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9:22:53

딜로포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등장 게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딜로포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

1. 개요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딜로포사우루스들이, 프랜차이즈 첫 데뷔 직후를 겪자마자, 게임들에도 진출하는 데 성공한, 초반에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모든 프랜차이즈 관련 게임 시리즈의 명단 목록을 자세히 다룬 문서.

2. 목록

2.1. 1,990년대

2.1.1. 쥬라기 공원(아케이드 게임)

숲에서 갑자기 튀어나오거나 화면 밖에서 갑자기 등장하는 개체, 차를 앞질러 걸어간 뒤 독을 뱉는 개체가 나오며, 공통적으로 독을 뱉어내는데 화면 밖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놈을 제외하면 이 독은 요격이 가능하다.

총에 맞으면 회색깔로 색깔이 변하며 배를 하늘로 까뒤집고 발발거린다.

2.1.2. 로스트 월드 쥬라기 공원

이 게임에서는 스테이지 1의 중반에 튀어나오는 딜로포사우루스, 물론, 조류나 다른 수각류들처럼 두 발로 걷거나 달리는 육식공룡이지만, 통칭상, 독침 도마뱀이 악명이 높다.

2.1.3. 카오스 아일랜드: 잃어버린 세계

유일하게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공룡 유닛으로 등장한다. 성능은 보기보다 약한편.

2.2. 2,000년대 이후

2.2.1. 쥬라기 공원: 오퍼레이션 제네시스

파일:Dilophosaurus.webp
공룡 소개
신사숙녀 여러분, 쥐라기 시대의 포식자, 딜로포사우루스가 전시된다는 소식을 전하게 되어 기쁩니다.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당연히 쥬라기 공원 버전대로 나왔다. 어째 몸길이 7m라고 표기되면서 3m라는 벨로시랩터와 비슷하거나 더 작아 보인다. 사실 이건 딜로포사우루스가 작은 게 아니라 벨로시랩터가 너무 크게 설정된 것으로, 위의 인간과의 크기 비교도를 보면 딱 알맞는 크기. 소설과 영화에 충실하게 독소를 쏘아서 공격한다. 작중 등장하는 유일한 쥐라기 전기 공룡이다. 무리 생활을 하는 종으로, 우두머리는 사냥을 하지 않아도 항상 목도리가 펼쳐져 있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등장하는 육식공룡 중에서 가장 약한 종으로 염소, 소, 드리오사우루스, 호말로케팔레, 갈리미무스, 그리고 인간을 제외하면 사냥을 시도하지도 않고 그냥 도망만 다닌다. 그래서 육식공룡 중 키우기도 가장 쉬우나 낮은 울타리에다가 관람창을 설치하면 관람객이 저격을 당하기도한다. 특징으로는 벨로시랩터와 합사가 가능하며, 서로 싸우지 않고 친하게 잘 지내는 편이다. 가끔씩 이들이 협동으로 사냥하는 것을 볼 수도 있을 정도다. 벨로시랩터들끼리 배고픔에 못 이겨 서로 피의 숙청을 해도 딜로포사우루스는 공격하지 않는다.

2.2.2. 쥬라기 공원: 더 게임

한 마리만 등장한 영화랑 달리 여기선 여러 마리가 출현한다. 바이오신의 산업 스파이 남녀인 사무직원과 용병 니마는 네드리가 회수하지 못한 수정란을 직접 회수하기 위해 공원 안으로 들어온다. 기어코 네드리의 차를 찾아내는데, 이때 영화를 본 사람들은 눈치챘겠지만, 네드리는 딜로포사우루스에게 끔살당한 것이다. 진흙 속에 파묻혀있던 크림통도 발견하지만, 근처에 있는 딜로포사우루스 무리가 습격한다. 동행했던 바이오신의 직원이 혼자 살려고 니마를 방패삼고 비명지르면서 도망가려는 어설픈 모습을 보이다 끔살당한다. 혼자 남은 니마는 네드리의 차를 타면서까지 저항을 한다. 이내 딜로포사우루스 무리들은 트로오돈의 접근을 느끼면서 물러간다.

다음날 후 빌리가 그 장소에 난입하면서 조사하던 중, 딜로포사우루스 한 마리가 또다시 나타나 덤벼들면서 혈투를 벌인다. 빌리가 총을 떨어뜨리는 불운이 생기면서 죽을 위기에 처할 찰나, 오스카가 나타나 딜로포사우루스를 걷어차면서 빌리를 구해준다. 나가떨어진 딜로포사우루스의 숨통을 끊으려던 오스카를 이미 다 이긴 싸움이라며 말리는 빌리 덕에 물러가면서 등장은 끝난다.

