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5:47:10

대도시의 사랑법(드라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원작 소설에 대한 내용은 대도시의 사랑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영화에 대한 내용은 대도시의 사랑법(영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31359><colcolor=#ffffff> TVING 최초 공개
대도시의 사랑법 (2024)
Love in the Big City
파일:대도시의 사랑법(드라마) 포스터(1).jpg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한국어
]] 대도시의 사랑법
[[영어|
영어
]] Love in the Big City
[[일본어|
일본어
]]
[[중국어|
중국어
]]
장르 청춘, 일상, 로맨스, 코미디, 퀴어
공개일 2024년 10월 21일
공개 회차 8부작[1]
기획 한국영화아카데미 동문회
제작사 메리크리스마스, 빅스톤스튜디오
제작진 <colbgcolor=#131359><colcolor=#ffffff> 연출
손태겸[2](1~2화, 미애)
허진호(3~4화, 우럭 한 점 우주의 맛)
홍지영(5~6화, 대도시의 사랑법)
김세인(7~8화, 늦은 우기의 바캉스)
각본 박상영[3]
각색 손태겸(1~4화), 김세인(5~8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31359><colcolor=#ffffff> 기획 유영식
제작 유정훈, 최태석
촬영 이진근
미술 김근아
음악 구자완 }}} }}} }}}
원작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출연 남윤수
스트리밍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 |
파일:세계 지도.svg :
[[라쿠텐 비키|
Rakuten Viki
]]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선정성, 대사, 약물)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메이킹
3. 등장인물
3.1. 주인공3.2. 주변 인물
4. 음악5. 에피소드 목록6. 원작과의 차이점7. 평가8. 기타

[clearfix]

1. 개요

“그러거나 말거나, 너였으니까”. “좋아해요, 당신이라는 우주를요” 청춘들의 달콤한 만남과 이별의 아픔, 어딘가 모르게 나와 비슷한 사랑의 경험을 한 ‘고영’의 성장기
2024년 10월 21일 공개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1차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1-2화 '미애' 예고편 ▲ 3-4화 '우럭 한 점 우주의 맛' 예고편
▲ 5-6화 '대도시의 사랑법' 예고편 ▲ 7-8화 '늦은 우기의 바캉스' 예고편

2.2. 포스터

파일:대도시의 사랑법(드라마) 포스터(1).jpg 파일:대도시의 사랑법(드라마) 포스터(2).jpg
▲ 포스터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1,2 흑백.jpg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1,2.jpg
▲ '미애' 포스터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3,4 흑백.jpg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3,4.jpg
▲ '우럭 한 점 우주의 맛' 포스터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5,6 흑백.jpg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5,6.jpg
▲ '대도시의 사랑법' 포스터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7,8 흑백.jpg 파일:대도시의 사랑법 7,8.jpg
▲ '늦은 우기의 바캉스' 포스터

2.3. 메이킹

파일:대도시의 사랑법(드라마) 로고 화이트.png 메이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회차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1 [대도시의 사랑법] 영규호 태국 여행 SSUL 푼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대도시의 사랑법] 나의 우주가 멈춘듯한 키스신 메이킹(이어폰 필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대도시의 사랑법] 영규호가 헤어졌다고...? 시작과 끝 비하인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3. 등장인물

3.1. 주인공

  • 고영 (남윤수)
    주인공. 타고난 발랄함으로 존재의 슬픔을 가리고 있는 사람. 삶의 미숙함을 있는 그대로 껴안아 결국 아름다워져버린, 사랑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과학자.

