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미니특공대 시리즈/등장 메카|미니특공대 시리즈/등장 메카]]
1. 개요
최강공룡 미니특공대에 등장하는 메카.다이노이드 행성 출신의 로봇 전사들로 카르노 군단의 습격으로 지구에 불시착했다. 이 다이노이드 전사들을 찾는 것이 본작의 주요 스토리 중 하나다.
2. 목록
2.1. 렉스카이저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렉스 블레이드, 렉스 캐논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1화 |
본작의 주역 메카.
머신 다이노카와 다이노이드 티라가 합체한 2단 합체 다이노이드. 본작에 등장하는 메카들 중에서 유일하게 합체형을 기본으로 삼는 메카다.
다이노이드 티라의 꼬리가 변형한 검인 렉스 블레이드를 무기로 사용하며, 다른 다이노이드들과 합체하여 더 강해진다.
공룡형 로봇과 자동차가 합체한다는 점에서 황금용자 골드란의 골드란과 비슷하다[1].
2.1.1. 머신 다이노카
높이 | - |
폭 | - |
길이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첫 등장 에피소드 | 1화 |
머신 패트롤카가 다이노이드 파워를 받아 변형한 비클. 렉스카이저를 구성하는 2대의 메카 중 하나다. 합체하면 머리와 백팩을 맡으며, 2인승인 머신 패트롤카와 다르게 4인승이다.
2.1.2. 다이노이드 티라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성우 | 시영준 |
첫 등장 에피소드 | 1화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라(최강공룡 미니특공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라(최강공룡 미니특공대)#|]][[티라(최강공룡 미니특공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다이노 헤드봇
슈퍼 다이노에서 공룡 모드로 변신하는 것과 달리 전작의 헤드캅처럼 머리[2]에서 로봇으로 변신하는 동시에 합체 파츠로 변신한다.공룡과 동물 머리에서 변형하는 것은 마동왕 그랑조트의 사동신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이며, 미니특공대 시리즈 최초로 사람 형태의 이목구비를 가졌다. 어깨에는 황금색 상징 원소가 그려져있다.이들의 경우, 자신의 다이노 코인을 강탈당하면 지능이 띨띨하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굉장히 낮아지거나 그 외 부작용이 생긴다[3][4].
여담으로 이쪽은 성우진들이 공식으로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목소리만 듣고 누구인지 알아 맞춰야 한다.
2.2.1. 썬더티라
| |
로봇 모드 | 헤드 모드 |
속성 | 번개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라이트닝 클로 |
기술 | - |
성우 | 홍진욱 |
첫 등장 에피소드 | 3화 |
티라노사우루스형 머리에서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다이노이드. 담당 디자이너는 MUCA. 렉스카이저와 합체하면 기본적으로 클로형의 왼팔로 변형한다.[팔관련]
여담으로 다이노이드 티라와 같은 티라노사우루스형 다이노이드다.
2.2.2. 버닝케라
| |
로봇 모드 | 헤드 모드 |
속성 | 화염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 |
기술 | 파이어 블래스트 |
성우 | 하성용[6] |
첫 등장 에피소드 | 2화 |
트리케라톱스형 머리에서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다이노이드. 화염의 힘을 다루는 다이노이드 전사로, 렉스카이저와 합체하면 파일 벙커 형태의 오른팔로 변형한다.
오프닝에서 오른팔이 버닝케라와 합체 상태일때도 오른손에 렉스 블레이드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완구에서는 트리케라톱스 얼굴 옆면의 검은색 파츠가 손 파츠이기 때문에 그걸 전개해 무장을 쥐게 해주거나, 추가 조인트를 사용하거나 변경 기구를 변칙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쥘 수 없는 구조다.
2.2.3. 프로즌타이거
| |
로봇 모드 | 헤드 모드 |
속성 | 얼음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아이스 세이버, 아이스 실드 |
기술 | 글레이셜 블래스트 킥[7] |
성우 | 진정일 |
첫 등장 에피소드 | 7화 |
담당 디자이너는 CHANISS.
이름의 유래는 프로즌 + 사벨 타이거.
