릭 허니컷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1989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1980 | 1983 |
| ||||
릭 서클리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릭 허니컷 (텍사스 레인저스) | → | 마이크 보디커 (볼티모어 오리올스)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40번 | ||||
팀 창단 | → | 릭 허니컷 (1977~1980) | → | 딕 드레이고 (1981)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22번 | ||||
리치 지스크 (1978~1980) | → | 릭 허니컷 (1981) | → | 짐 비비 (1984)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0번 | ||||
짐 엄바거 (1975~1978) | → | 릭 허니컷 (1981~1983) | → | 토미 보그스 (1985)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23번 | ||||
데이브 색스 (1982~1983) | → | 릭 허니컷 (1983) | → | R.J. 레이놀즈 (1983~1985)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40번 | ||||
론 로니키 (1982~1983) | → | 릭 허니컷 (1983~1987) | → | 마이크 디버로 (1987~1988)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40번 | ||||
롭 넬슨 (1987) | → | 릭 허니컷 (1987~1993) | → | 카를로스 레예스 (1994)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40번 | ||||
토미 보그스 (1985) | → | 릭 허니컷 (1994) | → | 대니 다윈 (1995)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40번 | ||||
카를로스 레예스 (1994) | → | 릭 허니컷 (1995) | → | 라파엘 보어니갈 (1996) |
뉴욕 양키스 등번호 47번 | ||||
데이브 아일랜드 (1995) | → | 릭 허니컷 (1995) | → | 빌리 브루어 (1996)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32번 | ||||
존 하비안 (1994~1995) | → | 릭 허니컷 (1996~1997) | → | 대런 올리버 (1998)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40번 | ||||
스티브 슈몰 (2005) | → | 릭 허니컷 (2006~2019) | → | 지미 넬슨 (2021) |
| |
프레드릭 웨인 허니컷 Frederick Wayne Honeycutt | |
출생 | 1954년 6월 29일 ([age(1954-06-29)]세) |
테네시 주 채터누가 | |
국적 |
|
학력 | 레이크리뷰 고등학교 - 테네시 대학교 |
신체 | 185cm, 83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입단 | 1976년 드래프트 17라운드 (전체 405번, PIT) |
소속팀 | 시애틀 매리너스 (1977~1980) 텍사스 레인저스 (1981~198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83~1987)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87~1993) 텍사스 레인저스 (1994)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95) 뉴욕 양키스 (1995)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96~1997) |
지도자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투수코치 (2006~2019) |
1. 개요
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야구선수이자, 야구코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약했다.1983년 시즌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활약하며 평균자책점 부문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었는데 규정이닝을 충족시킨 상태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트레이드, 그 뒤로 허니컷의 평균자책점을 뛰어넘은 투수가 없어 내셔널 리그 소속으로 아메리칸 리그의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수상했다. 이는 1990년 윌리 맥기의 NL 타격왕 수상 사례와 유사하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이적 후에는 투수 체계의 분업화를 불러운 토니 라 루사 감독 밑에서 셋업맨으로 변신해 데니스 에커슬리의 앞을 책임지며 에이스의 리그 3연패와 1989년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 수상 내역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