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레고 닌자고 설정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기 & 도구 황금무기ㆍ스네이크 지팡이ㆍ렐름 크리스탈ㆍ타임 블레이드ㆍ벤지스톤ㆍ크로노스틸ㆍ폭풍의 부적&파도의 부적ㆍ드래곤 에너지ㆍ드래곤 상아 |
차원, 지역 16개의 차원· 차원 별 지역ㆍ닌자고 내 지역 | |
기술 스핀짓주ㆍ에어짓주ㆍ원소 드래곤ㆍ섀터스핀ㆍ라이징 드래곤 | |
원소의 힘 창조ㆍ파괴ㆍ에너지ㆍ어둠ㆍ골드 파워 | |
차량 드래곤 전함· 아군 차량ㆍ적군 차량 | |
기타 병합ㆍ타임라인ㆍ복장ㆍ언어ㆍ종족 |
1. 개요
닌자고 시리즈에 등장하는 차원을 정리해 놓은 문서. 닌자고를 제외하고 모두 16개의 차원으로 되어있다. 제작진 토미 안드레아센의 언급에 따라 닌자고는 16가지 차원에 포함되지 않으며, 닌자고+16가지 차원으로 "총합" 17가지 차원이라는 언급 역시 있었기에 드래곤과 도깨비의 차원은 16가지 차원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까지 총 14가지의 차원이 공개되었고 현재는 병합으로 인하여 모두 하나의 차원이 되었다.2. 목록
2.1. 도깨비와 드래곤의 차원/퍼스트 영역/퍼스트 랜드
<nopad> | |||
최초의 차원 | |||
홈페이지 설명 | |||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드래곤과 도깨비의 차원은 말 그대로 용과 도깨비의 서식지에요. 서로의 지역은 갈라져 있고 둘다 남의 지역에는 넘어갈 수 없어요. 용의 지역은 드래곤 헌터들과 드래곤이 살고 도깨비의 지역은 흑마술을 쓰는 무서운 도깨비들이 살아요. | }}}}}}}}} |
시즌 9의 메인 차원이다. 닌자고 최초의 세계이다. 드래곤들의 고향이고 이곳에는 드래곤, 드래곤 헌터, 도깨비들이 거주했다.[4] 현재는 도깨비들은 전부 떠난 상태. 드래곤 헌터들은 피부색이 하얀색이고 눈이 빨간색이며 아이언 배런이 끔살당한 후에는 드래곤 사냥을 그만뒀다. 시즌 8 막화부터 시즌 9 전체에서 나왔으며, 시즌 10에서 등장, 이후 시즌 11에서 여행자의 차로 차원의 문을 열 때 재등장한다. 드래곤 라이징에선 데보니안 종족과 드래고니안 종족도 최초의 차원에서 살고 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제작진에 의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최초의 차원에서 살고 있는 드래곤 헌터들의 선조들은 원래 템플 시티에서 살던 사람들로, 최초의 차원에서 경기가 열렸을 때 최초의 차원에서 남아 살기로 결정한 사람들이라고 한다.#
2.2. 닌자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지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지하세계
<nopad> | |||
지하세계 | |||
홈페이지 설명 | |||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하세계는 죽음의 영역이에요. 죽은 후에도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완전히 깨닫지 못 했거나 받아들이지 못한 전사들이 배회하는 곳이죠. 이른바 스컬킨이라 불리는 스켈레톤 군단의 본거지랍니다. 지하세계는 어두운 곳이에요. 거대한 땅덩이들이 공중에 떠 있고, 스켈레톤 병사들이 다리를 설치하여 서로를 연결해 놓았어요. 닌자고 세계와 지하세계는 드래곤[5]이나 스켈레톤 전투 차량을 이용해 오갈 수 있어요. 한때 불의 신전[6] 안에도 지하세계로 이어지는 통로가 하나 있었으나, 카이가 파괴해 버렸죠. 제왕 가마돈의 암흑 성은 한때 지하세계를 지배하던 사무카이의 기억을 간직한 채[7]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어요. | }}}}}}}}} |
I thought the Spectral Lands were where people pass through to whatever's after this life. So then what's the Underworld?
근데 나는 죽은 사람들이 삶이 끝난 후에 가게 되는 곳이 스펙트럴 랜드라고 생각했는데. 그럼 지하세계는 어떤 곳이야?
-아린
Similar, but only disgraced warriors end up there.
비슷하긴 하지, 수치스러운 전사들만이 가는 곳이다.
-라스
파일럿에서 닌자들이 창조의 회오리바람[8]으로 저 성을 대관람차로 만들어 버린적이 있는데 시즌 11에서 다시 성으로 개조되어 있다.[9] 작중 묘사를 보면 말그대로 다른 차원이지만 닌자고 아래 있는듯 하며[10] 해골거미들도 서식하고 있다. 해골 군단의 차량으로 최고속도로 달리면 이곳으로 올 수 있고[11], 섬 아래는 용암으로 되어있다.근데 나는 죽은 사람들이 삶이 끝난 후에 가게 되는 곳이 스펙트럴 랜드라고 생각했는데. 그럼 지하세계는 어떤 곳이야?
-아린
Similar, but only disgraced warriors end up there.
비슷하긴 하지, 수치스러운 전사들만이 가는 곳이다.