스밀로돈형 머리에서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다이노이드. 렉스 카이저와 합체하면 왼발로 변형하며, 프로즌 타이거의 쌍검이 발 앞꿈치 쪽에 붙고, 방패가 렉스카이저의 다리 보호대로 장착된다.[8]
여담으로 유일하게 신생대 고대 포유류다.[9]
2.2.4. 마그킬로
| |
로봇 모드 | 헤드 모드 |
속성 | 용암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마그마 해머, 마그마 실드 |
기술 | 마그마 스톰[10] |
성우 | 최낙윤 |
첫 등장 에피소드 | 4화 |
안킬로사우루스형 머리에서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다이노이드. 렉스 카이저와 합체하면 오른발로 변형하며, 마그 킬로의 메이스가 발 앞 쪽에 붙고, 방패가 렉스카이저의 다리 보호대로 장착된다.
마그마 해머의 디자인은 실제 안킬로사우루스의 꼬리에 있는 곤봉 모양의 돌기를 모티브로 했다. 그래서인지 헤드 모드 변형시 마그마 해머가 헤드모드의 뒤통수에 해당하는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2.2.5. 스톰테라
| |
로봇 모드 | 헤드 모드 |
속성 | 폭풍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사이클론 액스 |
기술 | - |
성우 | 장서화 |
첫 등장 에피소드 | 6화 |
이름의 유래는 스톰 + 프테라노돈.
프테라노돈형 머리에서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다이노이드. 렉스카이저와 합체하면 등에 합체해 날개가 된다.#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 합체시 등의 날개를 맡는건 동일하며, 흉부갑옷을 맡고, 무장은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의 무장의 손잡이 부분을 맡는다. 또한, 다이노이드 티라와 합체가 가능해 와이번의 형태가 될 수 있다.
합체시 반으로 갈라지는 구조라서인지 다이노 코인이 유일하게 등이 아닌 들고 다니는 무기에 끼워져 있다.
2.2.6. 타이달샤크
| 파일:타이달샤크 헤드모드.jpg |
로봇 모드 | 헤드 모드 |
속성 | 바다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전기톱 |
기술 | - |
성우 | - |
첫 등장 에피소드 | 10화 |
이름의 유래는 타이달 + 샤크.
메갈로돈형[11][12] 머리에서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다이노이드. 렉스카이저와 합체하면 썬더 티라와 마찬가지로 왼팔로 합체한다.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 합체시 무장의 윗부분과 체인소 형태의 검의 날부분을 맡는다.[13] 그렇게 안 보이지만 변형구조에서 보면 버닝케라에서 기본 조형을 따왔다.
모티브는 프로즌 타이거와 마찬가지로 신생대 고대 어류다.
2.2.7. 버스터기가
| |
로봇 모드 | 헤드 모드 |
속성 | 창염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레일건, 캐논 |
기술 | - |
성우 | - |
첫 등장 에피소드 | 9화 |
이름의 유래는 버스터 + 기가노토사우루스.
기가노토사우루스형 머리에서 인간형으로 변신하는 다이노이드. 같은 대형 육식공룡이라 그런지 썬더티라와 기본 조형이 같다. 렉스카이저와 합체하면 썬더티라와 반대로 버닝케라와 동일하게 오른팔에 합체하고,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 합체시 본체는 타이달 샤크와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의 무장의 받침대 부분과 투구, 스커트를 맡는다. 캐논은 스커트로 합체하고 헤드모드에서 머리 상부에 장착되는 장식이 투구가 된다.
쥬라기 월드에 나오는 기가노토사우루스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안와가 삐죽삐죽하다. 비스트워즈 네오의 마그마트론 이후로 나오는 기가노토사우루스형 메카다.
2.3. 합체 다이노이드
렉스카이저를 중심으로 다이노이드 전사들이 합체한 형태.렉스카이저와 다이노이드가 합체하면서 뒤에 D3~9 가 붙는데, 이는 다이노이드 티라와 머신 다이노카가 합체한 기본형태의 렉스카이저를 합체 시 렉스카이저 D2라 치기에 1~7이 아닌 3~9가 붙는다.
