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미로슬라프 클로제 | 플로리안 코펠트 | 마르쿠스 안팡 | |
| 토마스 슈탐 | (감독대행) 페트리크 잔더 파스칼 이볼트 | 알렉산더 엔데 | ||
| 다비트 지버스 | 하이너 바크하우스 | 미헬 크니아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 ||
| 미론 무슬리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 빈센트 바그너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font-size: 0.8em" | 크리스티안 아이히너 | ||
| 토르스텐 리버크네히트 | 마르셀 라프 | 랄프 케테만 | ||
| 토마스 클라이네 | 크리스티안 티츠 | 슈테판 라이틀 | ||
| ◀ | | |||
| <colbgcolor=#f7f7f7,#191919> | ||||
| 구단별 홈구장|감독|주장|순위 | ||||
| 랄프 케테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SC 파더보른 07 역대 감독 | ||||
| 루카스 크바스니오크 (2021~2025) | → | 랄프 케테만 (2025~ ) | → | 현직 | |
}}} ||
| SC 파더보른 07 | ||
| Sport-Club Paderborn 07 e.V. | ||
| <nopad> 파일:Offizielles Profilfoto von Ralph Kettemann für die Bundesliga-Saison 2025-26.png | ||
| <colbgcolor=#005CA8><colcolor=#ffffff> 이름 | 랄프 케테만 Ralf Kettemann | |
| 출생 | 1986년 8월 20일 ([age(1986-08-20)]세) | |
|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크라일스하임Crailsheim | ||
| 국적 | | |
| 신체 | 키 178cm | |
| 직업 | 축구 선수 (공격형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 |
| 소속 | <colbgcolor=#005CA8><colcolor=#ffffff> 선수 | SSV 울름 1846 ( ~2005 / 유스) TSV 크라일스하임 (2005~2007) SpVgg 그로이터 퓌르트 II (2007~2008) 슈투트가르트 키커스 (2008~2009) VfR 알렌 (2009~2010) TSV 일스호펜 (2011~2019) TSV 일스호펜 II (2019~2020) SGM 티펜/골트바흐 (2020~2021) |
| 감독 | TSV 일스호펜 (2011~2019 / 선수 겸 감독) TSG 1899 호펜하임 II (2019~2020 / 수석코치) 카를스루어 SC U-19 (2021~2025) SC 파더보른 07 (2025~ ) | |
1. 개요
독일 국적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2. 선수 경력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크라일스하임(Crailsheim)에서 태어난 랄프 케테만은 자신이 태어난 TSV 크라일스하임(TSV Crailsheim)의 유스 팀에서 축구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2004년, 분데스리가 A-주니어 리그 2년차에 SSV 울름 1846의 주니어 팀에 합류하였다.이후 2005년 여름, 그는 오버리가 바덴-뷔템베르크[1]의 소속이던 TSV 크라일스하임으로 다시 돌아왔으며 2007년에는 오버리가-바이에른 리그 소속의 SpVgg 그로이터 퓌르트의 리저브 팀에 입단하며 성인 무대에 본격적으로 데뷔하였다. 주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와 중앙 미드필더.
이어 2008/09 시즌을 앞두고는 전국 단위 3부 리그인 3. 리가의 창설이 예정되어 있었으며 케테만은 3. 리가로 승격한 슈투트가르트 키커스로 이적하였고 2008년 8월 2일,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전 교체 투입되어 3부 리그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그러나 슈투트가르트 키커스는 3. 리가의 첫 시즌 7승 11무 20패의 전적으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되었으며 케테만은 슈투트가르트 키커스와 마찬가지로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된 VfR 알렌으로 이적하였다.
VfR 알렌으로 이적한 케테만은 2009/10 시즌 클럽이 다시 3. 리가로 승격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VfR 알렌은 뷔르템베르크 포칼(WFV-포칼)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다음 시즌 DFB-포칼의 진출 자격을 얻는다.
그러나 케테만은 2010/11 시즌 종료 후인 2011년 5월부터 여러 차례의 부상으로 지속적인 선수 생활에 어려움을 겪으며 축구 지도자 교육을 받았으며 사실상 프로 경력을 마감한다고 발표하였다. 이후 그는 아마추어 축구로 전향하여 지역 리그 클럽 TSV 일스호펜(TSV Ilshofen) 에 합류하여 선수 생활과 축구 지도자 교육을 받았으며 뷔르츠부르크 대학교(Julius-Maximilians-University of Würzburg) 에서 영어와 스포츠를 공부하는 것과 함께 수행하며 선수 겸 감독으로 축구과의 인연을 이어갔다.
3. 감독 경력
2013년 케테만이 감독을 맡은 TSV 일스호펜은 지역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란데스리가(Landesliga, 독일 7부 리그)로 승격하였으며 2015년에 다시 페어반츠리가(Verbandsliga, 6부 리그)로 승격하였으며 케테만은 해당 시즌 선수 겸 감독으로 시즌 19골을 기록하였다.2018년에는 다시 TSV 일스호펜을 이끌고 5부 리그인 오버리가 바덴-뷔템베르크로 승격하였으며 2018/19 시즌 종료 후에는 일스호펜을 떠나 TSG 1899 호펜하임에 합류하여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소속이던 TSG 1899 호펜하임 리저브 팀의 수석 코치가 되었다.
