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19:46:50

데릭 블라즈

파일:2g blaz.jpg
2GAME Esports
Blaz
데릭 블라즈 (Derek Blaz)
출생 2009년 10월 21일 ([age(2009-10-21)]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칠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칠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칠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Black Esports
(2022.02.28~)

2GAME Esports
(2024.11.18~)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주요 활동4. 대회 성적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2GAME Esports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는 칠레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프로게이머.

2. 플레이 스타일

2009년생, 15살이라는 격투게임계에서 손에 꼽게 어린 나이의 플레이어로, 중하위권으로 평가받던 류로 "게이지 깎기"라는 새로운 사용법을 보여주며 스파씬에 큰 충격을 가져왔다.

캡콤컵 데뷔 당시 1회용 콤보 루트 취급을 받던 전인연기를 지속적으로 모으며, 상대를 구석에 몰면 이 전인연기와 함께 상대를 강하게 압박하며 드라이브 게이지를 순식간에 털어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콤보를 중단하면서 까지 대미지보다 드라이브 게이지 깎기을 우선시하는 모습도 보였다.

어린 나이답게 피지컬도 매우 좋은 편이지만, 단순히 좋은 것이 아닌 임팩트 보고 뛰기, 임팩트 보고 잡기, 애드리브 저글 콤보 등 상황에 최적인 행동을 빠르게 생각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캡콤컵 12에서 시안과의 패자조 TOP 12 경기 마무리인데, 러시 중단을 맞춘 뒤 SA3를 그대로 사용하고 바로 승리를 확신하며 자리에서 일어나는 장면이다.[1]

3. 주요 활동

CAPCOM Pro Tour 2024 월드 워리어 남미 동부에서 에드를 사용하며 압도적인 활약으로 포인트 1위를 기록해 CAPCOM CUP 11 진출권을 획득했다. 특히 5회차에선 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열린 Blink Respawn 2024에 참가했고, Nain Jr, Crossover에게 패배하며 7위로 마무리지었다. 우승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결과였지만, 칠레의 신성 두 명이[2]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이 소소하게 화제가 되며 주목을 끌었다. 이후 2GAME Esports가 주최한 대회에서 우승을 거두면서 공식적으로 2GAME Esports에 입단했다.

CAPCOM CUP 11 조별 라운드에서는 전부 만만치 않은 선수가 모인 D조로 추첨받으며[3] 꽤나 험난한 길을 예고했으나, 류와 켄을 사용하며 5전 전승으로 통과했다.

본선에서는 첫 상대인 카케루를 상대로 고우키을 꺼내들었음에도 카케루에게 무력하게 패하며 패자조로 떨어졌다. 이후 패자조 첫 상대 시안을 빠르고 간결하게 3:0으로 격파, 슈토를 상대로 명승부를 펼치며 3:2로 승리, 노아를 상대로 압도하며 3:0으로 제압, 앵그리버드를 상대로 3:0으로 제압, 레샤를 상대로 3:0으로 승리해 그랜드 파이널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랜드 파이널에서 다시 만난 카케루를 상대로도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다소 긴장한 모습을 보이며 밀리는 양상을 보였고 1세트는 따냈지만 결국 3:1로 패배하며 캡콤컵 데뷔를 준우승으로 마무리지었다.

우승을 목전에 두고 놓치는 아쉬움을 남겼으나, 마이너 지역 출신의 역대 최연소 참가자가[4] 엄청난 활약을 펼치며 강자를 차례대로 무찔렀고 일본에서 열린 대회임에도 열렬한 환호를 받으며 퍼포먼스와 본인의 이름을 제대로 각인시키는데 성공했다.

월드 워리어 남미 1차전에서는 제이미를 사용하면서 우승했다.

EWC 2025 마지막 주차 스트리트 파이터 6 종목에 참가했으며[5] 페이즈 1에서 크라이메, 고이치, 페넘이 있는 H조에 배정되었다. 첫 상대 고이치를 상대로 3:0으로 제압, 같은 칠레 영건인 크라이메를 상대로 3:0으로 제압하며 16강에 직행하는데 성공했다. 페이즈 3 첫 상대 이타바시 장기에프의 마리사를 상대로 5:0 승리, YHC-Mochi의 달심을 상대로 켄을 꺼내들며 5:1로 승리, 레샤를 상대로 5:3으로 승리하며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랜드 파이널 샤오하이 상대로 3점을 선취하며 유리한 고점을 점했으나 마이로 교체한 샤오하이에게 말리며 5:4로 패배했고 준우승으로 마무리지었다.

프랑스에서 열림 Ultimate Fighting Arena 2025에 참가했다. 조별 라운드에서 Kyuki, 암페러를 꺽으며 승자조로 Top 48에 진출, 프랑스 쿠사나기를 꺾으며 승자조로 Top 16에 진출, Riddles에게 패배했으나 페넘을 상대로 승리하며 패자조로 Top 8에 진출했다. Juicyjoe의 JP, Nephew의 주리에게 승리했고 Riddles의 다시 만나 3:0으로 승리했으며 이후 kingsvega의 블랑카에게 패배하며 3위로 마무리 지었다.