2.3.1. 렉스카이저 D3
| | |
D3 버닝케라 | D3 썬더티라 | |
| | |
D3 마그킬로 | D3 프로즌타이거 | |
| | |
D3 버스터기가 | D3 타이달샤크 | |
| ||
D3 스톰테라 |
속성 | 화염[D3버닝], 번개[D3썬더], 용암[D3마그], 얼음[D3프로즌], 창염[D3버스터], 바다[D3타이달], 폭풍[D3스톰]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21], 라이트닝 클로[22] |
기술 | 마그마 스톰[23], 글레이셜 블래스트 킥[24] |
첫 등장 에피소드 | 2화[D3버닝], 3화[D3썬더], 4화[D3마그], 7화[D3프로즌], -화[D3버스터], -화[D3타이달], -화[D3스톰] |
렉스카이저가 1대의 다이노이드와 합체한 형태.
스톰테라는 합체 시 렉스카이저의 기존 팔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이노이드 티라와 합체한 와이번 같은 모습이 사실상 D3다.[32] 공식 X 소개에서도 정확히는 다이노이드 티라와 합체지만 렉스카이저와 합체라고 표기했다.
2.3.2. 렉스카이저 D4
| |
D4 버닝케라 & 썬더티라 | D4 마그킬로 & 프로즌타이거 |
속성 | 화염 & 번개[D4버닝&썬더], 용암 & 얼음[D4마그&프로즌]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 & 라이트닝 클로[팔]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6화[D4버닝&썬더], -화[D4마그&프로즌] |
렉스카이저가 2대의 다이노이드와 합체한 형태.
2.3.3. 렉스카이저 D5
|
버닝케라 & 스톰테라 & 썬더티라 |
속성 | 화염, 폭풍, 번개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 & 라이트닝 클로[팔]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6화 |
렉스카이저가 3대의 다이노이드와 합체한 형태.
2.3.4. 렉스카이저 D6
속성 | 화염, 번개, 용암, 얼음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 & 라이트닝 클로[팔]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화 |
렉스카이저가 4대의 다이노이드와 합체한 형태.
프로즌타이거가 왼발, 마그킬로가 오른발, 썬더티라가 왼팔, 버닝케라가 오른팔로 합체하여 완성된다.
본편에서는 D6에 합체하지 않는 스톰테라가 프로즌타이거보다 먼저 등장한데다 D5 합체 후 8화에서 바로 D7으로 합체해 등장할 지는 확실하지 않다.
2.3.5. 렉스카이저 D7
| |
D7 버닝케라 & 썬더티라 & 마그킬로 & 프로즌타이거 & 스톰테라 | D7 버닝케라 & 타이달샤크 & 마그킬로 & 프로즌타이거 & 스톰테라 |
속성 | 화염, 폭풍, 번개, 용암, 얼음[버닝썬더합체] 화염, 폭풍, 바다, 용암, 얼음[버닝타이달합체]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 & 라이트닝 클로[팔]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8화 |
렉스카이저 D6가 스톰테라와 합체한 형태. 위 이미지처럼 썬더티라 자리에 타이달샤크가 합체한 버전도 있다.
2.3.6. 렉스카이저 D8
속성 | -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 & 라이트닝 클로[팔]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화 |
기본적으로 렉스카이저에 다이노이드가 합체할 수 있는 조인트는 5곳인데, 무기까지 합체해 D9이 되므로 D9 상태에서 다른 다이노이드가 빠지지 않는 한 등장할 가능성은 낮다.
2.3.7. 그레이트 렉스카이저 D9
속성 | 바다, 화염, 폭풍, 번개, 창염, 용암, 얼음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파이어 스파이크 & 라이트닝 클로[팔]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화 |
렉스카이저 D7에 버스터기가, 타이달샤크가 추가로 합체하여 완성된 그레이트 합체 메카. 버스터기가와 타이달샤크가 무기와 갑옷으로 합체하여 완성된다.
2.4. 다이노 커맨더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2화[45] |
2화부터 등장하는 트레일러 트럭 + 트리케라톱스 형태의 메카로 다이노이드 티라를 현장으로 수송시키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46] 다이노이드들과 다르게 현재까지 등장한 최강공룡 미니특공대 메카들 중에서 머신 다이노카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외계인이 아닌 미니특공대 측이 제작한 메카다.
여담으로 어깨에 뿔이 장착된 디자인과 파란색 컬러링, 창을 무기로 사용하는 점이 다이노 코어 에볼루션의 메가 디파이터 트리와 닮았다.
