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21 22:24:54

덴버사우루스

덴버사우루스[1]
Denversauru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inosaur_exhibit_-_Houston_Museum_of_Natural_Science_-_DSC01881.jpg
[2]
학명 Denversaurus schlessmani
Bakker, 198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조반목Ornithischia
아목 †장순아목Thyreophora
하목 †곡룡하목Ankylosauria
†노도사우루스과Nodosauridae
아과 †노도사우루스아과Nodosaurinae
†파노플로사우루스족Panoplosaurini
덴버사우루스속Denversaurus
  • †덴버사우루스 스클레스마니(D. schlessmani)모식종

파일:external/pre01.deviantart.net/saurian_denversaurus_by_arvalis-d9nv1jy.jpg
게임 사우리안에서 복원한 덴버사우루스의 복원도[3]

1. 개요2. 특징3. 등장 매체

[clearfix]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곡룡류 공룡. 속명의 뜻은 '덴버도마뱀'으로, 이 화석의 발굴을 주도한 동시에 소장처이기도 한 덴버 자연사박물관(Denver Museum of Natural History)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2. 특징

1922년에 미국 사우스다코타 주의 '랜스층(Lance Formation)'에서 길이 50cm 정도의 두개골과 골편 화석 일부로 구성된 모식표본이 발견되었을 당시에는 에드몬토니아의 모식종인 롱기켑스종(E. longiceps)의 것으로 여겨졌었다. 하지만 이 화석이 과연 에드몬토니아의 모식종에 해당되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품은 학자들이 몇몇 있었는데, 롱기켑스종의 두개골에 비해 두개골 뒷쪽이 더 널찍한 편이고 안와 역시 좀 더 두개골 뒤쪽에 있다는 해부학적 차이점, 그리고 롱기켑스종은 약 7100만년 전에 퇴적된 '홀스슈캐니언층(Horseshoe Canyon Formation)'에서 화석이 발견된 반면 이 녀석의 화석은 그보다 뒤인 약 6600만년 전에 퇴적된 지층에서 발견되었다는 점 등이 그 이유였다. 이 때문에 1988년 고생물학자 로버트 배커(Robert T. Bakker)에 의해 지금과 같은 별도의 속으로 재동정되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1990년 케네스 카펜터(Kenneth Carpenter)가 두개골에서 나타나는 모식종과의 차이가 단순히 화석화 과정에서 받은 압력으로 인해 찌그러지면서 발생한 것이라고 보고 다시 에드몬토니아속에 통합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후 한동안 이 녀석은 에드몬토니아속의 모식종이나 루고시덴스종(E. rugosidens)의 한 개체로 여겨지거나 슐레스마니종(E. schlessmani)이라는 별도의 종으로 여겨졌으나, 일각에서는 여전히 덴버사우루스라는 속명이 유효하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2015년 SVP를 통해 덴버사우루스라는 속명은 다시 복권되었는데, 해당 논문의 저자인 마이클 번즈(Michael Burns)에 따르면 덴버사우루스의 골격 화석은 전반적으로 에드몬토니아보다는 파노플로사우루스와 더 유사하며 파노플로사우루스보다 비교적 넓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한다. 몸길이는 6m에 몸무게는 3t로 추정된다.

3. 등장 매체

파일:DenverRender.jpg
모델링

게임 사우리안에서의 등장이 확정되었다. 사우리안의 시간적 배경이 되는 '헬크릭층은 랜스 층과는 분명 구별되는 지층이긴 하지만, 두 지층에서 발견되는 생물종이 겹치는 부분이 많고 사우리안의 공간적 배경인 사우스다코타 일대에서 발견되었다는 점 때문에 출연할 수 있었던 듯.[4] 다만 덴버사우루스라는 이름으로 출연할 것이라고 공개한 당시에는 아직 덴버사우루스가 에드몬토니아속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몇몇 사람들로부터 독자연구라는 쓴소리를 들은 적도 있었는데, 위에서 언급한 2015년 SVP에 의해 그것이 현실화되자 제작진을 비판하던 이들은 데꿀멍. 아마 다코타랍토르의 사례처럼 게임 개발진이 헬크릭층을 연구하던 학자들에게 미리 자문을 받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일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네이버 베스트 도전만화웹툰SAURUS에서 주인공 아성체 티라노사우루스의 회상으로 등장하였다.

[1] 라틴어 발음대로 읽으면 덴베르사우루스.[2] 사진 좌측의 골격. 우측은 티라노사우루스의 골격이다.[3] 후술할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이전 콘셉트아트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4] 실제로 각룡류 공룡 렙토케라톱스의 경우 덴버사우루스처럼 랜스 층에서 발견되었지만, 사우스다코타 지역에서의 화석 발견 사례가 없다는 이유 때문에 컨셉아트까지 공개되었음에도 최종적으로 등장이 무산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