-라스
시즌 5에서는 모로와 로이드의 전투에서 렐름 크리스탈을 사용하여 나온 적이 있다. 시즌 11의 26화에서 마스터 우와 픽셀이 여행자의 차로 네버 영역에서 닌자들을 구출하려 차원의 문을 열때 지하세계 차원이 등장한다.[12] 암흑의 성은 제왕 가마돈이 거주하던 성.
드래곤 라이징에서 해골군단 뿐만 아니라 그린본 워리어즈라는 종족도 있던것으로 밝혀졌다.
닌자고 매거진에 따르면 사무카이 이전에 본 킹이 지하세계의 왕이었으나, 사무카이가 그를 끌어내리고 왕이 되었다고 한다.
전제군주제로, 지하세계의 왕은 순서대로 본 킹 -> 사무카이 -> 가마돈 -> 크런차 -> 클라우즈 -> 알수없음이다.
2.4. 진자고
#!if 넘어옴1 != null
'''진자고'''{{{#!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클래시 로얄의 진화 카드 자이언트 고블린}}}에 대한 내용은 [[자이언트 고블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자이언트 고블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자이언트 고블린#진화|진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클래시 로얄의 진화 카드 자이언트 고블린: }}}[[자이언트 고블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자이언트 고블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자이언트 고블린#진화|진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nopad> | |||
진자고 | |||
홈페이지 설명 | |||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진자고는 닌자고 세계와 연결된 16개의 평행 세계 중 하나이며, 렐름 크리스탈[13]을 통해 갈 수 있어요. 나다칸처럼 다른 사람의 소원을 들어줄 힘을 가진 진 종족의 고향이죠. 진자고는 하늘에 떠 있는 섬나라인데, 고대의 석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요. 그런데 닌자들이 저주의 땅(파멸의 지배자)을 파괴하면서 얼떨결에 진자고 세계까지도 파괴해 버렸지 뭐예요(차원 공간에서 진자고와 파멸의 지배자(저주의 땅)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서로 영향을 미친 것이에요).[14] 그러한 이유로 나다칸이 닌자고 섬에서 훔쳐낸 땅덩어리를 이용해 하늘 위에 진자고를 재건하려 했던 것이고요. | }}}}}}}}} |
나다칸이 닌자들에게 복수하려던 이유가 바로 이 차원 때문이다. 16개의 차원 중 하나이며, 나다칸의 아버지인 칸지칸이 다스리고 있었으나 닌자들에게 파멸의 지배자가 사망, 저주의 땅이 파괴되면서 그 영향으로 진자고 역시 붕괴하게 되었다. 몇몇 팬들은 제이의 마지막 소원[15]의 영향을 받아 진자고가 재건된 게 아니냐고 추측하는 사람도 있으나 제작진 토미 안드레아센의 언급에 따르면 다른 차원에는 영향이 없었을 것이라 했고 저주의 땅의 파괴에 의해 일어난 일이기에 진자고는 파괴된 것이 맞다. 저주의 땅의 파괴로 인한 연쇄작용 때문에 진자고가 멸망하였기에 파멸의 지배자의 욕심 때문에 멸망한 최대 피해자이다.
제작진 토미 안드레아센의 언급에 따르면 모든 차원은 서로 연결 되어있는, 일종의 자매 차원을 가지고 있는데, 저주의 땅과 연결되어있던 차원이 하필 진자고였기 때문에 진자고가 멸망한 것이다.[16] 단, 지금까지 작중 묘사를 보아 단순히 한 차원이 무너지면 그 자매 차원까지 무너지는 것 뿐 모든 차원에 영향을 끼치진 않는 것으로 보인다.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에서 아라코어의 소원의 힘으로 이 영역이 다시 생겨날 가능성이 생겼다.[17]
레고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3에서 아라코어에 의해 재건되고 있는 모습이 등장했다.
여담을 닥 와이엇의 언급에 따르면 진자고 출신 원소 마스터는 없다고 한다.
2.5. 어둠의 세계/광기의 세계/광기의 왕국
<nopad> | |||
어둠의 세계 | |||
홈페이지 설명 | |||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어둠의 영역은 사악한 무리들이 번성하기에 딱 좋게끔 그늘지고 뒤틀린 곳이에요. 여기서는 모든 규칙이 거꾸로랍니다. 그래서 제왕 가마돈이 지하세계에서 탈출한 후 이곳을 찾은 것이고요. 결국 그는 어둠의 영역에 깃든 힘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켰고, 팔이 두 개 더 생겨나면서 스핀짓주 황금 무기 네 개를 한꺼번에 휘두를 수 있는 능력을 얻었어요. 어둠의 영역에는 머드 몬스터와 크래글링 같은 무시무시한 괴물들이 살고 있어요. 묘하게도 닌자고 세계로 돌아가려면 미치광이 산 꼭대기의 분화구로 뛰어들어야 한다네요. | }}}}}}}}} |
시즌 1 때 제왕 가마돈이 갇혀있던 차원이다. 그리고 제왕 가마돈이 인간으로 돌아온 이후 언급이 없다가 고스트 닌자고에서 모로와 로이드가 렐름 크리스탈을 두고 싸울 때 잠깐 등장했다. 미치광이 산은 어둠의 세상에서 닌자고로 넘어갈 수 있는 장소로 산 꼭대기의 분화구에 물 형태의 포탈이 있으며 달이 뜨기 전에 가야한다. 주위엔 크래글링들이 잔뜩있다. 시즌 1에서 마스터 우와 가마돈이 닌자고로 넘어가기 위해 미치광이 산으로 갔었다.