2.5. 다이노 엠페러
속성 | - |
높이 | - |
폭 | - |
중량 | - |
파워 | -마력 |
무장 | - |
기술 | - |
첫 등장 에피소드 | -화 |
렉스카이저와 마찬가지로 공룡형 다이노이드끼리 합체한 메카로 보이며, 제3세력의 외계인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베이스는 모사사우루스과, 오른쪽 팔은 각룡류, 왼쪽 팔은 수각류, 등의 날개는 익룡으로 이루어져 4단 합체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합체 형태의 팔 구조와 날개, 4단 합체를 한 점이 다이노 코어의 얼티밋 킹 다이노와 비슷하다.[47]
3. 완구
- 렉스카이저
2025년 3월 24일부터 발매되기 시작했다. 다른 다이노이드가 그나마 아이들 완구 느낌이 남아 있다는 평가인데 렉스카이저는 단품으로 완성되어 있으며 가동도 충실하여 혼자서도 플레이밸류가 높다. 전탄인 저스티스 타이탄과 팔부분이 호환되어 교체하기 놀이도 가능하다. 팔목과 엄지 부분이 안 움직이는데 전작 완구에서 파손 보고가 심한 부분이었기에 내구도를 보강하기 위해 가동을 조금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 버닝케라
2025년 2월 28일 썬더티라와 함께 다이노이드 중 가장 먼저 모형이 출시되었다. 렉스카이저와 합체 시 썬더티라와 좌우 대칭으로 양 팔을 형성하는 만큼 소체의 기본 구조는 거의 동일하지만, 변형 합체와 사용하는 무장의 차이로 인하여 세부적인 구조나 디테일이 다르다.
- 썬더티라
2025년 2월 28일 버닝케라와 함께 가장 먼저 출시되었다. 렉스카이저와 합체 시 버닝케라와 좌우 대칭으로 양 팔을 형성하는 만큼 소체의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변형 합체와 사용하는 무장의 차이로 인하여 세부적인 구조나 디테일이 다르다.
- 프로즌타이거
2025년 3월 14일 전후로 마그킬로와 함께 발매되기 시작했다. 렉스카이저와 합체시 마그킬로와는 좌우대칭이기는 하지만 구조나 변경과정에서 조금 차이가 난다. 프로즌타이거는 렉스카이저와 합체시 앞부분을 약간 대각선으로 슬라이드하듯이 끼워야 한다.
- 마그킬로
2025년 3월 14일 전후로 프로즌 타이거와 함께 발매되기 시작했다. 렉스카이저와 합체시 프로즌타이거와 좌우 대칭으로 다리에 합체하지만 디자이너의 차이에서인지 구조나 변경과정에서 조금 차이가 난다. 마그킬로는 무기를 가장 마지막에 장착시켜야 파손 위험이 줄어든다.
- 스톰테라
- 타이달샤크
- 버스터기가
- 합체 다이노이드
렉스카이저가 2025년 3월 24일경으로 발매되기 시작하면서 조합이 가능해졌다. 기본적으로 팔로 합체하는 다이노이드는 합체모드에서 앞/뒤가 대칭이고 팔꿈치에 해당되는 허리가 360도 회전하기 때문에 좌/우 원하는 곳에 합체가 가능하고 좌우를 바꿀 수 있는 건 다리에 합체하는 다이노이드들도 마찬가지.[48] 기본적으로 렉스카이저가 튼튼하고 합체시에 가동구역 자체는 거의 건드리지 않아서 무거워진거 빼면 자세 유지도 되고 가동역도 합체 메카치고는 상당히 넓은 편이나 역시 합체 부분이 무겁다 보니 다이나믹한 자세는 어려워진다. 합체 이후의 팔에 손가락이 없다는 부분등에서는 호불호가 나눠지고 있다.
