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3:51:17

다에론 1세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House_Targaryen.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1대 제2대 제3대
아에곤 1세 아에니스 1세
마에고르 1세
<rowcolor=#fff> 제4대 제5대 제6대
재해리스 1세 비세리스 1세 아에곤 2세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아에곤 3세 다에론 1세 바엘로르 1세
<rowcolor=#fff> 제10대 제11대 제12대
비세리스 2세 아에곤 4세 다에론 2세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아에리스 1세 마에카르 1세 아에곤 5세
<rowcolor=#fff> 제16대 제17대 -
재해리스 2세 아에리스 2세
← 칠왕국 국왕 (아에곤의 정복 이전)
칠왕국 국왕 (바라테온 왕조)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다에론 1세
Daeron I Targaryen
파일:Daeron I.jpg
이름 다에론 타르가르옌 1세 (Daeron I Targaryen)
가문 파일:타르가르옌 가문.png 타르가르옌 가문
생몰년 AC 143 ~ AC 161
재위 AC 157 ~ AC 161
부모 아버지 아에곤 3세, 어머니 대나에라 벨라리온
형제 남동생 바엘로르 1세
여동생 다에나 타르가르옌, 라에나 타르가르옌, 엘라에나 타르가르옌
별명 젊은 드래곤 (The Young Dragon)
소년 왕 (The Boy King)

1. 개요2. 생애3. 평가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40.media.tumblr.com/tumblr_nmchke0Oxf1upx19so1_500.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aeron_I_Targaryen_the_Young_Dragon.png
타르가르옌 왕조의 8대 왕. 아에곤 3세대나에라 벨라리온의 장자로서 14살에 왕위에 올랐다.

매우 잘생긴 외모[1]에 성급하면서도[2] 똑똑했으며, 무예가 뛰어나 전사이자 정복자로서 명성을 쌓았다. 정복왕이라고 불렸던 아에곤 1세도 해내지 못했던 도르네 정복드래곤도 없이 그 어린 나이에 성공한 첫 타르가르옌 왕이었다. 그러나 무리한 정복욕으로 하여금 국가의 재정에 무리가 가게 만들었고 적을 믿고 방심하는 큰 실책을 저지르는 바람에, 결국 전쟁에서 비참하게 패망하며 후계 문제를 제대로 결정짓지 못하고 전사해 암군으로서의 모습도 존재한다.

《도르네의 정복》이라는 책을 직접 저술했으며, 그 책은 단순명료한 문체로 유명하다.

큰 여동생 다에나는 아버지 아에곤 3세와 더불어 그를 매우 숭배했다.

2. 생애

어린 시절부터 드래곤을 다 잃고 약화된 타르가르옌 왕가의 위상을 되살리기 위해 뭔가 큰 공적을 다지겠다고 생각했다. 부왕인 아에곤 3세가 30대의 나이로 요절하자 14살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는데, 똑똑해서 숙부이자 왕의 수관인 비세리스 타르가르옌이 섭정을 맡지 않았다. 그리고 도르네 정복을 추진했는데, 이때 숙부이자 수관인 비세리스 타르가르옌을 포함한 신하들이 드래곤 없이 어떻게 정복을 할 것이냐고 우려를 표하자 "그대들의 눈 앞에 드래곤이(=내가) 있다."라고 대답한 게 젊은 용(The Young Dragon)이라는 별명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6만의 병력을 이끌고 도르네 정벌에 나선다. 이후 자세한 정복 과정은 도르네 정복 참조.

그가 정복에 몰두해 있는 동안 왕국을 실제로 통치한 건 그의 숙부 비세리스였다. 도르네를 정복한 이후 승리를 축하하는 큰 연회가 열렸다. 그러나 수도 주위의 상황은 그닥 순탄치 않았는데, 킹스 랜딩 빈민가에 폭동이 일어나기도 하고 킹스우드에서는 산적단이 악명을 높였다.

게다가 그의 도르네 정복은 정복한지 2년만에 그가 총독으로 남겨 놓은 라이오넬 티렐[3]이 도르네인들의 함정에 걸려 살해당하면서 도르네 전역으로 번진 대반란에 의해 물거품이 되며,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4만 명(...)의 병사를 잃고 전사하여 그 자신의 목숨조차 잃고 말았다. 그나마 반란 진압에 성공한 것도 아니라 적에게 속아서 방심하다가 와장창 깨지면서 전사한 것이다. 이때 정복왕 아에곤의 왕관이었던, 발리리아 강철로 만들어진 왕관을 잃어버린 것은 덤이다. 당연히 도르네는 바로 주권을 되찾았고, 결국 후계자인 동생 바엘로르가 직접 도르네에 가서 평화 협정을 맺어야 하는 굴욕까지 견뎌내야 했다.[4]