3.2. 주변 인물

  • 김남규 (권혁)
    집착과 사랑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랑에 미숙한 남자. 겉보기에는 얌전하고 고지식할 수도 있고, 답답하게 볼 수도 있는데. 마음속에는 불 같은 사랑을 담고 있는 인물. 원작 소설에서는 k3로 지칭되는 공대생, 영화에서는 '수호'에 해당한다.
  • 노영수 (나현우)
    고영의 두 번째 사랑으로 철학 수업에서 만난다.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기 힘들어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까지도 외롭게 만들어버리는 사람이며 고영이 가장 매달린 사람이기도 하다. 여러모로 비호감인 캐릭터로, 오죽하면 촬영하면서 감독, 촬영감독, 조명감독 등 스태프들도 다 욕했다고 한다(...)
  • 심규호 (진호은)
    고영의 연인 중 한 명. 포스터에 나온 대사 “그러거나 말거나, 너였으니까”를 말한 인물. 사랑에 빠져들 수밖에 없는 순수한 사람.
  • 하비비 (김원중)
    고영의 남자들 중 유일한 외국인으로, 일본인이다. 고영이 규호를 떠올리며 데이팅 앱을 켰을 때 만난 인물. 이후 결혼하여 딸을 가진 유부남이라는 것을 알게 되자 작별을 고하고 떠난다.
  • 최미애 (이수경)
    <미애> 에피소드의 타이틀 롤으로 고영의 둘도 없는 여사친. 고영의 비밀을 지켜주고 공통점을 찾게 되며 그와 친해진다. 고영의 20대 초반을 함께 보낸 인물. 원작 소설의 '재희' 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 염은숙 (오현경)
    고영의 엄마. 독실한 크리스천으로, 결혼 정보 회사에서 일한다.
  • 전은수 (정찬영)
    고영의 친구. 외항사 승무원으로 일하며, 고영이 연애 상담을 가장 많이 하는 친구이다.
  • 박지태 (도유)
    고영의 친구.
  • 한호민 (이현소)
    고영의 친구.

4. 음악

5. 에피소드 목록

파일:대도시의 사랑법(드라마) 로고 화이트.png 에피소드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회차 제목 줄거리 러닝 타임
1화 미애 고영이 스무 살에 만난 동거 메이트 미애와 사진작가 남규. 서툰 관계 끝에 상실하고 나서야 비로소 알게 된 소중한 깨달음. 53분
2화 52분
3화 우럭 한 점 우주의 맛 고영의 존재를 부정하는 두사람, 암 투병 중인 엄마 은숙과 철학 강좌에서 만난 띠 동갑 애인 영수에게 느낀 사랑의 아이러니. 49분
4화 53분
5화 대도시의 사랑법 두 번 다시 없을 것 같은, 고영과 바텐더 규호와의 평범하고 온전한 사랑. 47분
6화 49분
7화 늦은 우기의 바캉스 고영은 어플로 만난 외국인 하비비를 따라간 방콕에서 문득, 이제는 곁에 없는 규호와의 지난날을 떠올린다. 돌이킬 수 없는, 그땐 몰랐었던 찬란했던 그날들을. 50분
8화 50분 }}} }}} }}}

6. 원작과의 차이점

  • 영은 원작에서는 박씨로 언급된다. ? 별명이 ‘뚱고’인데, 원작에서는 ‘뚱양이’의 줄임말이었으나 남윤수는 키가 크고 마른 편이라서 ‘뚱한 고양이’가 되었다. 원작에서 묘사된 외모와 다른 것에 대해 작가는 '로맨스의 개연성은 배우의 미모'라고 언급했다(...)
  • 남규는 원작에서는 이름도 없이 K3로만 불렸다. 서사가 많지 않은 인물이라 드라마에서 상당한 묘사가 추가돼, 사실상 오리지널 캐릭터라고 해도 될 정도. # 직업이 포토그래퍼로 의류 화보를 촬영하면서 처음 만나게 되는 계기로 나오는 것부터가 오리지널 묘사.
  • 미애의 이름은 원작에서는 '재희'이다. 타이틀 롤이다 보니 에피소드 제목도 함께 변경.
  • 은숙은 원작에서는 그냥 엄마라고만 불린다.
  • 영수가 36세로 나오는데 원작에서는 38세로, 좀 더 어려졌다. 또한 원작에서는 키가 190이나 되지만 담당 배우 나현우의 키는 180대 초반이다.
  • 고영의 친구무리 티아라도 원작보다 비중이 대폭 늘었다. 소설에서는 '대도시의 사랑법' 단편에만 등장했으며 분량도 짧은 조연 수준이지만 드라마에서는 1화부터 등장하는 무려 10년지기 친구들로, 드라마의 엔딩까지 장식하였다.
  • 규호의 경우, 원작에서는 '민규호'로 등장하지만, 드라마에서는 '심규호'로 이름이 바뀌었다. 외형적으로는 원작에서 빡빡민 스타일의 까까머리와 경도비만 체격을 가진 반면, 드라마에서는 바가지머리 + 울프컷의 헤어스타일과 키 185cm의 늘씬한 미남으로 등장한다.

