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1:33:24

란마 1/2/주제가

<nopad>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54375, #e64641); max-width:600px; width:100%; margin: 0 auto;"
{{{#!wiki style="margin: -12.5px -7.5px -12.5px -7.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란마 1/2|
파일:란마 1/2 로고.png
]]
}}}}}}


1. 개요

애니메이션 란마 1/2은 장기 방영되는 동안 주제가가 자주 교체되어 다수의 곡을 남겼다. TV판 16곡, 극장판 4곡, OVA 12곡 등.

TV판은 특히 여자 아이돌이 곡을 부른 경우가 많은데, 본작의 대표곡인 〈말괄량이로 만들지 마〉 및 〈걱정 마 라이라이 보이〉를 부른 니시오 에츠코, 〈플라토닉 러브를 지켜줘〉를 부른 사카가미 카오리, 〈EQUAL 로맨스〉와 〈추억이 가득〉을 부른 5인조 그룹 CoCo, 〈리틀☆데이트〉를 부른 3인조 그룹 ribbon, 〈절대! Part 2〉를 부른 하야사카 요시에, 〈개양귀비〉를 부른 나카지마 미치요, CoCo의 멤버로서 솔로로 〈더는 울지 마〉를 부른 세노 아즈사 등이 모두 당시의 아이돌 가수였다.[1] 이중 CoCo, ribbon, 나카지마 미치요는 후지 테레비의 연예인 육성 기획 '오토메주쿠(乙女塾)' 출신이었으며 란마와 같은 방송사에서 같은 시기에 진행된 기획이기 때문에 이쪽과 타이업이 잦았다. 주제가를 특정 음악가가 전담하지는 않았지만 카와이 켄지가 작곡한 곡이 많은 편이다. 잔혹한 천사의 테제의 작사로 유명한 오이카와 네코가 작사한 곡도 3곡이 있고, 1곡뿐이지만 역시 신세기 에반게리온으로 유명한 사기스 시로가 편곡한 곡도 있다. 한편 〈람바다☆RANMA〉를 시작으로 성우들이 직접 주제가를 부르기도 했으며, CoCo를 패러디한 성우 유닛 DoCo가 여기서 파생되어 그 곡이 극장판 및 OVA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2. 구판 1기

2.1. OP

2.1.1. 말괄량이로 만들지 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괄량이로 만들지 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말괄량이로 만들지 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말괄량이로 만들지 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ED

2.2.1. 플라토닉 러브를 지켜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플라토닉 러브를 지켜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플라토닉 러브를 지켜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플라토닉 러브를 지켜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2. EQUAL 로맨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QUAL 로맨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QUAL 로맨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QUAL 로맨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구판 2기

3.1. OP

3.1.1. 리틀☆데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틀☆데이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틀☆데이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틀☆데이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추억이 가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추억이 가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추억이 가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추억이 가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절대! Part 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절대! Part 2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절대! Part 2#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절대! Part 2#|]]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 지구 오케스트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구 오케스트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구 오케스트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구 오케스트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더는 울지 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는 울지 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는 울지 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는 울지 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러브 시커 CAN'T STOP I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브 시커 CAN'T STOP I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브 시커 CAN'T STOP I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러브 시커 CAN'T STOP I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ED

3.2.1. 걱정 마 라이라이 보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걱정 마 라이라이 보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걱정 마 라이라이 보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걱정 마 라이라이 보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람바다☆란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람바다☆란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람바다☆란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람바다☆란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선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선물(도쿄 소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물(도쿄 소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선물(도쿄 소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4. 프렌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렌즈(YAWMIN)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렌즈(YAWMIN)#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렌즈(YAWMIN)#|]]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5. 개양귀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양귀비(나카지마 미치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양귀비(나카지마 미치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개양귀비(나카지마 미치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6. POSITIV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OSITIVE(모리카와 미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SITIVE(모리카와 미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OSITIVE(모리카와 미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7. 무지개와 태양의 언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지개와 태양의 언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지개와 태양의 언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지개와 태양의 언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신판 1기

4.1. OP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OP
許婚っきゅん[2]
iinazukkyun
<nopad>
TV ver. (1화 ~ 5화)
<nopad>
TV ver. (6화 ~ )[A]
<nopad>
MV ver.
<nopad>
Full ver.
노래 ano
작사 ano
마베 슈이치(真部脩一)
작곡 마베 슈이치
편곡 TAKU INOU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OP 디렉터 세키 카즈아키(関 和亮)
콘티 세키 카즈아키(関 和亮)
시노하라 파라코(篠原ぱらこ)
연출 시노하라 파라코
작화감독 카네다 리코(金田利子)
타카쿠 미야(高久美弥)
카와모토 마리코(川元まりこ)
후지타 아야노(藤田亜耶乃)
총 작화감독 타니구치 히로미
}}}}}}}}} ||
{{{#!folding 가사 ▼どいつもこいつも なんだかやっぱノーテンキ
}}} ||

란마 구작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엔딩들의 연출을 여러 가지 따 와서 만들었다.