- 다이노 커맨더
- 다이노 엠페러
4. 같이 보기
미니특공대 시리즈의 개별 메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시즌 4 | 시즌 5 |
특공로봇 | 특공 엑스 머신 특공 펜타 엑스 머신 | 트랜스헤드→합체 아머봇 슈퍼공룡머신 | 애니멀트론 우주경찰 | 브이 머신 | |
시즌 6 | 시즌 7 | 시즌 8 | 시즌 9 | 시즌 10 | |
헤드캅 경찰 머신 | 다이노이드 | ||||
번외 | |||||
픽셀파워 | |||||
픽셀 비클 |
[1] 차이점이 있다 하면 드란과 같은 포지션인 머신 다이노카는 로봇으로 변형하지 않는다는 점이 있으며 인격의 주체가 골곤 포지션인 티라 쪽에 있다는 점이다. 머신 다이노카의 경우, 미니특공대의 콕핏 정도의 포지션.[2] 다만, 헤드캅과 달리 밑부분에 바퀴 혹은 캐터필러가 달려있어 자율주행이 가능하다.[3] 작중에도 마그킬로가 미니특공대와 만나기 직전에 블랙 위치와 전투를 하다가 자신의 다이노 코인을 강탈당해 지능이 낮아지게 되는 부작용을 받으면서 멍청하게 변했던 적이 있었다.[4] 다만, 8화에서 블랙 버스터에 의해 티라의 그레이트 코인과, 썬더티라와 버닝케라의 다이노 코인이 강탈당했고, 티라를 제외한 이 둘이 인질로까지 잡혀있는 마당에도 별 다른 부작용이 없었긴 했다. 아무래도 블랙 버스터가 강탈한게 다이노이드들의 신체일부로 있는것과 별개로 있는 소환용 다이노 코인들이라 별 다른 영향이 안간거고, 다이노이드들의 신체 일부를 겸하는 거대한 크기의 그레이트 코인들과 다이노 코인들이 마그킬로때 처럼 직접 강탈된게 아니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는듯 하다.[팔관련] 팔로 합체하는 다이노이드들은 좌/우 어느쪽이든 합체가 가능하도록 디자인 되어 있다.[6] 같은 회사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블래스트레인을 맡았다.[7] D3로 합체했을 때에 사용했다.[8] 공룡전대 쥬레인저의 수호수 사벨타이거의 검치가 합체할 때 올라가는 것과 유사하다.[9] 엘리 이후로 두 번째이자, 슈퍼공룡파워의 메카 슈퍼다이노 7의 방패가 되는 매머드도 포함하면 세 번째다.[10] D3로 합체했을 때에 사용했다.[11] 슈퍼공룡파워 이후로 두 번째로 등장하는 메갈로돈 메카다.[12] 전기톱이 달린 디자인 때문에 헬리코프리온일 가능성도 있다.[13] 덕분에 완구에선 무기로 합체할지 렉스카이저 본체에 합체할지 선택이 가능하다.[D3버닝] [D3썬더] [D3마그] [D3프로즌] [D3버스터] [D3타이달] [D3스톰] [21] 버닝케라와 합체했을 시. 합체 전과 무장 이름이 동일하다.[22] 썬더티라와 합체했을 시. 합체 전과 무장 이름이 동일하다.[23] 마그킬로 합체 시.[24] 프로즌타이거 합체 시.[D3버닝] [D3썬더] [D3마그] [D3프로즌] [D3버스터] [D3타이달] [D3스톰] [32] 물론 렉스카이저 상태에서도 합체가 가능하지만 팔이 없는 상태가 된다. 제대로 된 합체를 할려면 왼팔로 합체하는 썬더티라 혹은 타이달샤크, 오른팔로 합체하는 버닝케라 혹은 버스터기가중 각 각 다른 팔을 맡는 다이노이드 2대가 합체에 의무적으로 가담해 D5가 되어야 한다. 사실 다이노이드 티라와 합체한 와이번 형태는 머신 다이노카와는 합체하지 않아 D2라고 봐야겠지만.[D4버닝&썬더] [D4마그&프로즌] [팔] 양쪽 팔에 장착된 무장.[D4버닝&썬더] [D4마그&프로즌] [팔] [팔] [버닝썬더합체] [버닝타이달합체] [팔] [팔] [팔] [45] 트레일러의 모습으로 첫 등장. 로봇 형태는 -화에 등장했다.[46] 이점 때문에 티라는 다이노 커맨더의 트레일러 안에 따로 탑승하고, 트레일러 안에서 다이노이드 형태로 변신한다.[47] 합체의 구조도 익룡을 제외하면 수각류, 각룡류, 해양 파충류가 합체의 구성을 이루는 것도 똑같다.[48] 다만 아예 팔다리 자유자재로 합체하는 스크램블 합체 시스템까지는 구현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