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08:19:02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서울캠퍼스 다빈치캠퍼스
학교 정보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재단 교통 축제 홍보 대사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학내 언론
기숙사 출신 인물 사건 사고
운동부
농구부 축구부 야구부 블루 드래곤스
부속 병원
파일:중앙대학교병원 심볼.svg 중앙대학교의료원 중앙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부속 학교
부속유치원 부속중학교
}}}}}}}}} ||

파일:두산그룹 워드마크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지주
회사
(주)두산 (두산전자 · 두산퓨얼셀 파워 ·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 두산유통)
자회사 두산에너빌리티 · 두산스코다파워 · 두산밥캣 · 하이엑시움모터스 · 두산밥캣코리아 · 두산퓨얼셀 · 두산포터블파워 · 두산로보틱스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 두산테스나 · 오리콤 · 한컴 · 두산매거진 · 두산 베어스 · 두산큐벡스
기타 두산백과사전 · 두산 핸드볼단 · FC 빅토리아 플젠
부속
기관
두산연강재단 · 두산아트센터 · 두산경영연구원
학교
법인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 부속유치원 · 부속초등학교 · 부속중학교 · 부속고등학교) }}}}}}}}}
<colbgcolor=#004c97><colcolor=#ffffff>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學校法人 中央大學校
Chung-Ang University Foundation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사립학교법인 (교육재단)
설립일 1947년 재단법인 중앙문화학원
설립자 임영신
이사장 12대 이현순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흑석동)
웹사이트 중앙대학교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구성4. 이사회5. 두산 관련 할인 혜택

[clearfix]

1. 개요

학교법인 중앙대학교(學校法人 中央大學校, Chung-Ang University Foundation)은 대한민국의 학교 법인이다.

1947년 4월 임영신재단법인 중앙문화학원으로 설립했다 1963년 6월 재단법인을 학교법인으로 변경했다. 1991년 1월 학교법인 중앙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2. 역사

2008년 5월 두산은 중앙대를 인수했고 당시 두산그룹 박용성 회장은 취임 직후 “백화점식 학과를 과감히 정리하고 시대 변화에 맞게 재편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2009년 우리나라 대학 최초로 교수 차등 연봉제를 도입했다. 2010년 18개 단과대학을 11개로, 77개 학과를 49개로 줄이는 구조조정[1]안을 이사회에서 통과시켰다.

박 이사장은 취임 후 1년 6개월간 개인적으로 총 559억 원을 출연하기도 하였다.# 이 후, 2015년 4월 박용성 이사장은 사퇴하고, 김철수 前 세종대 총장이 후임으로 선임되었다.이사장이 누구든 상관없이, 중앙대 학교법인의 운영주체는 두산그룹이다.

이전 재단이었던 김희수 재단이 학교에 아예 투자를 하지 않았던 탓[2][3][4]에 동창회 및 학교측에서 지속적으로 교체를 요구해오다가[5] 2008년 5월에 STX, 롯데, 두산 중 가장 학교 육성에 대한 열의가 크다고 판단된 두산그룹으로 재단이 교체되었다.

두산 재단이 들어선 이후 서울캠퍼스에는 약학대학이 주로 쓰는 R&D관 신축,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사업, 100주년기념관[6] 신축 등의 심시티 사업이 이루어졌고, 2021년에는 중앙도서관 앞 에스컬레이터 설치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와 같이 서울캠퍼스에는 대규모 건물 건축 투자가 이뤄졌으나 안성캠퍼스에는 단 하나의 건물도 새로 짓지 않았기 때문에 안성캠퍼스의 20년전 위성사진과 지금의 위성사진은 차이를 발견할 순 없을것. 즉 두산에 호의적인것은 서울캠퍼스 소속인원들에만 국한된다. 안성캠퍼스 소속 인원들에겐 천원재단이나 두산재단이나 별 차이가 없다는게 정설이다.

이러한 대기업 재단의 등극 후 대기업 위주의 경영학 중시 및 실용학문 우대와 투자에 대해서는 과거의 재단에 비해 비약적인 투자가 들어섬에 따라 시설 및 자금의 투자라는 긍정적 측면과 기업재단 오너의 입김이 필요 이상으로 작용해 인문학 경시 등의 부정적인 면이 같이 공존하고 있다.

