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5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총평을 정리한 문서.2. 투수
다저스의 올해 팀 평균 자책점은 3.95, 서부 지구 3위, 내셔널리그 7위, 전체 16위다.[1] 작년의 팀 평균 자책점 3.90보다 약간 높아졌다. 작년 월드시리즈 우승에도 지적받은 투수 문제가 올해까지 이어졌다.2.1. 선발 투수
올해의 다저스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선발 투수 부상자 문제로 골머리를 앓을 뻔했다.올해 5년 계약과 2,542억의 거금을 주고 영입한 블레이크 스넬이 두 경기 만에 부상자 명단으로 들어갔고, 지바 롯데에서 포스팅 시스템으로 영입한 사사키 로키 역시 제구 난조로 불안감을 보이고 5월 중순에 부상자 명단으로 들어갔다. 작년 탬파베이에서 트레이드로 영입한 타일러 글래스나우 역시 5월 말에 부상자 명단에 들어가면서 작년의 선발진의 줄부상 악몽이 재현되나 했다. 여기에 토니 곤솔린은 다시 시즌아웃되었다.
다행히 시즌 중반부터 부상자 명단에 있던 클레이튼 커쇼, 에밋 시한, 오타니 쇼헤이, 타일러 글래스나우, 블레이크 스넬 등이 차례로 돌아오며 선발진 문제는 해결되는 모양새다.
2.2. 불펜 투수
불펜 역시 선발과 마찬가지로 부상자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종잇장이 되어 팀 추락의 만악의 근원이 되었다.기껏 FA 시장에서 거금으로 데려온 태너 스캇은 블론 세이브를 남발하며, 결국 부상자 명단에 들어간 다음 8월 중순에 라이브 피칭을 재개하기 시작했고 단년 계약으로 데려온 커비 예이츠 역시 부진으로 부상자 명단에 들어갔다. 에반 필립스는 시즌아웃이 되었고, 기껏 트레이드로 데려온 브록 스튜어트는 얼마 못 가 부상으로 이탈했다. 다행히 기존의 앤서니 반다, 알렉스 베시아, 잭 드라이어, 벤 캐스패리우스, 에드가르도 엔리케스 등이 분전해줬다. 후술한 대로 불펜투수에 대해 내부적으로 해결로 결정한 것에 대해서는 전반기 대비 후반기에는 팀의 투수 관련 문제가 몇몇 경기를 제외하고는 조금씩 해결되기 시작했는데, 실제로 후반기 팀 ERA는 8월 17일까지 3.49로 30개 구단 중 4위에 해당되는 지표가 찍혔다. 사실상 전반기에 투수 지표를 다 까먹고 후반기에 조금씩 해결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9월 들어 완전히 부진해 다저스의 불펜 육성 실패에 대한 참혹한 대가를 여실히 드러냈다. 그 중 여전히 복귀 후에도 제 몫을 못하는 태너 스캇과 블레이크 트라이넨의 부진이 심각하다. 트레이드로 기껏 영입한 브록 스튜어트는 세 경기 만에 시즌 아웃이 되었다.
3. 야수
야수들도 부진과 줄부상으로 골머리를 앓았다.그중 무키 베츠와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의 부진이 치명적인데, 작년 성적[2]보다 올해 성적[3]이 굉장히 하락했다.[4] 그러나 신시내티와의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 도합 6안타로 좋은 모습을 보였다.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역시 3년 재계약을 맺은 첫 해에 작년 성적[5]보다 하락하며, 아쉬운 성적[6]을 기록했다.
여기에 맥스 먼시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인터리그 3연전 마지막 경기에서 상대 선수와의 충돌로 부상을 당해 그 여파로 부상의 악령에서 벗어나지 못해 후반기 지표상으로는 그래도 무난하게 지표가 나오는 불펜보다도 야수 쪽 플랜이 더 심하게 꼬였다고 봐도 될 정도다.[7]
가장 최악은 단년 계약으로 영입한 마이클 콘포토인데 138경기 타율 0.199 83안타 12홈런 36타점으로 왜 영입했는지 이해할 수 없는 성적인데, 트레이드 기간 방출될 것이 유력하지만, 방출되지 않고 계속해서 주전 외야수로 출장한다.