2.2.3. 쥬라기 월드: 더 게임

얼라이브와 마찬가지로 딜로포사우루스 1세대와 딜로포사우루스 2세대가 존재하며 에를리코사우루스, 티타노보아, 티라노사우루스 2세대의 유전자와 융합되어 하이브리드 생물 에를리포사우루스, 딜로포보아, 티란놀로포사우르를 생성할 수 있다.

2.2.4. 레고 쥬라기 월드

첫번째 영화 스토리에서 첫 모습을 드러낸다.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트리케라톱스를 잠금해제하여 사용 및 활성화 시키면 상대할 수 있는 연둣빛 가죽의 딜로포사우루스 개체들이 몇 마리 등장한다.

렉시가 방사장에서 탈출했을 때, 쥬라기 공원 마크가 그려진 상징적인 투어용 전기 차량이 떨어져 나무에 걸리고 앨런 그랜트 박사렉스 머피가 나무 위 투어용 전기 차량에 남겨진 팀을 구하러 올라가기 전 나무 구멍 사이에서 딜로포사우루스 1마리가 갑자기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쥬라기 공원 지프차량에서 내린 네드리의 장면에서 등장한 1마리는 영화를 원작재현한다. 컴퓨터 시스템 재부팅 중 화면에 네드리를 끈질기게 찾으러 돌아다니고 있던 아까 그 딜로포사우루스 동일개체 1마리가 나온 것 외에는 별다른 출연은 없다.

쥬라기 공원 2 스토리에서는 이슬라 소르나 섬에서 한밤중에 풀밭이 드넓게 펼쳐진 벨로시랩터들의 등장신 처럼 연출된다.

쥬라기 공원 3 스토리에도 등장하는데, 벨로시랩터 VS 안킬로사우루스 미션 이후 에릭 커비의 숙소로 갈 때 늪에서 반가운(?) 모습으로 등장한다.

2.2.5. 쥬라기 월드: 얼라이브

더 게임과 마찬가지로 얼라이브에선 딜로포사우루스 1세대와 딜로포사우루스 2세대가 존재하며 하이브리드 생물을 한층 더 자유롭게 뽑아내는 만큼 더 다양한 하이브리드가 된다.

1세대는 오우라노사우루스와 융합되어 딜로라노사우루스, 오비랍토르와 융합되어 오빌로포사우루스, 2세대는 티라노사우루스 2세대와 융합되어 티란놀로포사우르, 티타노보아와 융합되어 딜로포보아가 된다. 또한 4종이 전부 슈퍼 혼종이 되므로[1] 딜로포사우루스의 유전자가 들어간 하이브리드 생물만 무려 8종이다.

2.2.6.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1

파일:JWEDilophosaurus.png
화석 발굴지가 미국이 아닌 중국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시노사우루스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2] 동족이 없어도 외로움을 타지 않으며 소형 수각류 중에서 제일 약한 편에 속해 있다.

2.2.7.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2

화석 발굴지가 정확하게 미국으로 설정되었으며 바이오신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DLC로 스킨추가 및 새로운 모션을 추가한다.

2.2.8.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 3

2.2.9. 쥬라기 공원: 서바이벌

트레일러에서 한마리가 조쉬 박사를 추격하는데, 조쉬 박사는 주방으로 도망간다.[3]

3. 기타

4. 관련 문서



[1] 딜로라노사우루스가 데이노케이루스와 융합하여 딜로라케이루스, 오빌로포사우루스가 스티기몰로크 2세대와 융합하여 오빌로포몰로크, 티란놀로포사우르테논토사우루스와 융합하여 테논토렉스, 딜로포보아가 스피노사우루스와 융합하여 스피노콘스트릭토르가 된다.[2] 여담으로 시노사우루스는 쥬라기 공원이 개봉된 1993년 당시 딜로포사우루스 시넨시스라는 학명으로 존재해 있었던 상태였다.[3] 쥬라기 공원에서 2마리의 랩터가 렉스을 쫓아가 주방에서 숨바꼭질을 했던 것처럼 잘하면 주방 숨바꼭질 시즌 2를 찍을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