또한, 시즌 5 10화에서 로이드가 렐름 크리스탈로 미치광이 산의 분화구에 포탈을 생성하여 구름의 왕국으로 건너갔다.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에서 병합되어 크래글링 왕이 광기 왕국이 되었다고 말한다. 또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관리부도 광기의 세계에 있었던 곳이다.
2.6. 구름의 왕국/클라우드 킹덤
<nopad> | |||
구름의 왕국 | |||
홈페이지 설명 | |||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닌자고 세계와 연결된 16개의 평행 세계 중 맨 마지막 번째 세계인 구름의 왕국은 아마도 모든 영역 중에서 가장 신비로운 곳이 아닐까 싶어요. 바로 이곳의 주민들이 실제로 닌자고 세계에서 살아가는 모든 자의 운명을 써 내려가거든요.[22] 콜이 유령으로 변할 것이고[23] 쟌은 목소리를 되찾을 것이며 로이드가 그린 닌자가 되리라는 것도 모두 이곳에서 결정했고요. 하지만 모로는 저주의 영역으로 떨어지리라는 자신의 운명[24]을 어찌어찌 벗어났는데, 혹시 구름의 왕국의 누군가가 그를 도와주고 있는 것인지도 몰라요. 이 세계는 구름 위에 지어진 아름다운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리고 성스러운 검이 보관되어 있는 높다란 탑이 하나 웅장하게 서 있죠. | }}}}}}}}} |
In the Cloud Kingdom, they believe everything they write in their scrolls is immediately what happens in real life.
여기 클라우드 킹덤 사람들은 자신들이 뭐든지 글로 쓰면 그게 곧바로 현실이 된다고 믿거든.
-카이
고스트 닌자고 때 성스러운 검을 가지러가기 위해 눈 먼 자의 눈을 통해 넘어갔던 곳이다. 이곳에 사는 구름의 왕국 작가들은 이 세상의 모든 운명들을 결정한다.[25] 시즌 11에서 잠깐 등장한다.여기 클라우드 킹덤 사람들은 자신들이 뭐든지 글로 쓰면 그게 곧바로 현실이 된다고 믿거든.
-카이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5화에서 재등장한다.[26][27] 여기서 약간의 설정변경이 이루어지는데 고스트 닌자고 때는 그들이 정한 운명이 정말 그대로 실현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드래곤 라이징에서부터는 닥 와이엇의 언급에 따르면 영향을 주긴 하지만 운명을 완벽히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28] 실제로 이전에 비해 그다지 전지전능한 모습은 못보여주는데 병합으로 인해 이제 원하면 언제든 구름의 왕국에 갈 수 있는 상황에서 이전 설정을 그대로 유지하면 자칫 스토리에 구멍이 생길 수 있기에 일종의 밸런스패치를 한 듯하다.
2.7. 저주의 땅
<nopad> |
저주의 땅 |
저주받은 자들이 떨어지는 일종의 저승과 비슷한 차원으로 이곳의 지배자인 파멸의 지배자 그 자체이자 그녀의 몸속이기도 하다. 일단 한번 이 차원에 떨어지면 평범한 방법으로는 절대로 탈출할 수 없으며[29] 설령 어떻게 빠져나가도 이미 저주를 받은 몸이기에 육체를 잃은 유령이 되어버린다.[30] 고스트 군단이 주둔하던 차원으로 티타늄 닌자고에서 저주받은 첸 일당이나 희생한 가마돈도 이곳에 갇혀있었다.
현재 파멸의 지배자가 사망하여 망자의 영역에 떨어졌기에 자연히 저주의 땅도 차원이 통째로 망자의 영역에 통합된 상태다. 때문에 원래 저주의 땅에 속해있던 자들은 파멸의 지배자와 함께 망자의 영역으로 옮겨졌다. 이후 드래곤 라이징에서 관리부의 직원이 병합 지진의 피해자들을 원래 세계로 돌려보낼 때 다시 언급되었다.
이후 병합의 영향으로 망자의 영역과 합쳐져 스펙트럴 랜드가 되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16차원#s-3.1|3.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16차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8. 와일드니스
<nopad> | |||
와일드니스 | |||
홈페이지 설명 | |||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닌자고 세계와 연결된 16개의 평행 세계 중 하나인 키마는 지능이 높고 말을 하며 두 다리로 걸을 수 있는 동물들이 사는 곳이에요. 키마의 다양한 부족들은 놀랍도록 발전된 기술을 갖고 있으며 '키'라는 동력원에 많은 것을 의존하고 있어요. 또한 이곳에서 '키'의 지배권을 두고 두 연합[31] 사이에서 대대적인 전투가 벌어졌는데, 결국은 또 다른 위협 요소[32]가 등장하면서 양측이 서로 힘을 합치게 되어요. | }}}}}}}}} |
Once, the Wyldness was lush and green and full of life! Birds flew in our skies and fish swam in our waters! It was really beautiful!
