스트리노스(겐테르)는 이에 분노했는데, 에페이로스는 아이아키다이 혈통이 세웠고 다스리는 국가였으니, 애초에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넘본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헬레노스가 에페이로스의 왕이 된 것과 안드로마케를 거둔 것도 네오프톨레모스의 유산을 잠시 맡아두는 형식이었다.[3] 외동이라는 것은 이부형 아스티아낙스를 제외하고, 어머니 안드로마케가 몰로소스 이후로 낳은 아이가 없다는 뜻이다.[4] 헤르미오네: "가련한 여인이여, 그대가 얼마나 어리석은 짓을 했는지 알기나 해? 그대는 그대의 남편을 죽인 자의 아들과 같이 잠자리를 같이했고, 살인자에게 자식들을 낳아주었어. 그런 것은 다 야만족의 풍습이야. 아버지는 딸과, 아들은 어머니와, 누이는 오라비와 살을 섞고, 가장 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죽여도, 그런 것을 막아줄 법이 야만족에게는 없으니까. 그런 것을 우리에게 옮기지 마."(170 ~ 177행, 천병희 역)[5] 암피알로스는 히기누스의 신화 모음집인《파불라》에서 몰로소스의 역할을 대체하는 인물이다.[6] 신화에서 비중이 없는 네오프톨레모스의 첩 라나사가 안드로마케와 동일시되면서 추가된 경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