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군 Armata Republicii Socialiste România Арми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Румыния Army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Romania | ||
| ||
<colbgcolor=#002b7f> 의장기 | ||
우리 조국을 위하여 Pentru Patria Noastră | ||
창군일 | 1954년 6월 1일 | |
해산일 | 1989년 12월 | |
국가 | ||
소속 | 국방부[1] | |
구성 | 루마니아 지상군 루마니아 해상군 루마니아 공군 애국근위대[2] | |
통수권자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말대 총서기) | |
지휘·감독권자 | 상장 바실레 밀레아[3] (말대 국방장관) | |
군인 최선임자 | 지상군 중장 슈테판 구셔[4] (말대 총참모장)[5] | |
상비군 | 약 210,000명 (1989년) | |
예비군 | 불명 | |
병역제도 | 징병제[6] | |
참전 | 모잠비크 내전 앙골라 내전 루마니아 혁명 | |
후신 | 루마니아군 |
[clearfix]
1. 개요
|
Armata Republicii Socialiste România |
루마니아 인민군은 소련의 도움을 많이 받아 소련군을 모티브로 창설되었지만, 차우셰스쿠 정권이 정책적으로 소련과 거리를 두며 자주국방을 이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가하였다.
2. 수뇌부
총사령관 | 국방장관 | 총참모장 겸 지상군 사령관 |
총사령관 | 국방장관 | 총참모장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대통령 | 바실레 밀레아 상장[7] | 슈테판 구셔 중장 |
해상군 사령관 | 공군 사령관 | 세쿠리타테 사령관 |
해상군 사령관 | 세쿠리타테 사령관 | |
요안 무사트 해군중장 | 기터 그리고리에 소장 |
3. 편제
3.1. 지상군
3.1.1. 제1군
3.1.2. 제2군
3.1.3. 제3군
3.1.4. 제4군
3.2. 해상군
3.3. 공군
- 제49전투·폭격항공연대
49th Fighter-Bomber Aviation Regiment - 제57전투항공연대
57th Fighter Aviation Regiment - 제67전투·폭격항공연대
67th Fighter-Bomber Aviation Regiment - 제86전투항공연대
86th Fighter Aviation Regiment - 제91전투항공연대
91st Fighter Aviation Regiment - 제93전투항공연대
93rd Fighter Aviation Regiment
3.4. 애국근위대
4. 관련 문서
5. 외부 링크
[1] Ministerul Apărării Naționale[2] Gărzile Patriotice
공안부대로, 민간 경찰, 전시 예비군 등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3] Vasile Milea[4] Ștefan Gușă[5] Chief of the General Staff[6] 여성의 경우 징병대상이 아니었지만, 말대 총서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여성의 군복무 장려 정책을 실시하여 군에 자원입대하는 것이 가능했고, 여군은 행정, 의료, 항공 등의 비전투직부터 저격수 등의 제한적인 전투직에서까지 복무가 가능하였지만, 대부분의 여군은 비전투직에서 복무하였다.[7] 루마니아 혁명 당시 차우셰스쿠의 시위대 진압 명령을 거부하다가 의문의 총살을 당하였는데 이는 나중에 자살이었던 것으로 판명이 났다. 자살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윗선에 압박에 크게 시달렸거나, 민주화 시위에 박차를 가하려 했거나 둘 중 하나였을 듯 하다.[8] 민주화 운동 진압부대(티마쇼아라 소재)[9] 특수부대[10] 계통도, 부대 배치도[11] 함선 목록, 편제, 다뉴브 전대 함선 목록[12] 50~60년대 편제[13] 계통도, 부대 배치도
공안부대로, 민간 경찰, 전시 예비군 등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3] Vasile Milea[4] Ștefan Gușă[5] Chief of the General Staff[6] 여성의 경우 징병대상이 아니었지만, 말대 총서기 니콜라에 차우셰스쿠가 여성의 군복무 장려 정책을 실시하여 군에 자원입대하는 것이 가능했고, 여군은 행정, 의료, 항공 등의 비전투직부터 저격수 등의 제한적인 전투직에서까지 복무가 가능하였지만, 대부분의 여군은 비전투직에서 복무하였다.[7] 루마니아 혁명 당시 차우셰스쿠의 시위대 진압 명령을 거부하다가 의문의 총살을 당하였는데 이는 나중에 자살이었던 것으로 판명이 났다. 자살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윗선에 압박에 크게 시달렸거나, 민주화 시위에 박차를 가하려 했거나 둘 중 하나였을 듯 하다.[8] 민주화 운동 진압부대(티마쇼아라 소재)[9] 특수부대[10] 계통도, 부대 배치도[11] 함선 목록, 편제, 다뉴브 전대 함선 목록[12] 50~60년대 편제[13] 계통도, 부대 배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