한때는, 와일드니스는 푸르고 싱그러웠으며 생명으로 가득했어요! 하늘에는 새들이 날아다니고 물속에서는 물고기들이 헤엄쳤죠! 정말 아름다웠어요!
-이리엘
시즌 5 10화에서 로이드와 모로가 렐름 크리스탈을 두고 싸우던 중 우연히 와일드니스 하늘로 갔다. 회오리 산에 떨어지고 라발[33]이 말을 걸자 깜짝 놀라 다른 차원으로 이동한다.[34] 그 후 시즌 11 26화에서 비버부족이 다시 나오며 시즌 12 10화와 시즌 14 16화에서도 못 돌아간 비버부족이 카메오로 출연했다.한때는, 와일드니스는 푸르고 싱그러웠으며 생명으로 가득했어요! 하늘에는 새들이 날아다니고 물속에서는 물고기들이 헤엄쳤죠! 정말 아름다웠어요!
-이리엘
제작진 토미 안드레아센과 닥 와이엇의 언급에 따르면 뱀부족도 원래 와일드니스 출신이라고 한다.[35]
드래곤 라이징 시즌 2에서 키마가 와일드니스의 일부분인 것으로 밝혀졌다.[36][37]
드래곤 라이징 시즌 2부터 등장하는 빌런들인 금지된 다섯의 고향이 이곳인데, 이들 역시 다른 와일드니스 캐릭터들 처럼 수인이라고 한다.
섀터스핀 코믹스에선 마법사 자이든 케인의 조종으로 아거스가 파쇄의 징을 통해 와일드니스에 저주를 내렸다는 것이 밝혀졌다.
여담으로 토미 안드레아센의 언급에 따르면 영원의 바위 아래에 16차원을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있을 수 있다고 하며 토르막과 이리스만이 알고 있다고 한다.
뮤코이드족이 원래는 와일드니스에서 살았었다라는 제작진의 언급으로 보아, 뮤코이드족들이 어느순간 와일드니스에서 어머니의 정원이 있는 차원으로 넘어간 것으로 추측된다.
2.9. 네버 영역/네버렐름[38]
|
네버 영역 |
16개의 차원들 중 겨울의 세상. 이곳을 아는 자들은 거의 없고, 전설에 따르면, 여러 영역 중에서 닌자고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절대 돌아올 수 없는 곳이여서 NEVER라는 이름이 붙었다.[39] 여행자들의 차로도 접근이 불가능하다.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은 네버 영역에서 여행자의 차 열매[40]나 렐름 크리스탈을 사용하는 것 뿐.[41] 하지만 렐름 크리스탈은 시즌 10에서 파괴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네버 영역에서 여행자의 차 열매를 구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여기서 온갖 괴물들이 다 산다. 엄청나게 큰 새나, 설인도 있다.
시즌 11 30화에서 니야의 대사 때문에 착각하는 팬들이 있으나 제작진 토미 안드레아센의 언급에 따르면 닌자고와 네버 영역의 시간은 다르게 흘러가지 않으며 단지 아스피라가 쟌을 60년 전 네버 영역으로 보낸 것이다.[42][43]
닌자고 스핀짓주의 덕목이라는 미니 무비에서는 더빙판에서는 시즌 11과 다르게 원어 그대로 네버 렐름으로 사용하였다.
드래곤 라이징에서는 더빙판에서 네버 영역으로 번역되었으며 아린의 파이의 재료 때문에 네버 영역이 한번씩 언급된다. 또한, 1기 13화에서 비록 갑옷 색깔은 초록색이지만 형태는 딱 네버 영역 양식인 사무라이 갑옷을 입은 남자가 관중들 중 한명으로서 잠시 등장한다.
2.10. 망자의 영역/죽은 자들의 세상
<nopad> |
망자의 영역 |
쉽게 말하면 우리가 아는 저승과 비슷한 곳이다. 닌자고: 유령의 날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시즌 11에서 쟌이 마스터 첸이 저주의 땅이 파괴되고 난 후에 간 곳이라고 했다. 이 시즌에서 등장했는데 꽤 으스스한 곳으로, 녹색 기체가 바닥에 깔려 있다.[44]
현재 파멸의 지배자와 마스터 첸, 모로, 악튜러스, 사무카이 등 닌자고에서 사망했던 인물들이 갇혀있는 곳이다.
여담으로 감옥 안에 대상자를 속박해놨던 저주의 땅에 비해 상당히 자유롭다고 한다. 악튜러스가 저주의 땅에서 나오고 떠날 때, 영혼이 자유로워졌다고 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모로의 경우처럼 갱생한 존재가 있을 수도 있지만 여전히 갱생하지 않은 파멸의 지배자나 마스터 첸같은 존재들도 갇혀있는 곳이기에 그리 좋은 곳은 아닌 듯하다. 혹은 불교의 지옥처럼 생전에 저지른 죄의 무게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곳에 들어간 존재는 이미 죽은 자이기 때문에 이 안에서는 죽지 않게 된다.