4. 프런트
4.1. FA 영입, 재계약
올해 다저스가 영입하거나 재계약을 한 FA 선수를 보면 클레이튼 커쇼와 김혜성을 제외하면 얼마나 흉작인지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 중 블레이크 스넬은 부상자 명단에서 복귀한 이후에는 다시 좋은 모습으로 로테이션을 돌아주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사사키 로키는 망가진 밸런스의 원인을 발견한 이후 정규시즌 극후반에 돌아와 망가진 불펜의 희망으로 변신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A9C><tablebgcolor=#005A9C>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5년 FA 영입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전 소속팀 | 이름 | 포지션 | 계약 | 현재 성적 | 비고 |
| | 블레이크 스넬 (Blake Snell) | 선발 투수 | 2025 - 2029 / $182,000,000[8][9] | 5승 4패 61⅓이닝 72탈삼진 ERA 2.35 | ||
| | 마이클 콘포토 (Michael Conforto) | 외야수 | 1yr / $17,000,000 | 타율 0.199 12홈런 83안타 38타점 | ||
| | 블레이크 트라이넨 (Blake Treinen) | 중간 계투 | 2025 - 2026 / $22,000,000 | 2승 7패 2세이브 10홀드 ERA 5.40 | 재계약 | |
| |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Teoscar Hernández) | 외야수 | 2025 - 2027 / $66,000,000[10][11] | 타율 0.247 25홈런 126안타 89타점 | 재계약 | |
| | 김혜성 (Kim Hye-seong) | 유틸리티 플레이어 | 2025 - 2027 / $12,500,000[12][13] | 타율 0.280 3홈런 45안타 17타점 | ||
| | 사사키 로키 (Roki Sasaki) | 선발 투수 | 2025 / 마이너리그 계약[14] | 1승 1패 2홀드 ERA 4.46 | ||
| | 태너 스캇 (Tanner Scott) | 마무리 투수 | 2025 - 2028 / $72,000,000[15] | 1승 4패 23세이브 ERA 4.74 | ||
| | 커비 예이츠 (Kirby Yates) | 마무리 투수 | 1yr / $13,000,000 | 4승 3패 3세이브 15홀드 ERA 5.23 | ||
| | 키케 에르난데스 (Kike Hernández) | 유틸리티 플레이어 | 1yr / $6,500,000 | 재계약 | ||
| | 클레이튼 커쇼 (Clayton Kershaw) | 선발 투수 | 1yr / $7,500,000 | 11승 2패 112⅔이닝 84탈삼진 ERA 3.36 | 재계약 | |
| 포스팅 시스템으로 영입한 선수 포함하여 기재함. | ||||||
4.2. 트레이드
트레이드 마감 시한에 불펜 보강과 외야 보강은 다저스의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외야수 트레이드에 대해 다저스는 스티븐 콴과 긴밀히 연결되었지만, 가디언스의 높은 조건의 충족을 거부하며 트레이드는 결렬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스티븐 콴은 데드라인에 가디언스에서 나가지 못하고 팀에 잔류한 뒤 다저스는 결과적으로 알렉스 콜을 영입하는데 그쳤고, 부진했던 마이클 콘포토를 믿는 결정을 했지만, 이는 8월에 콘포토가 처참하게 부진해 실패로 돌아간 모습이다.[16]불펜 트레이드는 컨텐더 팀들이 예년에 비해 불펜 영입에 관심을 보이며 불펜의 가치가 폭등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는데, 이 때문에 불펜투수 한 명에 팀의 거의 핵심을 내주는 상황까지 일어나자 바비 밀러를 AAA에서 불펜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함과 동시에 에드가르도 엔리케스를 재콜업하는 등 내부적으로 해결로 일찍 결정을 내렸고, 결국 타팀이 팀 상위 유망주를 내주며 불펜을 데려온 것과 달리[17] 다저스는 유망주를 지키는 한에서 당시 NPB 구단 여러 팀에서도 접촉했던 제임스 아웃맨을 내주고 브록 스튜어트를 영입했다. 그러나 스튜어트가 8월에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고, 이후 이 자리에 에드가르도 엔리케스가 콜업되었다.결과적으로 다저스는 오프 시즌 FA 영입 실패의 여파가 컸지만, 부상 선수 복귀로 인한 40인 로스터 등록 문제와 함께 달튼 러싱, 알렉스 프리랜드 등의 메이저 콜업 이후 남은 현재 다저스의 팜이 셀러 팀에게는 큰 메리트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외야수 위주로 남아버린 상위 유망주들이 구성된 현재 팜 상황으로 인해[18] 이번 트레이드에서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19] 작년의 다저스가 잭 플래허티, 토미 에드먼, 마이클 코펙 등을 영입하며 부족한 포지션을 채웠던 것과 달리[20] 올해는 전혀 윈나우 팀이라고 믿기지 않을 정도의 모습이며 오히려 유망주 뎁스만 채운 결과가 되었다. 더하여 앤드류 프리드먼 사장은 8월의 부진 속에서도 지금 로스터에 만족하며 포스트시즌에는 강하게 돌아올 수 있다는 믿음을 고수했다.
