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6 18:57:13

모리이 리도

파일:산프레체 히로시마 로고.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5 시즌 스쿼드
1 오사코 · 3 타이치 · 4 하야토 · 6 하야오 · 9 저메인 · 10 마르코스 · 13 나오토 · 14 사토시 · 15 슈토 · 17 키노시타
18 스가 · 19 사사키
C
· 21 유다이 · 24 슌키 · 25 유스케 · 26 정민기 · 30 아슬란 · 32 코시미치 · 33 시오타니
35 나카지마 · 36 이노우에 · 37 김주성 · 38 카이렌 · 39 나카무라 · 40 오하라 · 41 마에다 · 44 센바 · 51 무츠키 · 98 제르맹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스키베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MORII_Leedo.jpg
<colbgcolor=#59358c><colcolor=#fff> 산프레체 히로시마 U-18 No. 20
모리이 리도
[ruby(森井, ruby=もりい)] [ruby(莉人, ruby=リード)] | Leedo Morii
출생 2009년 1월 17일 ([age(2009-01-17)]세)
히로시마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4cm / 체중 71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59358c><colcolor=#fff> 유스 산프레체 히로시마 (2022~2026)
선수

1. 개요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

1. 개요

일본 국적의 산프레체 히로시마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파일:news_415728_11.webp
히로시마 출신으로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아카데미에서 성장하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2023년 11월 2일, 14살의 나이로 스위스 U-16과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승리했다.

2025년 6월 6일, 15살의 나이로 코트디부아르 U-16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승리했다.

4. 플레이 스타일

키가 194cm로 긴 다리를 이용한 수비와 가속 추진력이 뛰어나다. 이에 따라 배후 공간도 폭넓게 커버 가능하다.다만 키가 큰 만큼 민첩성이 떨어진다. 별개로 헛발짓도 심한 편. 키 큰 선수들이 공유하는 단점을 대체로 가진 상태이다. 기본적인 빌드업 능력이나 운동 능력은 준수한 편에 속한다. 유스 감독은 헤딩의 파워와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 과제라고 지적한 바가 있다.

5.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