수천 년에 한 번[45] 오는 계기 월식에 망자의 영역 문이 열리며 도깨비 가면 3개와 망자의 가족들의 머리카락을 이용해 망자의 영역에 있는 망자를 부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렇게 부활할 시 악하게 부활한다고 한다. 하지만 한 가지 의문 점이 있는데, 앞서 말한 두 가지 방법 외에도 여행자의 찻잎을 통해 차원 포탈을 여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46] 여행자의 차만 사용해도 통할 수 있다는 것인데, 여태까지의 망자들이 있는 곳이 이렇게 쉽게 뚫리는 것이 의문이다.[47]
유령이 신체 없이 닌자고에 너무 오랫동안 머물면 사라지기 시작하며 결국 망자의 영역으로 보내진다고 한다.[48]
시즌 6에서 나다칸이 쟌의 하드 드라이브에서 픽셀을 삭제하였을때 픽셀이 망자의 영역으로 보내졌을수도 있다고 한다.[49]
이후 병합으로 인해 저주의 땅과 합쳐지며 스펙트럴 랜드가 되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16차원#s-3.1|3.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고 닌자고/16차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1. 임페리움
<nopad> |
임페리움 |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에서 병합된 세계의 중심이 된 임페리움 왕국이 존재하는 차원이다. 이름답게 국민들의 자유를 통제하고 전쟁 병기를 개발하는 데 혈안이 된 제국주의 국가의 모습을 보여준다.[50]
잃어버린 것들의 땅도 임페리움에 있는 곳이다.
2.12. 미스테리움
|
미스테리움 |
It's a magical, wonderful place. It was one of the Sixteen Realms, so it must be in the Merged Lands now. The Sorceress loved it there.
거긴 엄청난 마법의 장소야. 16개의 영역중 하나이니까, 병합된 땅이 되었을꺼야. 소서러스가 거길 좋아했어.
-본즐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에서 처음 나온 차원. 콜과 함께 잃어버린 것들의 땅에 있던 마법인 본즐이 만들어진 곳이다.거긴 엄청난 마법의 장소야. 16개의 영역중 하나이니까, 병합된 땅이 되었을꺼야. 소서러스가 거길 좋아했어.
-본즐
과거 어느 시점에서,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가 미스테리움을 방문했다. 수천년 전, 썬더팽이 패배한 후 포커스 드래곤 족장의 절반이 벨의 동굴에서 잠에 빠졌다. 수천년전, 금지된 다섯으로 알려진 다섯 명의 원소 마스터들이 차원들을 정복하려 했다. 드래곤 마스터들은 미스테리움의 대마법사 간다라리아를 방문하여 다섯 명을 영원히 추방할 수 있도록 그녀의 도움을 구했다. 어느 시점에, 사이클롭스 쌍둥이 토렉스와 제롯이 화를 내며 마법사들은 백 년 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천체의 빛 45년, 미스테리움에서 머리가 쪼그라드는 사건이 발생했다.
제작진에 의하면 하자두르도 원래 미스테리움에서 태어난 마법사였다고 한다.#
2.13. 리의 영역/리의 땅
<nopad> |
리의 영역 |
For so, so long, in the Realm of Lee, there was only Lee. And Lee. And Lee. And Lee. I tried to keep myself busy, but no matter how many bodies I created, there was only just me. Just Lee. Then one day, something remarkable happened. I didn't know it at first, but the Realm of Lee merged with other realms. Lee was no longer alone.
아주 아주 오랫동안, 리의 땅에는 리밖에 살지 않았어. 리와, 있는건 리, 그리고 리뿐이었지. 그래서 최대한 바쁘게 지냈어. 하지만 내가 아무리 몸을 많이 만들어내도, 이곳엔 나밖에 없었어. 그냥 다 리였지. 그런데 어느 날, 엄청난 일이 일어난거야. 처음엔 나도 몰랐는데, 리의 영역이 다른 영역들과 합쳐지게 된거지. 더 이상 리는 혼자가 아니었어.
-리
New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에서 처음 나온 차원. 아주 아주 오랫동안, 리의 땅에는 리밖에 살지 않았어. 리와, 있는건 리, 그리고 리뿐이었지. 그래서 최대한 바쁘게 지냈어. 하지만 내가 아무리 몸을 많이 만들어내도, 이곳엔 나밖에 없었어. 그냥 다 리였지. 그런데 어느 날, 엄청난 일이 일어난거야. 처음엔 나도 몰랐는데, 리의 영역이 다른 영역들과 합쳐지게 된거지. 더 이상 리는 혼자가 아니었어.
-리
자신을 복제할 수 있는 리라는 사람만이 홀로 존재하던 차원이다. 병합이 일어나기 전, 리는 아주 평생동안 혼자여야만 했다. 리는 자신을 복제해 같이 놀며 정신을 유지하려 했지만, 복제된 리의 정신은 모두 연결되었기 때문에 결국 모두 리였을 뿐이었고, 항상 외로웠다. 그러나 병합이 일어나고, 리는 처음으로 다른 사람을 만나게 되며, 다시는 혼자만 남지 않게 이곳에 떨어진 사람들을 세뇌하며 자신과 함께 살게 만든다.
2.14. 괴물들의 영역/괴물들의 땅
<nopad> |
괴물들의 영역 |
Good people do not last very long here. It's impossible to survive in the Land of Monsters without becoming a monster yourself.
