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8 23:44:57

메리 토드 링컨

메리 앤 토드 링컨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D164A 20%, #0D164A 80%, #0D163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대행 제4대
마사 워싱턴 애비게일 애덤스 마사 제퍼슨 랜돌프 돌리 매디슨
제5대 제6대 제7대 대행 제7대 대행
엘리자베스 먼로 루이자 애덤스 에밀리 도넬슨 사라 요크 잭슨
제8대 대행 제9대 제9대 대행 제10대
안젤리카 싱글턴 밴 뷰런 안나 해리슨 제인 어윈 해리슨 레티시아 크리스티안 타일러
제10대 대행 제10대 제11대 제12대
프리실라 쿠퍼 타일러 줄리아 가디너 타일러 사라 차일드레스 포크 마가렛 테일러
제13대 제14대 제15대 대행 제16대
애비게일 필모어 제인 피어스 해리엇 레인 메리 토드 링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엘리자 맥카들 존슨 줄리아 그랜트 루시 웹 헤이스 루크레시아 가필드
제21대 대행 제22대 대행 제22대 제23대
메리 아서 맥엘로이 로즈 클리블랜드 프랜시스 클리블랜드 캐롤라인 해리슨
제23대 대행 제24대 제25대 제26대
메리 해리슨 맥키 프랜시스 클리블랜드 아이다 색스턴 맥킨리 이디스 루스벨트
제27대 제28대 제28대 대행 제28대
헬렌 헤론 태프트 엘렌 액슨 윌슨 마가렛 우드로 윌슨 에디스 윌슨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플로렌스 하딩 그레이스 쿨리지 루 헨리 후버 엘리너 루스벨트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베스 트루먼 매미 아이젠하워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레이디 버드 존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팻 닉슨 베티 포드 로잘린 카터 낸시 레이건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바버라 부시 힐러리 클린턴 로라 부시 미셸 오바마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멜라니아 트럼프 질 바이든
}}}}}}}}}}}}
<colcolor=#ffc224>
미합중국 제16대 대통령 배우자
메리 토드 링컨
Mary Todd Lincoln
파일:Mary_Todd_Lincoln.jpg
출생 1818년 12월 13일
미국 켄터키주 렉싱턴
사망 1882년 7월 16일 (향년 63세)
미국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
직업 정치인, 대통령 배우자
배우자 에이브러햄 링컨(1842년 결혼 ~ 1865년 사별)
자녀 장남 로버트 토드 링컨(1843~1926)
차남 에드워드 베이커 링컨(1846~1850)
삼남 윌리엄 월러스 링컨(1850~1862)
사남 토머스 태드 링컨(1853~1871)
서명 파일:메리 토드 링컨 서명.svg

1. 개요

미국의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의 아내이자 영부인이다.

2. 생애

1866년 9월 메리 토드 링컨이 링컨의 전기 작가 윌리엄 H. 헌든(William H. Herndon)과 인터뷰를 했는데 메리는 찰스 섬너와 남편 링컨이 "서로 알게 된 이후 절친한 친구였다(great chums after they became acquainted)”고 말했으며, “(링컨이) 죽을 무렵에는 남자 아이들처럼 가까이 지냈다(like boys during his last days)”고 말했다. 그리고 남북전쟁이 끝난 후 "전쟁이 끝나서 같이 기뻐했다(were so glad the war was over)"라고 말했다. #

미국 대통령 배우자 관련 여론조사를 할 때마다 항상 최악의 대통령 배우자로 뽑히는 이기도 하다. 최고의 대통령의 부인이 최악의 평가를 받는 것은 아이러니. 링컨이 결혼식장으로 가면서 "나는 지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는 것은 매우 유명한 일화. 그도 그럴 것이 남편은 남북전쟁을 맞아 예산이라든지 전쟁 비용이라든지 등 국고를 어떻게 쓸지에 대해 고심하고 있었는데, 이 여자는 금수저 출신이라는 권력욕 탓인지 평소에도 낭비벽이 심해서 백악관에 들어서자마자 2천 달러의 흰색 바늘뜨개 레이스 숄, 2천 달러의 가운, 1천 달러의 캐시미어 숄에 한 달 동안 장갑 84켤레를 구매했으며 백화점에 외상빚을 지기도 했다. 게다가 남편에게 뻑하면 고압적으로 굴곤 해서 링컨을 놀래킨 적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거기다가 백악관을 단장한답시고 국고의 돈을 함부로 팡팡 써제꼈으며 심지어 남편이 암살당하고 장례식에 참석할 때에도 최고급의 상복을 주문했을 정도이며 의회에 품위 유지비가 필요하다고 탄원한 적도 있다. 당연히 언론이나 사람들의 평판은 최악이었지만, 정작 본인은 '대통령 배우자는 항상 우아한 옷을 입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수입품을 사서 쓰는 것도 국고에 보탬이 되는 것'이라고 항변할 정도로 여전히 반성하는 모습을 안 보였다. 결국 그녀는 남편이 죽고 10년 후에 '정신이상자'로 판명되어 정신병원에 수용되었다. 그러나 백악관에서 자식을 잃은 적이 있는데[1] 그 충격이 컸는지 '심령술'에 빠져버려서 불행한 대통령 배우자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의외로 메리가 퍼스트 레이디 역할을 아예 하지 않은 것만은 또 아니다. 그녀는 당시로서는 대단히 좋은 집안과 좋은 학력의 소유자였고, 프랑스어에 능통했으며 남북전쟁 중 부상자 막사를 위문하기도 했으며 남편과 함께 전장을 직접 시찰한 적도 있다. 그리고 전대나 후대의 퍼스트레이디들도 그만한 사치는 다 부렸기 때문에 딱히 메리만 일방적으로 비난할 수는 없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또한 메리 토드가 악처라고 평가 받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링컨 대통령 본인은 무난하고 행복한 가정 생활을 했다는 평도 있다. 하지만 남편이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웅이나 다름없는 링컨이었기 때문에 그녀의 이런 행동들이 평가에 더욱 악재로 작용한다.


[1] 삼남 윌리로, 1862년 백악관에서 사망했다. 에이브러햄과 메리 사이에서는 총 4명의 아들이 태어났는데, 그 중 성인으로 무사히 성장한 자식은 장남 로버트만이 유일하다. 둘째 에드워드는 링컨이 변호사일 때 사망했으며, 막내인 토드는 에이브러햄 링컨이 사망한 후 5년 뒤에 병으로 요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