7.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IMDb=tt30143510, IMDb_user=9.2, IMDb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love-in-the-big-city-2024, 레터박스_user=4.3,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Filmarks=15701/21267, Filmarks_user=4.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6782606, 도우반_user=8.8,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Pd32jk, 왓챠_user=3.7,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36826, 키노라이츠_light=84.91, 키노라이츠_star=3.5,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TMDB=236956, TMDB_user=94, ## TMDB_highlight=display,
MyDramaList=758821-love-in-the-big-city, MyDramaList_user=8.6,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RakutenViki=40771c-love-in-the-big-city, RakutenViki_user=9.5, ## RakutenViki_highlight=display,

8. 기타

  • 주인공을 맡은 남윤수 배우의 보그 11월호 패션 화보와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OTT 특화콘텐츠 제작 지원작'에 선정되어 지원받았다. #
  • 원작 작품을 영화화한 〈대도시의 사랑법〉이 이 작품과 같은 달에 개봉한다. 다만 영화는 원작 소설집의 수록작 중 <재희>만을 영화화하였으며, 드라마는 소설집의 수록작 전부를 대상으로 한다. 원작자 박상영 작가는 드라마와 영화를 동시에 선보이게 돼 너무 행복했다고 한다. 계약은 영화가 먼저 된 상황이었는데, 보통 이런 경우에는 드라마 제작 제안이 오지 않는데 제안이 왔고 원작자에게 집필을 요청한 것이었다. “내 작품이 좀 찢었나. 이게 바로 파워콘텐츠인가. 내가 대학 때 배운 ‘원 소스 멀티 유즈’가 이렇게 실현되는 것인가 싶어서 신났다”고 한다.(...) 영화와 다른 매력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 결국 원칙, 원론에 충실하자고 결론나, 원작의 색깔과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밀도 있는 시리즈물로 담아보자는 마음으로 극본을 썼다고. 참고로 캐릭터들의 이미지 또한 배우가 다른 만큼 다르다. 작가의 표현을 인용하자면 김고은의 재희가 파워풀 하다면 이수경의 미애는 톡톡 튀고 귀엽다. 장흥수를 연기한 노상현은 다소 까칠하고 남성적이며 클로짓 게이를 잘 살렸고 고영을 연기한 남윤수는 원작 속 영의 발랄한 모습에 더 가까운, 게이로서 자유분방한 모습을 잘 그려냈다. #
  • 등장인물들 대부분이 '고영의 남자들'이다. 남윤수는 총 8명의 배우와, 테이크 수로 따지면 대략 300번도 넘게 키스했다고 한다.#
  • 수위는 좀 센 편이라고 한다. 베드씬은 정확히 행동으로 보이는 것도 있고, 암시되는 것도 있지만 수위가 높다.
  • 소재가 동성애라는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다보니 참여 배우들이 공개 된 뒤 SNS로 ‘응원합니다’, '이런 작품이 세상에 필요했는데 너무 고맙다'는 내용의 DM이나 호모포비아들에게서 온 야유, 구토 이모지 등 악성 DM도 많이 받았다고 한다. 한국만이 아니라 세계의 다종다양한 국가의 사람들에게서 많이 왔다는 듯.
