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9:56:49

도야마현 선거구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니가타현 선거구 도야마현 선거구 이시카와현 선거구 후쿠이현 선거구 나가노현 선거구
2028년 개선
고바야시 가즈히로 노가미 고타로 오카다 나오키 야마자키 마사아키 스기오 히데야
2031년 개선
우치코시 사쿠라 니와타 유키에 미야모토 슈지 다키나미 히로후미 하타 지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2b832"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니가타 1구 니가타 2구 니가타 3구 니가타 4구 니가타 5구
니시무라 지나미 기쿠타 마키코 구로이와 다카히로 요네야마 류이치 우메타니 마모루
도야마 1구 도야마 2구 도야마 3구 이시카와 1구 이시카와 2구
다바타 히로아키 우에다 에이슌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고모리 다쿠오 사사키 하지메
이시카와 3구 후쿠이 1구 후쿠이 2구 나가노 1구 나가노 2구
곤도 가즈야 이나다 도모미 츠지 히데유키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나가노 3구 나가노 4구 나가노 5구
고즈 다케시 고토 시게유키 미야시타 이치로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구니사다 이사토 야마 도시히로 사이토 히로아키 후쿠다 준타 이데 요세이
<rowcolor=#fff>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오다케 가이 하타노 쓰바사 니시다 쇼지 나카가와 히로마사 사이키 다케시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4c234c><tablebgcolor=#4c234c>
파일:일본 국회의원 기장 배지.svg
도야마현 선거구
富山県選挙区
}}}
파일:saninsen_Toyama.svg
<colbgcolor=#4c234c><colcolor=#ffffff> 선거인 수 858,949명 (2024)
구성 행정구역 도야마현
의원정수 2인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8 개선


노가미 고타로
2031 개선


니와타 유키에
}}}}}}}}} ||


1. 개요

도야마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다. 유권자 수는 약 90만 명이다. 정수는 2인이며, 3년 마다 1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한다.

호쿠리쿠 지방 대다수가 그렇듯이 자유민주당의 텃밭 선거구이다. 비 자민당 계열 후보가 당선된것이 1968년, 2007년 두차례가 마지막이었으나, 2025년 자민당 비토 여론과 국민민주당의 전국적인 선전 바람을 타고 18년만에 야권 후보가 의석을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

2. 현재 국회의원

2028년 개선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노가미 고타로(野上浩太郎)
2031년 개선
[[국민민주당(2020년)|
국민
]] 니와타 유키에(庭田幸恵)

3. 역대 국회의원

파일:일본 국회의원 기장 배지.svg 도아마현 선거구 역대 참의원 의원
연도(회차) 의원명 소속 정당
1947(1회)[1]
이시자카 토요카즈[상]

오가와 히사요시[하]

1950(2회) 오야마 사부로

1950(2회 보궐)[4] 타치 테츠지
1953(3회) 이시자카 토요카즈

1956(4회) 타치 테츠지

1959(5회) 사쿠라이 지로
1962(6회) 타치 테츠지
1965(7회) 사쿠라이 지로
1968(8회) 스기하라 카즈오
1971(9회) 타치바나 나오지

1974(10회) 요시다 미노루
1977(11회) 타카히라 키미토모
1980(12회) 요시다 미노루
1982(12회 보궐)[5] 오키 소토오
1983(13회) 타카히라 키미토모
1986(14회) 나가타 요시오
1989(15회) 카쿠마 야스마사
1992(16회) 나가타 요시오
1995(17회) 카쿠마 야스마사
1998(18회) 나가타 요시오[6]
1998(18회 보궐)[7] 타니바야시 마사아키
2001(19회) 노가미 고타로

2004(20회) 가와이 츠네노리
2007(21회) 모리타 타카시

2010(22회) 노가미 고타로

2013(23회) 도코 시게루
2016(24회) 노가미 고타로
2019(25회) 도코 시게루
2022(26회) 노가미 고타로
2025(27회) 니와타 유키에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나가타 요시오 394,516표 1위


61.40% 당선
파일:일본사회당 로고 흰색.svg 요코야마 마사토 205,253표 2위

31.95%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탄보 나오키 42,750표 3위
6.65%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642,519표 투표율
81.92%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13,800인

4.2.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카구마 야스마사 303,477표 1위


51.11% 당선
파일:일본사회당 로고 흰색.svg 요코야마 마사토 265,885표 2위

44.78%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탄보 나오키 24,363표 3위
4.10%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93,725표 투표율
72.62%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33,377인

4.3.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나가타 요시오 298,827표 1위


64.44% 당선
파일:렌고 심볼마크.png 나가이 히로시 143,248표 2위
'''
연합
'''[8]
30.89%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이즈미노 카즈유키 21,660표 3위
4.67%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68,669표 투표율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4.4.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카구마 야스마사 215,758표 1위


53.48% 당선
파일:일본사회당 로고 흰색.svg 타지리 시게루 87,584표 2위

21.71% 낙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 키타우라 야스히사 78,026표 3위

19.34%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이즈미노 카즈유키 21,132표 4위


5.24% 낙선
諸派 사카이 히사요시 904표 5위
'''
세계정령회
'''
0.04%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403,404표 투표율
47.26%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81,137인

4.5.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나가타 요시오 245,558표 1위


47.73% 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타니바야시 마사아키 108,390표 2위

21.07% 승계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 타지리 시게루 88,795표 3위


17.26%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이즈미노 카즈유키 56,791표 4위
11.04% 낙선
파일:덕주회.png 나가타 히사야스 14,972표 4위

자유연합
2.91%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14,506표 투표율
59.90%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99,111인

자유민주당의 나가타 요시오 의원이 당선 1달째인 8월 12일 뇌출혈로 갑작스럽게 사망했고, 2위인 민주당의 타니바야시 마사아키 후보가 보궐선거 없이 승계당선 되었다.

