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000>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토마스 둘리 | 조슬랭 앙글로마 | 루이스 F. 테나 | 안토니 모데스테 |
| 마르코 A. 피게로아 | 마르셀로 네벨레프 | 엘링턴 세이빈 | 마르크 콜라 | |
| 하비에르 아기레 | 리 보이어 |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 테런스 존스 | |
| 캔트 홀 | 네슬리 장 | 마이클 핀리 | 찰리 슬러셔 | |
| 릴로베 양가 | 스테판 오브레 | 스턴 존 | 에즈라 헨드릭손 | |
| 프란시스코 몰리나 | 스탠리 멘조 | 페트뤼스 더 용 | 마르비크 베르무데스 | |
| 세바스티앵 미녜 | 닐 시안 제퍼스 | 키스 제프리 | 에르난 다리오 고메스 | |
| 크리스 키워먀 | 레이날도 루에다 | 스티브 맥클라렌 | 제시 마치 | |
| 조이 얍 종 | 미겔 에레라 | 유니엘리스 카스티요 | 딕 아드보카트 | |
| 에런 로렌스 | 드와이트 요크 | 토마스 크리스티안센 | 찰리 트라웃 파일:푸에르토리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 |
| 장 클로드 다르슈빌 | ||||
| <colbgcolor=#f7f7f7,#191919>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 Selección de fútbol de Nicaragua | ||
| | ||
| <colbgcolor=#0B0770><colcolor=#FFFFFF> 이름 | 마르코 안토니오 피게로아 Marco Antonio Figueroa | |
| 본명 | 마르코 안토니오 피게로아 몬테로 Marco Antonio Figueroa Montero | |
| 출생 | 1962년 2월 21일 ([age(1962-02-21)]세) | |
| 칠레 산펠리페 | ||
| 국적 | | |
| 직업 | 축구 선수 (은퇴) 축구 감독 | |
| 소속 | <colbgcolor=#0B0770><colcolor=#FFFFFF> 선수 | 우니온 라 칼레라 (1979~1983) 에베르톤 데 비냐 델 마르 (1983~1985) 아틀레티코 모렐리아 (1986~1990) 클루브 아메리카 (1990~1991) CD 코브렐로아 (1991~1993) 아틀레티코 모렐리아 (1993~1997) 아틀레티코 셀라야 (1997) CD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1998) |
| 감독 | 코무니카시오네스 FC (2001) CF 라피에다드 (2002) 아틀레티코 셀라야 (2003) 치아파스 FC (2003) 페트로레로스 데 살라망카 FC (2004) 아틀레티코 셀라야 (2005) 케레타로 FC (2005) 라가르토스 데 타바스코 (2006) 테코스 FC II (2006) 아틀레티코 모렐리아 (2006~2007) CD 코브렐로아 (2008) CD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2009~2010) 오이긴스 FC (2010) 에베르톤 데 비냐 델 마르 (2011~2012) 우니온 산펠리페 (2012) CD 코브렐로아 (2013)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2013~2014) CD 코브렐로아 (2015) 산마르코스 데 아리카 (2016~2017) 무르시에라고스 FC (2017) 오이긴스 FC (2018~2019) CD 코브렐로아 (2020) 니카라과 대표팀 (2022~ ) | |
| 국가대표 | 7경기 1골 (칠레 / 1987~1993) | |
1. 개요
칠레 출신 축구 지도자로 현재 니카라과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직을 맡고 있다.2. 선수 경력
선수 시절 조국인 칠레에서 데뷔했으나 멕시코 리가 MX로 이적한 이후 포텐이 만개했는데 특히 아틀레티코 모렐리아 1기 때는 133경기 55골, 2기 때는 134경기 75골을 터뜨리는 맹활약으로 팀을 이끌었으며 칠레로 다시 복귀한 뒤 1998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그리고 1987년 아틀레티코 모렐리아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칠레 A대표팀에 승선한 뒤 1993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2경기 1어시스트를 기록했다.
3. 지도자 경력
2001년 과테말라 리그에서 감독 커리어를 시작한 이후 2020년까지 여러팀을 맡아오는 동안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의 2009 시즌 칠레 프리메라 디비시온 토르네오 클라우수라 준우승, 에베르톤 데 비냐 델 마르의 2011 시즌 칠레 캄페오나토 프리메라 B 토르네오 클라우수라 우승 및 통합 준우승 등을 이끌었으며 그 뒤 2022년 니카라과 대표팀의 사령탑으로 선임되며 지도자 커리어 첫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게 되었다.그리고 첫 국제 대회인 2022-23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B에서 4승 2무·C조 1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적격 선수 영입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 등의 문제들이 겹치면서 차기 시즌 리그 A 승격권을 조 2위인 트리니다드 토바고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그러나 2023-24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B에서는 5승 1무·B조 1위와 함께 4시즌만의 사상 첫 CONCACAF 네이션스리그 A 승격을 이끈 뒤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2차 예선에서는 4경기 3승 1패·D조 2위로 니카라과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진출의 놀라운 성과를 이끌었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 A 승격 첫 해인 2024-25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A에서도 2승 1무 1패·B조 3위의 좋은 성적을 이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