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4 02:30:09

레옹 블루아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e0e0e0> 레옹 블루아
Léon Bloy
출생 1846년 7월 11일
프랑스 누벨아키텐 도르도뉴 페리괴
사망 1917년 11월 3일(향년 71세)
프랑스 부르라렌
묘소 부르라렌의 조경 공동묘지
부모 장 바티스트 블루아
(Jean-Baptiste Bloy)

안 마리 카로
(Anne-Marie Carreau)
종교 가톨릭
배우자 잔 몰베크 블루아
(Jeanne Molbech-Bloy)
자녀 베로니크 블루아 티히
(Véronique Bloy-Tichý)

미들렌 블루아 수베르비에
(Madeleine Bloy-Souberbielle)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작가
서명 파일:Léon_Bloy_-_Signature_vec.svg

1. 개요2. 생애3. 저서4. 여담

1. 개요

1846년 7월 11일 페리괴에서 태어난 프랑스소설가이다. 그의 아버지는 공무원이자 프리메이슨 회원이었고, 어머니는 프랑스 병사와 스페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열렬한 가톨릭 신자였다.[1]

2. 생애

3. 저서


기타 저서는 다음을 참조 하시오#.

4. 여담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는 교황 즉위 다음 날[2], 추기경단과 함께 봉헌한 첫 미사 강론에서 레옹 블루아를 언급했다.#

프랑스 철학자이자 토마스주의자 중 한명인 자크 마리탱대부이다.[3]#

"결국 단 하나의 비극이 있을 뿐이다. 성인이 되지 못한 것 말이다(There is only one tragedy in the end, not to have been a saint)." 블루아의 일기에서 발견된 이 문장은 20세기 이후 베네딕토 16세프란치스코, 주교·평신도 설교에서 꾸준히 인용되며 현대 가톨릭 영성 어록의 단골 레퍼런스가 되었다.
[1] 1811년 나폴레옹 전쟁 중 만났다고 전해진다.[2] 2013년 3월 14일[3] 자크 마리탱과 그의 아내가 세례를 받을 때 블루아가 대부가 되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