  • 에피소드별로 감독이 다르다. 스태프까지 모두 갈아치워졌다. 이로 인해 에피소드마다 분위기가 꽤 다르며, 조연 배우들은 별 상관없었지만 모든 에피소드에 나와야 하는 주연인 남윤수는 익숙해질만 하면 촬영장 분위기가 바뀌어서 그때마다 혼란이 있었다고 한다. 촬영은 한 에피소드당 한 달 정도 걸렸다고 한다. 촬영은 순서대로 이루어져 1,2회를 찍고 3,4회를 찍고...식이었다. 주인공 영을 제외하고 한 에피소드에만 나오는 조연 역의 배우들은 한 달만 촬영해서[4] 통 마주칠 일이 없어서 공개 직전 화보 촬영 겸 인터뷰 때가 되어서야 처음 만나 매우 어색해했다(...).
  • 원작에서 나온 장소들에 직접 가서 촬영했다. 올림픽공원, 실제 게이 클럽 등. 해당 클럽은 한번도 촬영을 허락해본 적이 없는데 손태겸 감독이 특별히 부탁해서 받아주었다고 한다.
  • 앞서 업로드 된 예고편의 비공개 처리와 관련하여 원작자인 박상영 작가가 sns 를 통해 특정 집단의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며 의혹을 제기하는 내용의 글을 남겨 논란이 됐고#,후에 실제로 해당 드라마를 반대하는 집회가 열리는 등 작가의 말이 사실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
  • 원작자인 박상영 작가는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와 영화가 동시에 나온것이 의도한 것은 아니고, 좋지 않은 영향을 줄까봐 걱정했지만, 둘 다 사랑받아 기쁘다는 입장을 밝혔다. #
  • 허진호 감독에 따르면 남윤수의 촬영 일화 중 빨간 팬티를 입고 둘이 나란히 앉아 맥주를 마시는 장면에서 원래는 팬티를 입는 게 아니었는데 입으면 재밌을 거 같아서 제안해봤는데, 만약 민망하다고 하면 안 할 생각이었는데 그런 표현 없이 '뭐 입냐?'고 했다면서 좋은 자세라고 칭찬했다. #
  • 박상영 작가도 주연 남윤수를 극찬했다. “기꺼이 작품 출연을 해줬다. 이해도도 완벽했다. 그래서 작품에서도 빛날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진심을 다해서 이 캐릭터를 믿고 소통하고 싶구나 싶었다. ‘명예 게이’처럼(웃음). 제가 걱정할 정도로 너무 다 해줬다. 어디서 이런 배우를 또 만날까 행복하고 감사하다”고 고마움을 표했다.#남윤수의 캐스팅 소식을 들었을 때 "진짜 ‘유레카’를 외쳤어요. 사실 캐스팅 물망에 올랐을 때 남윤수가 할 것 같다는 저의 어떤 무속적 예감이 들었는데, 역시나 예감이 맞았다고 생각했죠. 게이 캐릭터를 재현하는 게 어려울 수 있는데 이런 표현이 옳을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게이 같아 보이는 연기였어요.”라고도 인터뷰했다. #
  • 공개 이후 독점 OTT인 TVING에서 실시간 인기 검색어 1위에 오르는 등 화제가 되었다.
  • 권혁은 퀴어드라마라고 해서 특별히 무언가를 준비하거나 참고한 건 없었다고 한다. 퀴어든 남녀든 사랑의 모습은 다 똑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


[1] 기간을 두거나 파트를 나눠 순차 공개 하던 기존 시리즈물들과는 달리, 전회차를 동시(일시) 공개하는 방식을 택했다.[2] 영화 〈아웃!〉, 〈구구단〉, 〈아기와 나〉, 〈우리 이웃 이야기〉, 〈미생 프리퀄〉 등을 연출[3] 원작자이기도 하다.[4] 조연 중 유일하게 복수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진호은만 3개월 정도 촬영.[5] 게이클럽의 고고보이 바텐더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