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大勝
싸움이나 경기에서 크게 이김. 압승 문서 참조.2. 大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승 불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승 불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불교에서 인류와 세상을 구제하려는 목적의 교리를 가진 교파를 말한다. 반대로 수행을 통한 개인의 해탈을 목적으로 한 불교 교파는 소승(小乘)이라 한다.
여기서 사사로운 이익이나 관점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관점에서 판단 또는 행동한다는 뜻의 대승적(大乘的)이란 용어가 파생되었다. 흔히 대승적 차원이라는 식으로 활용하고, 비슷한 용어로는 대국적(大局的)이 있다.
3. 인명
3.1. 실존 인물
3.2. 고구려의 인물
戴升? ~ ?
고구려 초기의 인물. 잠지락부(蠶支落部)의 대가(大家/大加)[1]였다.
고구려 4대 국왕인 민중왕이 재위하던 47년 10월, 만여 명(萬餘口)[2] 혹은 1만여가(一萬餘家)의 인구를 이끌고 낙랑군에 투항해버렸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