선한 자들은 여기서 오래 버티지 못해. 괴물들이 사는 땅에서 살아남으려면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고선 불가능하니까.
-다이단
괴물들의 영역은 병합 후 괴물들의 땅이 되었다고 한다.# 병합이 일어나기 전, 선대 불의 마스터가 왔다가 사망하였다.선한 자들은 여기서 오래 버티지 못해. 괴물들이 사는 땅에서 살아남으려면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고선 불가능하니까.
-다이단
닥 와이엇에 의하면 괴물들의 영역은 근원의 드래곤들이 창조한 영역이 아니며,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가 창조한 영역도 아니라고 한다.
3. 병합으로 인해 탄생한 영역
3.1. 스펙트럴 랜드
<nopad> |
스펙트럴 랜드 |
Oh, the Departed Realm was way messed up even before the Merge turned it into the Spectral Lands. We had the Cursed Realm end up inside here, so when the Merge happened, both realms got all mixed together.
아 병합때, 이곳이 스펙트럴 랜드로 바뀌기 전에 이미 망자의 영역은 엉망이 되어버렸거든. 저주의 영역이 이 안에 들어오게 되고, 그러다 병합이 일어나면서 두 세계가 완전히 섞여버렸지.
-모로
병합의 영향으로 인해 망자의 영역에 있던 저주의 땅이 망자의 땅과 합쳐지며 탄생한 영역이다.아 병합때, 이곳이 스펙트럴 랜드로 바뀌기 전에 이미 망자의 영역은 엉망이 되어버렸거든. 저주의 영역이 이 안에 들어오게 되고, 그러다 병합이 일어나면서 두 세계가 완전히 섞여버렸지.
-모로
과거와 달리 이제 사망한 자들은 망자의 영역이 아닌 스펙트럴 랜드로 가며, 새로운 단계의 영적 단계로 넘어가 영원한 안식을 취할수 있게 되어 스펙트럴 랜드는 그저 거쳐가는 곳이 되었다. 즉 다시 말해 이제는 더 이상 사망하게 될 경우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닌, 실제로 사망할 수 있게 되었다.
4. 16차원 밖의 공간
4.1. 천상의 분수계/무의 공간
Ethereal Divide[55]/Nothing Space
병합 이전엔 16차원 사이에 있던 공간이었으나, 병합 이후 병합된 땅 밖에 있는 공간이 되었다.
제작진들도 Ethereal Divide로 부르는것으로 보아 정식 명칭은 Ethereal Divide이고, 관리부에서 붙인 명칭이 무의 공간으로 보인다.
파일럿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드래곤들이 차원을 이동할때 통과하는 터널이 바로 이 공간이다.
고스트 닌자고 9화에서 소울 아처의 "파멸의 지배자가 Ethereal Divide(천상의 분수계)에서 넘어오기엔 너무 강하다"라는 말로 처음 언급되었다. 안타깝게도 국내 더빙에선 그저 "공간의 문을 넘어온다"는 것으로 번역되어 드래곤 라이징이 나오기 전까진 국내에서의 정식 명칭이 없었다.
닌자고: 드래곤 라이징 시즌 1 17화에서 '무의 공간'이라는 명칭으로 다시 언급된다. 병합 이후, 어떤 사람들은 과거에 16차원이 있었던 곳인 공간, 무의 공간에 갇혀버렸으며, 관리부의 재배치 관리 부서에서 이곳에 갇힌 사람들을 구출해 원래 차원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돌려보낸다고 한다.
4.2. 초원
Grassland
시즌 10에서 죽은 로이드 앞에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가 나타나 같이 갈거냐, 닌자고로 돌아갈거냐를 묻는다. 제작진에 의해 천상의 분수계 너머의 공간이라는게 밝혀졌다.#
4.3. 근원의 드래곤의 공허
Source Dragons' void
근원의 드래곤들이 사는 공간으로, 천상의 분수계 너머의 공간이다.
4.4. 네더 공간
Nether-Space
천상의 분수계 너머에 있는 끝이 없는 무한한 크기의 공허로, 간달라리아는 금지된 다섯을 이곳에 가두기 위해 금지된 다섯을 이곳으로 보내는 강력한 마법을 만들었었다.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수감자는 나이를 먹지 않게 된다.
네더 공간을 탈출하는것은 망자의 영역을 탈출하는 것 보다 더 어려우며, 블러드문 의식 또는 드래곤 상아와 수많은 양의 드래곤 에너지/원소의 힘들[56]의 조합으로만 탈출 할 수 있다.