5. 월드 시리즈 우승
불안했던 패넌트레이스 이후 포스트 시즌에서 디펜딩 챔피언의 위엄이 살아났고 결국 25년 만의 월드시리즈 리핏을 달성했다.디비전 시리즈부터 타선이 부진했지만 압도적인 선발 투수진의 힘으로 월드 시리즈까지 진출했고, 윌드 시리즈에서는 타선은 물론 선발진도 약간 부진했지만, 끝까지 선발진을 지탱한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원맨쇼를 필두로 2년 연속 월드 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6. 향후 전망과 과제
그러나 챔피언십 시리즈까지 가려졌던 정규시즌 때의 약점이 알렉스 베시아의 공백과 함께 월드시리즈에서 다시 크게 드러나 시리즈 내내 발목을 잡으며 매우 고전했고, 내년에도 월드 시리즈에서 진출하여 3-peat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토브리그에서 해결해야할 많은 과제가 생겼다. 이번 시즌에는 투수 한 명의 원맨쇼와 마지막 두 경기에서 천운이 따라 전반적인 경기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기적적으로 우승했지만, 앞으로도 계속해서 우승하기 위해서는 선수 한 명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여 부담을 가중시키거나 다시는 일어나기 힘든 기적에만 매달려서는 안 된다. 정말 한 치의 빈 틈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21]전체적으로 2020년과 2024년 대비 이적생과 홈그로운을 가리지 않고 앤디 파헤스 정도를 제외하면 주축 타자들의 평균 연령도 높아져 그런 윈나우에도 현재 팜 랭킹이 1위를 달리지만, 이 선수들의 콜업까지는 전체적으로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 2025년 대비 페이롤이 꽤 빠지는 2026년에 어느 정도의 리툴링을 염두에 두고 영입 타겟을 잡는 것이 필요한 상태인데, 특히 유틸리티 자원들의 부담을 덜어줄 목적으로 카일 터커 영입전 참전은 거의 기정사실로 여겨지는 상태다.
본래 프리드먼 체제 이후의 다저스는 불펜에 다년으로 큰 돈을 들이지 않고 단년 계약으로만 외부 FA를 영입하거나 덜 다듬어진 원석 타입의 선수를 트레이드를 통해 영입하거나 드래프트 선수 중에서 옥석을 가리는 식으로 최저 연봉의 선수들을 불펜 자원으로 많이 썼는데, 이러니 16시즌 이후 켄리 잰슨에게 5년 $80M[22]과 2019~2021 시즌 조 켈리에게 3년 계약을 투자한 걸 제외하면 다년 계약의 투자는 거의 없었다. 오히려 그 동안은 외부 영입을 해도 조 블랜튼을 시작으로 단년 계약에 큰 액수를 투자해서 짧게 가는 유동성 있는 불펜 로스터를 선호했지만 2025 시즌을 앞두고 2019년 조 켈리 영입 이후 6년 만에 다시 기조를 바꿔 불펜에 엄청난 투자를 했다. 태너 스캇과 4년 $72M[23], 커비 예이츠와 1년 $13M[24], 블레이크 트라이넨에 2년 $22M[25]를 투자했다. 여기에 기존의 마이클 코펙, 브루스더 그라테롤, 에반 필립스까지 최강의 불펜진을 구축할 수 있을 줄 알았지만, 대부분 부상과 부진으로 시즌을 소화하지 못하거나 아웃되어 선발진의 타일러 글래스노우, 블레이크 스넬, 야마모토 요시노부, 에밋 시한 등의 부담이 가중되었다. 내년에 선발진은 리버 라이언, 개빈 스톤 등이 돌아오고 사사키 로키와 저스틴 로블레스키도 있어 아예 최저 연봉 홈그로운 선수들을 위주로 불펜진 재편이 사실상 유력하다. 실제로 다저스는 큰 돈을 들여서 불펜을 구축할 때보다 마이너 옵션이 2~3회로 여유가 있는 최저 연봉 선수들을 위주로 불펜을 구축할 때 실적이 더 좋았다. 아니면 이번 시즌 풀리는 불펜 투수를 노릴 가능성도 없는 건 아니다.[26]
이들 중에서 에반 필립스나 브루스더 그라테롤, 그리고 앤서니 반다는 논텐더 FA가 유력한 상태이며, 마이클 코펙도 2025 시즌 후 FA가 되어 선발 자원으로 분류되는 일부 선수 중 저스틴 로블레스키와 리버 라이언 등은 복귀하는 대로 선발보다는 불펜으로 다저스에서 커리어를 이어갈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27]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1840>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각 구단 시즌별 문제점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2024년 | 2025년 | |||
| AL 중부 5위 | NL 동부 2위 | AL 서부 2위 | NL 서부 2위 | NL 서부 1위 | |