3. 구성

3.1. 산하 교육 기관

3.1.1. 대학교

3.1.2. 고등학교

3.1.3. 중학교

3.1.4. 초등학교

3.1.5. 유치원

  •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유치원

3.2. 산하 의료 기관

3.2.1. 중앙대학교병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병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중앙대학교광명병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이사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973, #004c97, #004c97, #00397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3대·5대

임영신
2대

황소향
4대

임민규
6대

방우영
7대

임철순
8대

김희수
9대

박용성
10대

김철수
11대

박용현
12대

이현순
}}}}}}}}} ||
직위성명생년경력임기
시작일종료일
이사장 이현순 1950년 두산 고문
전) 현대자동차 부회장
2022년 08월 14일 2025년 08월 13일
교육경험이사 박상규 1961년 중앙대학교 총장
전) 중앙대학교 부총장
2023년 03월 01일 2026년 02월 28일
이사 고석범 1965년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상임이사
전) 두산인프라코어 부사장
2021년 11월 05일 2024년 11월 04일
교육경험이사 신희택 1952년 국제중재센터 의장
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2021년 11월 05일 2024년 11월 04일
교육경험이사 성상철 1948년 분당척병원 명예원장
전) 서울대학교병원
2021년 11월 05일 2024년 11월 04일
이사 박태원 1969년 한컴 부회장
전) 두산건설 부회장
2022년 04월 29일 2025년 04월 28일
이사 이어룡 1953년 대신파이낸셜그룹 회장
전) 대신증권 회장
2022년 08월 17일 2025년 08월 16일
개방이사 강경중 1952년 타라그룹 회장
전) 대교 전무
2023년 11월 05일 2026년 11월 04일
개방이사 박진서 1953년 일흥실업 대표이사
전) 중앙대학교 총동문회장
2023년 11월 05일 2026년 11월 04일
개방이사 조선영 1978년 학교법인 광운학원 이사장
전) 학교법인 광운학원 상임이사
2023년 11월 05일 2026년 11월 04일
교육경험이사 최종원 1958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장
2023년 11월 05일 2026년 11월 04일
이사 박종술 1966년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
전) 대한적십자사 기획조정실장
2024년 03월 15일 2027년 03월 14일
감사 박재홍 1974년 김앤장법률사무소 회계사
전)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2024년 01월 01일 2025년 12월 31일
개방감사 이동원 1970년 진회계법인 회계사
전) 안진회계법인 회계사
2023년 12월 29일 2025년 12월 28일

5. 두산 관련 할인 혜택

두산 베어스의 홈구장인 잠실구장에서 열리는 두산 홈경기에 한해 중앙대학교 학생증을 제시하면 레드석 이하 좌석[7]을 재학생 본인에 한해 현장에서 천원 할인받을 수 있다.[8] 가끔 학교 차원에서 두산베어스 응원전이라는 걸 하는데 2016년 6월 3일에는 SK전 경기의 외야 표와 KFC에서의 소정의 식사와 응원도구를 제공했다.


[1] 서울캠퍼스에 있는 학과를 구조조정 한 것이 아니라 안성캠퍼스 단과대학들이 대대적으로 구조조정 되었다.[2] 당시 김희수 재단을 부르는 말이 '천원 재단'이었다. 정말로 1년 전입금이 1,000원이었기 때문이었다고...[3] 그런데 김희수 재단 초기에는 그럭저럭 투자를 많이 했다. 애당초 임철순 재단이 700억 정도 되는 부채를 가지고 있었는데 김희수 재단이 들어오면서 일단 부채부터 모두 탕감했다. 당시 700억이면 지금 화폐가치로 3,000억 정도 된다. (재단전입금이 가장 많은 사립대학이던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의 당시 1년 재단전입금은 100~200억 사이였다는 걸을 감안하자.) 또한 일단 급한대로 부채 탕감부터 했지만 이후 시설투자에 적극 자본투입을 약속했고 초반에는 이뤄졌다.[4] 문제는 김희수 재단이 재일교포로 일본에 많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고 소유한 부동산의 급격한 가격상승 때문에 적극적인 투자 및 투자약속을 한 것인데 이후 다 아시다시피 일본 부동산 폭락 때문에 투자할 여력은 커녕 일본 내 사업 꾸리기도 힘들었었다.[5] 90년대 말경 재단퇴진 관련 대규모 집회가 열렸으나 퇴진에는 실패하였다. 2004년 총학생회장의 중앙문화 인터뷰를 보면 이 일 이후로 학내 학생운동이 구심점을 잃었다는 회한이 실려있다.[6] 대학 단일건물 중 최대규모이다.[7] 네이비석(내야 윗쪽)과 외야석[8] 잠실을 같이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LG 트윈스와 경기가 있을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즉 해당 경기가 두산 베어스 측의 홈 경기인지, 아니면 LG 트윈스 측의 홈경기인지 파악이 필요하다. LG 트윈스 측의 홈경기라면 잠실 경기이지만 할인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