오프닝의 무술은 실제 태극권 고수를 불러 찍은 영상을 베이스로 만들었다고 한다.

4.2. ED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ED
あんたなんて。
너 따위.
<nopad>
TV ver. (1화 ~ 4화)
<nopad>
TV ver. (5화 ~ )[A]
<nopad>
MV ver.
<nopad>
Full ver.
<nopad>
텐도 아카네 Full ver.
노래 리리아.
작사
작곡
편곡 하뉴 마이고 (羽生まゐご)
(VIA/TOY'S FACTORY)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콘티 키타무라 미나미(北村みなみ)
콤퍼짓
연출 키타무라 미나미
우에하라 후미유키(上原史之)
작화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MV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디렉터 네기비다마(葱びーだま)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색채 설계
캐릭터 디자인 미타라시 산타(みたらし三大)
애니메이션 감수
서브 캐릭터 디자인 대문자의 아루(大文字のあーる)
이미지 보드 10十10
배경 미술 쿠라게모후(水母毛布)
페인트 감수 아메노마와리미치(雨回路)
콤퍼짓 하루모치 카나메(春望かなめ)
원화 후지리(ふじり)메인, 사이동맹(さい同盟)메인, 알파@(あるふぁ@), 아코소레(あこそれ), ENKN, 대문자의 아루, 카타야마 타쿠토(片山拓人), 모코타(もこた), 10十10, 아루타무라(あるたむら), 네기비다마, 산잔(散々)보조, 러프션트(らふしゅんた)보조, 츠키카보조, 핑퐁포(ピンぽんぽ)보조, 사사키소이(佐々木そい)보조, 아메노마와리미치보조, 쿠라게모후보조
페인트 아메노마와리미치, 모코타, GO, LOVE SALON, kawa, 0kam, Joe, 아타리츠키소행성(当たり付き小惑星), P4G., 네기비다마
어시스턴트 wanpocola
}}}}}}}}} ||
{{{#!folding 가사 ▼※ 엔딩무비에 삽입된 부분은 파란색으로 표시 ※

全部気になっちゃう

むかつくよね

あんたなんてどうでもいい
}}} ||

영상 작가 키타무라 미나미(北村みなみ)가 제작했다. 타니구치 히로미 말로는 프로듀서[5]가 직접 지명해서 맡겼다고 한다. 우다 코노스케 감독, 텐도 아카네의 성우 히다카 노리코가 아카네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했다고 극찬했다.

5. 신판 2기

5.1. OP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OP
ウォーアイニー
wo ai ni
<nopad>
TV ver.
<nopad>
MV ver.
<nopad>
Full ver.
노래 수요일의 캄파넬라
작사 켄모치 히데후미(ケンモチヒデフミ)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디렉터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 작화감독
}}}}}}}}} ||

5.2. ED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ED
パンダガール
판다 걸
<nopad>
TV ver.
<nopad>
MV ver.
<nopad>
Full ver.
노래 니시나
작사
작곡
편곡 100번 구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4641><colcolor=#ffffff,#ffffff> 콘티 키타무라 미나미(北村みなみ)
연출
콤퍼짓
}}}}}}}}} ||

6. 극장판

7. OVA


[1] 여담으로 니시오 에츠코, 사카가미 카오리 및 CoCo의 멤버들은 각각 아이돌 활동 중단 이후 누드집 혹은 세미 누드집을 냈다는 묘한 공통점이 있다. 이는 우연이 아니라, 일본에서 80년대 아이돌 붐을 타고 데뷔한 연예인들의 상당수가 90년대 누드집 열풍에도 편승했기 때문.[2] 굳이 해석하자면 약혼, 두근 쯤 된다.[A] 텐도 아카네의 머리가 단발로 바뀌었다.[A] [5] 어느 프로듀서인지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