5. 이동 방법
방법 | 이동 가능한 차원 | 현상태 |
렐름 크리스탈 | 스펙트럴 랜드(망자의 영역)을 제외한 모든 차원 | 로이드에 의해 파괴됨 |
황금무기에 과부하되기 | 스펙트럴 랜드(망자의 영역)으로 이동, 광기의 땅으로 이동하는 포탈 생성 | 무기가 파괴됨으로 인해 비활성 |
여행자의 차 | 모든 차원 | 존재 |
드래곤 | 거의 모든 차원[57] | 생존 |
눈먼자의 눈 | 닌자고 - 구름의 왕국간 이동 | 병합으로 인해 비활성 |
클라우즈의 마법책으로 추방당하기 | 닌자고 - 스펙트럴 랜드(저주의 땅)간 이동 | 로이드에 의해 불태워짐 |
불의 신전 | 닌자고 - 지하세계간 이동 | 플레임에 의해 포탈이 막힘 |
죽음 | 현재 위치한 차원에서 지하세계 또는 스펙트럴 랜드로 이동 | 가능 |
미치광이 산 | 광기의 땅에서 닌자고로 이동 | 병합으로 인해 알 수 없음 |
해골군단의 차량 | 지하세계 - 닌자고간 이동 | 존재 |
마법 | 닌자고에서 지하세계로 이동 | 가능 |
흑마법 | 닌자고에서 스펙트럴 랜드(저주의 땅)으로 이동 | 가능 |
아주르의 갑옷 | 스펙트럴 랜드(저주의 땅)에서 착용자가 위치한 차원으로 이동 | 니야에 의해 파괴됨 |
파멸의 지배자의 입 | 스펙트럴 랜드(저주의 땅) - 파멸의 지배자가 위치한 차원간 이동 | 니야에 의해 파괴됨 |
영원의 바위 | 와일드니스에서 다른 차원으로 이동 | 병합으로 인해 알 수 없음 |
진 | 닌자고, 진자고, 밝혀지지 않은 한 차원 등 | 거의 멸종 |
음의 블레이드 | 모든 차원 | 콜에 의해 파괴됨 |
양의 항아리 | 스펙트럴 랜드(망자의 영역)에서 음과 양의 일식이 일어나는 시기의 닌자고로 이동 | 콜에 의해 파괴됨 |
부활의 차[58] | 스펙트럴 랜드(망자의 영역)에서 섭취한자가 위치한 차원으로 이동 | 가능 |
도깨비 가면 | 스펙트럴 랜드(망자의 영역)에서 의식이 위치한 차원으로 이동[59] | 속임수의 가면: 스카일라에 의해 파괴됨, 증오의 가면: 로이드에 의해 파괴됨, 복수의 가면: 존재 |
도깨비 | 거의 모든 차원 | 알려지지 않음 |
금지된 스핀짓주 두루마리 | 거의 모든 차원 | 두번째 두루마리: 쟌에 의해 파괴됨, 첫번째 두루마리: 존재 |
병합 | 모든 차원 | 일어남 |
근원의 드래곤 | 모든 차원 | 균형: 사망, 나머지 생존 |
수도원의 포탈 게이트 | 모든 차원 | 존재 |
잃어버려지고 잊혀지기 | 현재 위치에서 임페리움으로 이동 | 가능 |
관리부 포탈 | 모든 차원 | 존재 |
신비로운 호수 | 닌자고 - 와일드니스간 이동 | 병합으로 인해 알 수 없음 |
사원의 도시 | 토너먼트가 열리는 차원으로 이동 | 병합으로 인해 비활성 |
몬스터 해골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기 | 몬스터 해골이 위치한 차원에서 지하세계로 이동 | 가능 |
6. 기타
- 팬들은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의 무덤이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추측을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의 무덤으로 들어가기 위한 첫번째 테스트 장소에는 들어가는 문과 통과하는 문을 포함해서 16개의 문이 있기 때문. 어쩌면 이 문을 통해서 다른 차원으로 가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팬들의 추측이 있었으나 제작진 토미 안드레아센이 아니라고 언급하였다.[60]
- 최초의 차원이 생긴 이후 지하세계, 망자의 영역, 저주의 땅등 사후세계가 이후에 생겨났으므로 사후세계 차원들이 생기기 전에는 사망하면 어떻게 되었냐는 질문에, 닥 와이엇은 병합으로 망자의 영역이 없어진 후 모로가 얘기한것처럼 그냥 영혼들이 옮겨갔다고 한다.[61]
[A] 병합 이전[A] [B] 병합 이후[4]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의 옛 고향이었다.[5] 파일럿과 시즌 9의 9화에서 밝혀진듯이 드래곤은 회전하며 차원을 오가는 통로를 만들 수 있다.[6] 황금무기 수호 드래곤 중 하나인 플레임이 불의 검을 지키던 곳으로, 세 번째 송곳니 단검이 여기 깊은 곳에 묻혀있다.[7] 사무카이가 마스터 우와의 싸움에서 이기고 가마돈을 배신해 네 개의 황금무기를 모두 한 번에 잡는데 그 힘을 견디지 못해 죽어서 그렇다.[8] 닌자들이 일으킨 최초의 창조의 회오리바람이다.[9] 작품 외적으로 이전 영상을 재활용해서 그렇다.[10] 그래서 이름이 지하세계인 것 같다.[11] 연출은 백 투 더 퓨처를 오마주하였다.[12] 파일럿 시절 영상을 사용하였는데 회오리 바람을 쓰기 이전 영상을 재활용하여 관람차가 사라진 옥의 티가 있다.