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권 연고 구단 (실업/세미프로/아마추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1px; margin-top:-8px; margin-bottom:-6px" | WK리그 | K3리그 | |||||
경주 한수원(여) | 창녕 WFC | 김해시청 | 경주시민축구단 | ||||
K3리그 | K4리그 | ||||||
경주 한수원(남) | 부산교통공사 | 창원시청 | 울산시민축구단 | ||||
K4리그 | K5리그 | ||||||
진주시민축구단 | 김해 재믹스 FC | 울산 동울산 FC | 울산 시터스 FC | ||||
K5리그 | K6리그 | K7리그 | |||||
안동 가람 FC | 대구 상록 FC | 양산 FC 사파이어 | 대구 FM FC | ||||
핸드볼 코리아리그 | |||||||
두산(핸드볼) | |||||||
대구광역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경상북도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부산광역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울산광역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경상남도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d10101> | 핸드볼코리아리그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px -10px"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2px" {{{#!wiki style="color:#181818" | 남자부 | |||||||
| | | | |||||
두산 | 상무 피닉스 | 인천도시공사 | 충남체육회 | |||||
| | |||||||
하남시청 | SK 호크스 | |||||||
여자부 | ||||||||
| | | | |||||
경남개발공사 | 광주도시공사 | 부산시설공단1 | 서울시청 | |||||
| | | | |||||
삼척시청2 | 인천시청 | 컬러풀 대구 | SK 슈가글라이더즈 | |||||
해체된 팀 | ||||||||
| ||||||||
웰컴론크레디트 코로사 | ||||||||
윗첨자1: 부산 BISCO에서 변경 | 윗첨자2: 원더풀 삼척에서 변경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2FB7 25%, #009BD7 50%, #00B895 75%)"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81818; margin: -6px -1px" | ㈜두산 | 두산전자 | 두산모트롤 | 두산바이오 | 두산산업차량 | 두산퓨얼셀 | 두산정보통신 | 두산유통 |
ISB | 두산중공업 (두산밥콕 · 두산스코다파워) |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 두산포터블파워 · 기스) | 두산건설 | 두산메카텍 | 두산로보틱스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 |
CSB | 오리콤 | 한컴 | 두산매거진 | 두산 베어스 | 두산큐벡스 | 네오플럭스 | |
기타 | 신분당선주식회사 | 네오트랜스 | 두산백과사전 | 두산 핸드볼 | FC 빅토리아 플젠 | |
부속기관 | 두산연강재단 | 두산아트센터 | DLI | |
학교법인 | 중앙대학교 (부속유치원 · 부속초등학교 · 부속중학교 · 부속고등학교) |
두산 | |
Doosan | |
창단 | 1991년 |
연고지 | 경상남도 창원시[1] |
모기업 | 두산 베어스 |
감독 | 윤경신 |
리그 | 핸드볼 코리아리그 남자부 |
1. 소개
대한민국의 실업 핸드볼팀. 홈페이지1991년에 강원도의 희석식 소주 제조업체 (주)경월의 실업팀으로 창단하였다. 남자 실업팀으로는 국내 최초.[2] 이후 1993년에 두산그룹이 경월을 인수하면서 자연스럽게 '두산경월' 핸드볼팀이 되었고, 두산산업개발(2005), (주)두산(2006), 두산건설(2007)을 거치며 결국 2007년 말에 두산 베어스 산하로 들어갔다. 다만 정식 명칭이 두산 베어스는 아니고, 관리나 장부상으로 두산 베어스에서 하는 것이다. 다만 잠깐 동안 '두산 베어스'란 팀 이름을 쓴 적은 있다.
2. 막강한 전력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실업팀이다 보니 전적은 나름대로 화려하다. 한때는 남자 실업부에 국군체육부대와 두산경월밖에 없었던 적도 있으니 뭐... 충청은행이 핸드볼 팀 운영을 때려친 이후(충남도청으로 넘겼다)로는 다시 상무와 양강 체제.독일 핸드볼 분데스리가에서 복귀한 윤경신이 마지막으로 현역 선수로 활동한 팀이며, 2013년부터는 감독으로 재직하고 있다. 가히 대한민국 최강의 남자 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팀이다.
핸드볼 코리아리그 출범 이후, 9회 우승했다. 2014년에는 웰컴론에게 패배해 준우승.
현재는 하남시청,인천도시공사, SK 호크스와 라이벌 관계를 이루고 있다.
2016시즌에는 전승 우승에 도전했으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SK 호크스에게 패배하며 실패했다. 이후 경남으로 연고이전[3]하고 다시한번 최종우승.
그리고 2018-2019시즌 사상 최초의 20전 전승을 기록했다. 그리고 3전 2선승제로 진행하는 챔피언결정전에서 SK 호크스를 2승 무패로 제압하며 총 22전 전승. 4년 연속 핸드볼코리아리그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3. 우승 기록
- 역대 우승
- 핸드볼큰잔치/코리아컵 (7회) : 1993, 1994, 1995, 2002-03, 2003-04, 2009, 2010
- 핸드볼코리아리그 (10회) :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2016, 2017, 2018-2019, 2019-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