프랑스에서 열림 EVO France 2025에 참가했다. Shakz, Juicyjoe, 카와노를 연달아 꺾으며 Top 24 승자조에 진출했다. Top 24 첫 경기에서 듀얼 케빈의 라시드에게 2:0으로 패배했으나 펑크의 에드를 2:1로 꺾으며 Top 8 패자조에 진출했다. Top 8 첫 경기에서 도구라의 엘레나를 상대로 사가트라는 조커픽을 꺼내들며 3:1 승리, 토키도의 JP 상대로 3:1 승리, 미스터 크림슨의 달심 상대로 3:2 승리, 코바얀의 장기에프를 상대로 3:1로 승리하며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했다. 그랜드 파이널 상대인 레샤를 상대로 3:2로 승리하며 브라켓 리셋에 성공했으나 이후 3:1로 패배했고 준우승으로 마무리 지었다. 해당 대회 우승자인 레샤가 이미 캡콤컵 진출을 확정지은 상태였기에 차순위인 블라즈에게 시드권이 계승되면서 캡콤컵 12 진출을 확정지었다.

4. 대회 성적

2023년
  • CPT 2023 온라인 프리미어: South America East - 3위
  • World Warrior 2023: South America East #2 - 5위
  • World Warrior 2023: South America East #2 - 3위
  • World Warrior 2023: South America East #2 - 9위

2024년
  • Never Give Up 2024 - 우승
  • World Warrior 2024: South America East #1 - 3위
  • World Warrior 2024: South America East #2 - 우승
  • World Warrior 2024: South America East #3 - 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리그 Pro-US 2024 Scouting Combines: South America - 우승
  • World Warrior 2024: South America East #4 - 우승
  • World Warrior 2024: South America East #5 - 우승
  • 블링크 리스폰 2024 - 7위
  • Festigame 2024 - 우승
  • 2Game Pro Tour LATAM Finals - 우승

2025년
  • CAPCOM CUP 11 - 준우승
  • EVO Japan 2025 - 33위
  • COMBO BREAKER 2025 - 5위
  • CEO 2025 - 9위
  • World Warrior 2025: South America East #1 - 우승
  • Blink Respawn 2025 - 17위
  • EVO 2025 - 33위
  • World Warrior 2025: South America East #2 - 우승
  • EWC 2025 - 준우승
  • World Warrior 2025: South America East #3 - 우승
  • UFA 2025 - 준우승
  • World Warrior 2025: South America East #4 - 우승
  • EVO France 2025 - 준우승

5. 여담

  • 빠른 반응속도 기반의 운영으로 데뷔와 함께 최강자 라인으로 올라섰다는 공통점과, 매번 명경기를 만들어내는 점에서 레샤와 라이벌리가 형성되고 있다.

6. 둘러보기

캡콤컵 역대 준우승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cb08> 시즌 게임 이름 캐릭터
2013
시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겐(캡콤)|
파일:울스파4_겐.png
]]
Yipes
파일:미국 국기.svg
[[스펜서|
파일:마대캡3_스펜서.png
]][[버질(데빌 메이 크라이)|
파일:마대캡3_버질.png
]][[호크아이(마블 코믹스)|
파일:마대캡3_호크아이.png
]][[단테(데빌 메이 크라이)|
파일:마대캡3_단테.png
]][[매그니토|
파일:마대캡3_매그니토.png
]][[알버트 웨스커|
파일:마대캡3_웨스커.png
]]
Tampa Bison
파일:미국 국기.svg
[[베가(캡콤)|
파일:스대철_베가.png
]][[롤렌토|
파일:스대철_롤렌토.png
]]
2014
시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겐(캡콤)|
파일:울스파4_겐.png
]][[달심|
파일:울스파4_달심.png
]][[포이즌(캡콤)|
파일:울스파4_포이즌.png
]]
2015
다이고
파일:일본 국기.svg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파일:sf4_evil_ryu.jpg
]]
2016
리키 오티즈
파일:미국 국기.svg
[[춘리|
파일:sf5_cnl.png
]]
2017
토키도
파일:일본 국기.svg
[[고우키|
파일:sf5_gok.png
]]
2018
이타바시 장기에프
파일:일본 국기.svg
[[아비게일(캡콤)|
파일:sf5_abg.png
]]
2019
펑크
파일:미국 국기.svg
[[칸즈키 카린|
파일:sf5_krn.png
]][[춘리|
파일:sf5_cnl.png
]][[캐미 화이트|
파일:sf5_cmy.png
]]
2022
파일:중국 국기.svg
[[베가(캡콤)|
파일:sf5_veg.png
]]
크리스 웡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루크 outfit03.png
블라즈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류 outfit03.png
미정
파일:국기.svg
파일:0 outfit01.png
}}}}}}}}} ||

[1] 류의 러시 중단을 맞춘 이후, 보통은 기본기로 시작하는 콤보를 사용하지만, 이 경우 자원을 충분히 소모하더라도 히트 수가 늘어남에 따라 자연스레 보정이 들어가 대미지가 약화되는 편이다. 단, 즉시 SA3를 사용할 경우엔 보정이 전혀 들어가지 않이 대미지가 100% 그대로 들어가기 때문에 드라이브 게이지를 소모하지 않아도 큰 대미지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중단 히트 확인이 어려운 편은 아님에도, 간단하지 않은 커맨드를 가진 SA3를 반응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편이기에 거의 대다수가 복잡한 커맨드가 있는 SA보다 기본기를 사용하는 편이지만, 블라즈는 히트를 확인하고 즉시 그 상황에서 가장 빠르고 큰 대미지를 줄 수 있는 콤보를 선택한 것.[2] 당시 나이 15세였던 블라즈, 5위라는 성적을 거두었고 당시 13세였던 Craime.[3] D조 멤버로는 Blaz와 broski, Vxbao, Bravery, Armperor, iDom로 이루어졌다.[4] 이전의 최연소 기록은 엔딩워커의 16세였다.[5] Capcom Cup 11에서 준우승을 하며 시드권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