[13] 시즌 5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가 아무나 가져갈 수 없게 자기 무덤에 함정들을 설치해 놨다.[14] 공멸 기준이 차원 간의 거리라고 하긴 하지만 결론적으론 다른 모든 차원들도 영향을 받는 건 아닌 듯하다. 자세한 건 아래 내용 참고.[15] 쉽게 말하자면 나다칸이 주전자에서 풀려나기 전으로 시간을 돌려 달라는 소원이다.[16] 원어에서는 자매 차원이라는 대사가 있으나 더빙판에서는 사라졌다.[17] 닥 와이엇의 언급에 따르면 언젠가 아라코어가 재건하는 걸 다룰 것이라 했다[A] [A] [B] [B] [22] 다만 드래곤 라이징에서 설정이 수정되어 영향을 줄 수는 있으나 완벽하게 정하는건 아니다.[23] 펜 윅 본인은 이건 자신들의 뜻이 아니라고 하긴 했다.[24] 펜 윅 말로는 자신들이 일부러 그렇게 만들었다고 한다.[25] 로이드가 그린 닌자가 된 것도 사실 이 구름의 왕국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한다. 단 위에서도 말했듯이 드래곤 라이징에서는 영향만 주는 것을 설정이 수정되었다.[26] 수토니우스가 수석 작가이다.[27] 더빙판에서는 시즌 5랑 다르게 번역하지 않고 클라우드 킹덤으로 원어 그대로 사용하였다. 또한 대작가 명칭도 수석 작가로 바뀌었다.[28] 에피소드 내에서는 그냥 우연인것처럼 나오지만 닥와이엇이 우연이 아니라고 하며 바로잡아주었다[29] 작중에서 나온 탈출 방법은 렐름 크리스털을 쓰거나 누군가가 저주의 땅으로 통하는 문을 열 때 그 문으로 빠져나가는 것 뿐이다. 그 밖에 타인에 의해 나가는 방법은 흑마술로 저주의 땅을 연 자가 대신 가는 조건으로 그 자가 저주의 땅으로 보낸 존재를 해방시키거나 누군가가 전사들의 갑옷을 통해 저주의 땅의 존재를 소환하는 것 정도다.[30] 다만 로이드는 이곳에 떨어졌다가 빠져나왔는데도 유령이 되지 않았다. 비슷하게 저주받은게 아니라 저주의 땅이 파괴되고 탈출한 클라우즈도 유령이 된 걸 생각하면 잠깐 머무른 정도는 괜찮은 듯하다.[31] 사자 측에서는 독수리와 고릴라와 연합을 맺었고, 악어 측에서는 늑대와 까마귀와 연합을 맺었다고 한다.[32] 전갈. 문제는 전갈이 거미와 박쥐도 데리고 왔다.[33] 키마의 전설 주인공.[34] 키마의 전설 시즌 1 15화를 재활용하였고 대사까지 재활용한 원판과는 다르게 더빙판에서는 남도형과 전태열 성우가 특별출연했다.[35] # # #[36] 라스가 와일드니스의 지역을 얘기하는 장면에서 영원의 바위가 언급되었기 때문이다.[37] 사진 속 중앙에 위치한 섬 위에 있는 작은 점이 카보라 산이다.[38] 스핀짓주의 여섯가지 덕목 한정[39] 우의 언급에 따르면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마저 돌아오지 못할뻔 했다고 한다.[40] 여행자의 차 꽃잎은 불가능하다[41] 단 금지된 스핀짓주의 두루마리로는 네버 영역으로 보낼 수 있다.[42] 그렇기 때문에 이후 닌자들이 쟌을 찾으러 네버 영역에 가기위해 픽셀이 닌자들을 보냈을때는 현재 시간대 네버 영역으로 갈 수 있던 것이다.[43] 단 닥와이엇이 최근에 흘러가는 시간이 다르다고 언급했다가 팬들이 토미의 설정에서 바뀐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확인한 뒤, 토미의 설정을 우선시 하라고 하였기에 쟌은 60년 전 과거로 간 것이며 시간대는 다르지 않은게 맞다[44] 예산 때문인지 배경은 네버영역을 재활용 하였다.[45] 첫 번째는 어둠의 섬과 빛의 섬이 쪼개졌을 때, 두 번째는 수천 년이 지난 유령의 날 때이다.[46] 렐름 크리스탈을 통한 이동은 불명.[47] 심지어 살아있는 사람들이 사는 네버 영역보다 가깝다.[48] #[49] #[50] 하지만 시즌 1 19화 후반부에 진실을 알게 된 임페리움 사람들이 베아트릭스 여제에게 반기를 들면서 제국주의 국가에서 벗어났으며, 임페리움 왕국이 아닌 임페리움 도시로 바꾸었다.[A] [B] [A] [B] [55] 직역하면 천상의 분수계라는 뜻이다. 분수계란 물이 서로 다른 수계로 흘러가는 유역의 경계를 뜻하는 단어로, 드래곤들이 16차원을 통과할때 사용하는 터널이기도 해 이런 이름을 붙인듯 하다.[56] 적어도 24개는 필요한것으로 보인다.[57] 모든 차원을 이동할 수 있는건 아니라고 한다. 현재까지 확정된 이동 가능한 차원들은 닌자고, 지하세계, 최초의 땅, 진자고, 와일드니스, 네버 영역, 미스테리움이다.[58] Resurrectea. 사무카이가 줄리엔 박사를 부활시킬때 사용한 차이다.[59] 단, 차원을 이동하려는자가 도깨비여야지만 가능.[60] 다만 문 위에 있는 심볼들은 16개의 차원을 상징하는 심볼이 맞는듯하다.[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