[1] 작년 최악의 시즌을 보낸 화이트삭스보다 0.05 높고, 작년 월드시리즈에서 맞붙은 양키스보다도 0.16 높다. 꼴찌는 콜로라도의 6.03, 1위는 텍사스의 3.32다.[2] 타율 0.289 130안타 19홈런 75타점[3] 타율 0.258 152안타 20홈런 82타점[4] 그러나 베츠가 올해 도쿄 시리즈에서 선수단과 동행했지만, 구토와 체중 감소로 몸 상태가 안 좋아 조기에 귀국해 어려운 시즌을 치른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5] 타율 0.272 160안타 33홈런 99타점[6] 타율 0.247 126안타 25홈런 89타점[7] 여담으로 먼시의 작년 성적은 타율 0.232 55안타 15홈런 48타점인데, 올해 성적은 타율 0.243 76안타 19홈런 67타점으로 작년보다 근소하게 나은 성적이다.[8] 계약금 $52,000,000 / 디퍼 $62,000,000[9] club option $10,000,000 for 2030[10] 계약금 $23,000,000 / 디퍼 $23,000,000[11] club option $15,000,000 for 2028 with buyout $6,500,000[12] 포스팅 시스템[13] club option $9,500,000 for 2028-2029[14] 포스팅 시스템[15] 사이닝 보너스 20M, 디퍼 21M.[16] 그런데 가장 중요했던 8월 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홈 3연전 두 번째 경기에서 게임을 사실상 결정짓는 2타점 적시타(!)를 치면서 한창 부진해도 이런 식으로 뜬금없이 하나씩 치면서 수명 연장은 계속 한다.[17] 실제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한 메이슨 밀러의 경우 레오 데 브리스 등 팀 코어급 유망주가 거의 다 날아갔다.[18] 외야수 유망주의 경우 타격 오버롤이 최상위권이 될까말까한 수준이어야 셀러 팀에서도 군침을 흘릴 법한데, 이게 아니라면 내야수 경쟁에서 밀려난 유망주를 전향시키면 되어 굳이 트레이드로 수급할 이유가 없다.[19] 다저스가 노렸던 선수로는 엠마누엘 클라세, 조안 두란, 그리핀 잭스 등이 언급되었지만 클라세는 스포츠 도박 사건에 연루되었고, 다른 선수들은 다저스가 높은 대가를 지불하기 꺼린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시즌은 선발 로테이션에 들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에밋 시핸 등의 선수를 불펜으로 돌릴 것으로 보인다. 2017년 당시의 휴스턴 애스트로스가 이런 식으로 포스트시즌 투수 로스터를 짰다.[20] 다만 이 트레이드 당시에도 미겔 바르가스 정도의 자잘한 유망주만 나갔을 뿐 다저스는 2021년 맥스 슈어저, 트레이 터너 영입 이후에는 코어급 유망주가 나가는 이상의 빅 딜을 4년째 하지 않는다.[21] 챔피언십 시리즈가 시행된 1969시즌을 기준으로 3연속 이상 월드 시리즈 진출에 성공한 케이스는 1969~1971년 볼티모어 오리올스, 1972~1974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76~1978년 뉴욕 양키스, 1988~1990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98~2001년 뉴욕 양키스(1969년 이후 유일한 4년 연속 진출)로 5차례에 불과하다. 또한, 챔피언십 시리즈 시행 이후 2연속 월드시리즈 우승에 성공한 팀들 중에 바로 다음해에 디펜딩 챔피언 신분으로 챔피언십 시리즈를 승리하고 3년 연속 월드시리즈 진출에 성공한 팀은 1974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WS 3연패 성공)와 2000년 뉴욕 양키스(WS 3연패 성공)로 2차례 밖에 없다. 게다가 앞의 케이스에서 나열한 팀들은 모두 다 아메리칸 리그 소속 팀이다. 다르게 말하면 챔피언십 시리즈 시행이 이루어진 1969년을 기준으로 내셔널 리그 팀은 단 한 번도 3연속 월드시리즈 진출을 하지 못했다.[22] 약 1,145억[23] 약 1,030억[24] 약 186억[25] 약 315억, 트라이넨도 처음에는 2020년에 단년 계약으로 다저스에 입성했다.[26] 에드윈 디아스, 로베르트 수아레스, 피트 페어뱅크스 등 나름 준수한 마무리 투수들이 FA로 풀린다. 그러나 이미 거금을 들여 영입한 태너 스캇의 전례로 불펜에 큰 돈을 쓰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27] 로블레스키는 대체 선발로는 꽤나 기복이 있는 모습으로 불펜으로는 후반기부터 월드 시리즈까지 맞는 경기가 있는 것을 감안해도 꽤나 나쁘지 않은 모습으로 특히 월드 시리즈에서는 100마일짜리 보더라인 패스트볼을 던지는 등 다저스의 좌완 불펜 중 거의 유일하게 믿을맨 역할을 했다. 특히 알렉스 베시아의 가족 문제 공백과 잭 드라이어도 월드 시리즈에서는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해 로블레스키의 활약이 더욱 빛이 난 것은 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