그러나 케테만은 2019/20 시즌 종료 후 만료되는 계약을 갱신하지 않으며 1년만에 소속 팀을 떠나 2. 분데스리가 소속이던 카를스루어 SC U-19팀이 감독으로 소속을 옮겨다.
케테만은 2021년 7월부터 분데스리가 A-주니어 소속의 카를스루어 SC U-19 팀의 감독을 맡으며 본격적인 프로 감독으로 데뷔하였으며 카를스루어 SC의 U-19 팀의 감독으로 임명되는 케테만 2025년 여름에는 2. 분데스리가 소속의 SC 파더보른 07의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랄프 케테만을 감독으로 임명하는 SC 파더보른 07의 공식 발표
3.1. SC 파더보른 07
SC 파더보른은 전임 감독인 루카스 크바스니오크가 분데스리가로 다시 승격한 1. FC 쾰른의 감독으로 취임하였기에 새로운 감독을 임명하였던 것인데 2. 분데스리가는 분데스리가에 버금가는 어려운 리그이기에 리저브 팀을 지도한 경력이 전부인 케테만의 감독 취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파더보른은 2024/25 시즌 2. 분데스리가 4위에 올랐으며 줄곧 분데스리가 승격에 가까운 성적을 기록한 클럽이기에 랄프 케테만은 지도자 경력에 중대한 갈림길에 서게 되었다.
카테만은 전임 크바스니오크의 4백과 자신의 3백을 적절히 번갈아 내세우고 있으며 세바스티안 클라스와 필리프 빌비야를 주로 2선에 기용하는 3-4-2-1 또는 3-4-3의 포메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중원은 주로 카스타녜다와 바우어의 조합으로 나서는 편.
파더보른은 2025/26 2. 분데스리가 3라운드에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 시즌 첫 패배를 기록하였으나 VfL 보훔과 헤르타 BSC에 연승을 거두고 리그 상위권으로 뛰어올랐으며 지난 시즌 돌풍을 일으키며 3위를 차지한 SV 07 엘버스베르크, FC 샬케 04등과 선두 경쟁을 벌이고 있다.
4. 같이 보기
| SC 파더보른 07 1군 스쿼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SC 파더보른 07 2024-25 시즌 | |||||
| <rowcolor=#FFF> 등 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 1 | | GK | 펠러 부빙크 | Pelle Boevink | ||
| 4 | | DF | 칼빈 브라켈만 | Calvin Brackelmann | ||
| 6 | | MF | 마르코 슈스터 | Marco Schuster | ||
| 7 | | FW | 필리프 빌비야 | Filip Bilbija | ||
| 8 | | MF | 다비트 킨좀비 | David Kinsombi | ||
| 10 | | FW | 쿤 코스톤스 | Koen Kostons | ||
| 11 | | FW | 스벤 미헬 | Sven Michel | ||
| 12 | | GK | 플로리안 프루스 | Florian Pruhs | ||
| 13 | | FW | 로베르트 라이페르츠 | Robert Leipertz | ||
| 16 | | DF | 비사르 무슬리우 | Visar Musliu | ||
| 17 | | DF | 라우린 쿠르다 | Laurin Curda | ||
| 19 | | DF | 킴벌리 에체크벰 | Kimberly Ezekwem | [A] | |
| 20 | | DF | 유스투스 헹케 | Justus Henke | ||
| 22 | | MF | 마테스 한센 | Mattes Hansen | ||
| 23 | | DF | 라파엘 오버마이어 | Raphael Obermair | ||
| 24 | | DF | 야니스 호이어 | Jannis Heuer | ||
| 25 | | MF | 제시 에뎀 투그벤요 | Jesse Edem Tugbenyo | ||
| 26 | | MF | 제바스티안 클라스 | Sebastian Klaas | ||
| 29 | | FW | 일리야스 안자 | Ilyas Ansah | ||
| 31 | | MF | 막시밀리안 로어 | Maximilian Rohr | ||
| 32 | | DF | 에런 첸터 | Aaron Zehnter | ||
| 33 | | DF | 마르셀 호프마이어 | Marcel Hoffmeier | ||
| 34 | | DF | 다윈파울 도너 | Dawyn-Paul Donner | ||
| 36 | | FW | 펠릭스 플라테 | Felix Platte | ||
| 39 | | FW | 아드리아노 그리말디 | Adriano Grimaldi | ||
| 43 | | DF | 마르틴 엔스 | Martin Ens | ||
| # | | MF | 미카 바우어 | Mika Baur | ||
| <colbgcolor=#1b5ca6> 구단 정보 | ||||||
| 회장: 토마스 자겔 / 감독: 랄프 케테만 / 홈구장: 홈디럭스 아레나 | ||||||
| 최종 수정 일자: 2023/04/24 | ||||||
}}}}}}}}} ||
[1] 당시 4부 리그였으며 현재는 3. 리가의 출범으로 5부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