4.6.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노가미 고타로 337,002표 1위


65.77% 당선
쿠사지마 야스지 124,340표 2위


24.27%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야마모토 히로시 36,425표 3위
7.11% 낙선
파일:덕주회.png 쿠보카와 카즈에 14,598표 4위

자유연합
2.85%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12,365표 투표율
58.78%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908,451인

4.7.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카와이 츠네노리 236,318표 1위


46.31% 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타니바야시 마사아키 190,013표 2위

37.24% 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 오가와 아키라 57,486표 3위


11.27%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우에다 토시히코 26,458표 4위
5.19%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10,275표 투표율
57.62%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911,534인

4.8.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모리타 타카시 291,714표 1위


50.14%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노가미 고타로 265,882표 2위


45.70%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이즈미노 가즈유키 24,240표 3위
4.17%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81,836표 투표율
64.96%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910,469인

4.9.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노가미 고타로 322,739표 1위


56.23% 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아이모토 요시히코 223,691표 2위

38.98%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나가노 타케시 27,500표 3위
4.79%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573,930표 투표율
64.86%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903,328인

4.10.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도코 시게루 328,638표 1위


77.05% 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타카하시 와타루 51,569표 2위
12.09% 낙선
니시에 요시테루 27,509표 3위


6.45% 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 요시다 카오루 18,797표 4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4.41%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463,040표 투표율
50.23%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94,714인

4.11.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노가미 고타로 339,055표 1위


[9]
69.24% 당선
도요 에쓰코 134,212표 2위


[10]
27.41% 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 요시다 가오루 16,410표 3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3.45%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449,734표 투표율
55.61%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904,805인

4.12.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도코 시게루 270,000표 1위


[11]
66.7% 당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 니시오 마사에이 134,625표 2위


33.3%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투표율
46.88%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91,171인

4.13.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노가미 고타로[12] 302,951표 1위


68.8% 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교타니 기미토모 43,177표 2위


9.8% 낙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 야마 도시히로 40,735표 3위

9.2%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사카모토 히로시 26,493표 4위
6.0% 낙선
파일:참정당 심볼.svg
에비 가쓰요시 20,970표 5위

[[참정당|
참정당
]]
4.8% 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 고세키 신지 6,209표 6위


1.4%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000표 투표율
51.37%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75,460인

4.14.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야마현 선거구 의원정수
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 니와타 유키에
(庭田幸恵)
198,300표 1위


41.04%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도코 시게루
(堂故茂)
190,333표 2위


[13]
39.39% 낙선
파일:참정당 신 심볼마크.svg 타보 토모요
(田保智世)
60,173표 3위

[[참정당|
참정당
]]
12.45%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사카모토 히로시
(坂本洋史)
28,176표 4위


5.83% 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 사토 아키라
(佐藤明)
6,253표 5위
NHK당
1.29%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총 투표 수 483,235표 투표율
58.12%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850,154인

#
2025년 7월 8일 자민당의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이 운이 좋게도 노토반도에서 지진이 있었다라는 망언을 하여 이시카와현과 더불어 노토반도 지진으로 많은 피해를 본 도야마현 주민들이 대거 반자민표를 행사한 데 이어 참정당이 보수표를 분산하면서, 자민당세가 강한 도야마현임에도 불구하고 국민민주당 니와타 후보가 승리하였다.[14]

니와타 후보는 도야마시, 우오즈시, 나메리카와시, 이미즈시, 쿠로베시와 후나하시무라, 타테야마무라, 카미이치마치에서 승리하였다.[15]

낙선한 도코 시게루 후보는 정계은퇴를 표명했다.#[16]

[1] 제1회 일본 참원선은 당시 선거법에 따라 상위 당선자와 하위 당선자 두 그룹으로 각 1명(2인 선거구는 2명, 2인 이상 선거구는 3~4명)씩 나눠 상위 당선자의 임기를 6년, 하위 당선자의 임기를 3년으로 지정하고 선거를 진행하였다.[상] 상위 당선자[하] 하위 당선자[4] 오야마 사부로 의원이 임기 도중 사망함에 따른 보궐선거.[5] 요시다 미노루 의원이 임기 도중 사망함에 따른 보궐선거.[6] 1998.8.12 임기 중 사망[7] 자유민주당의 나가타 요시오 의원이 당선된지 1달 만에 뇌경색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2위 후보였던 민주당 타니바야시 후보가 보궐선거 없이 의원직을 승계했다.[8]
, 추천
[9] 추천: 공명[10] 추천: 민진, 공산, 사민, 생활[11] 추천: 공명[12] 추천:

[13] 추천:

[14] #[15] 선거구 별로는 3구에 위치한 히미시의 시장을 지낸 도코 시게루 후보는 이미즈시를 제외한 3구 모든 지역에서 니와타 후보를 상대로 압도적으로 승리하였으며 가미이치마치 출신인 니와타 후보는 2구에서 승리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도코 후보에게 13,000표차로 밀리는 상황에서 도야마현 최대 인구수의 지자체인 도야마시에서 21,000표차로 승리하면서 8,000표차로 역전을 하는데 성공했다.[16] 이미 2025년 시점에서 만 73세로 고령인데다, 3년 뒤쯤 열릴 51회 중의원 선거나 28회 참의원 선거에 도전하기엔 도야마현의 모든 지역구에 이미 기존의 다른 자민당 의원들이 자리잡은 상황이라 출마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