3. 평가

존 스노우가 다에론 1세를 좋아하는 걸 보면 저런 업적 때문에 웨스테로스 소년들의 우상 중 한 명인 듯하다. 하지만 티리온 라니스터스타니스 바라테온처럼 머리 좋은 이들은 내심 정복 놀이로 왕국을 위태롭게 한 소년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하고 있다. 다만 이것도 단순히 평가절하할 수만은 없는 것이, 드래곤을 전부 잃어버린 타르가르옌 가문 입장에서는 왕권을 다시 세우고 왕국을 하나로 모을 만한 훌륭한 업적이 필요했다. 특히 다에론 1세가 추진한 도르네 정복은 당시 칠왕국 전역에서 참가한 전쟁이기에 다에론 1세와 칠왕국에게는 매우 중요했다.

잘생기고 용감무쌍한 전사이자 정복자로 당시 민중들의 사랑을 받고 아직도 자국 소년들에게는 전설적으로 화자되는 영웅이라는 점, 하지만 따지고 보면 무리한 군사 원정을 계속하는 바람에 국고를 홀라당 날려먹은 암군이었다는 점, 원정지가 중동[5]이었다는 점, 전투중에 전사했다는 점[6], 사후 동생이 왕좌를 물려받았다는 점에서 영락없이 사자심왕 리처드 1세가 모티브이다.[7] 그런데 리처드는 4만에 달하는 군세를 날려먹지는 않았다 그 밖에도 정복하면서 쓴 책이 유명했으며 배신으로 죽은 점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랑 비슷하다. 마찬가지로 젊은 나이에 무리하게 남쪽 사막 나라에 원정을 갔다가 안 좋게 끝나 전사했고, 다음 국왕이 (예비)성직자여서 왕위 계승권이 꼬인 점은 포르투갈 왕국세바스티앙 1세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본편의 롭 스타크의 행적과도 어느 정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둘다 어린 나이에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이며 승승장구했지만, 비열한 배신으로 부하 군사들과 함께 끔살당했다. 별명도 젊은 용, 젊은 늑대로 비슷하다.

그리고 사망했을 때의 나이가 고작 18세라서 다에론 1세의 이른 죽음은 칠왕국에 거대한 스노우볼링이 되었다. 자식이 없었던 다에론 1세의 후계자는 남동생 바엘로르였고 그가 뒤를 이어 바엘로르 1세로 즉위했지만, 그는 여동생 다에나와 혼인했음에도 여자에 통 관심이 없었고 실제로 왕이 되자마자 다에나와의 결혼을 파기했다. 이후 바엘로르마저 후계자를 정하지 않고 죽으면서[8] 뒤를 이어 왕이 된 사람은 핸드이자 숙부인 비세리스 2세였지만, 그는 바엘로르보다 한참 나이가 많았고 결국 즉위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사망하고 말았다. 이후 비세리스 2세의 장남인 아에곤 4세가 즉위했지만, 그는 무능하고 향략에만 빠져 지냈기 때문에 칠왕국은 서서히 병들어가기 시작했다. 거기다 아에곤 4세의 적자이자 다에론 1세의 5촌 조카인 다에론 2세용기사 아에몬의 사생아라는 논란과 그 자신의 친 도르네적 성향이 분란의 불씨가 되었다. 결국 여러 가지 사정이 겹친 끝에 다에몬 블랙파이어가 주축으로 한 왕국이 절반으로 쪼개지는 블랙파이어 반란이 벌어지고 말았다. 만약 다에론 1세가 도르네로 친정하지 않고 후계자를 만들었거나, 적어도 후계자를 만든 이후에 도르네로 친정했다면 바엘로르의 굴욕적인 협정도 없었으며[9] 블랙파이어 반란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었다.

[1] 어머니 대나에라 벨라리온이 고작 6살 때 천명이 넘는 좌중을 감탄시킬 정도의 엄청난 미녀였고 아버지 아에곤 3세도 우울한 성격 탓에 부각되진 않지만 발리리아계 특유의 출중한 미남이었던 걸 생각하면 외모에 있어 부모 양쪽의 좋은 점만 골고루 닮은 듯.[2] 나중에 이 성격이 다에론이 비참하게 죽는 원인을 제공한다.[3] 전갈과 독사를 이용한 함정에 괴롭게 죽었다는 건 일치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평가가 상충된다. 오베린 마르텔은 침략자의 두목인 악당이라고 주장했지만, 철왕좌티렐 가문 측에서는 멀쩡한 성격에 상식적인 통치를 한 총독이었지만 도르네인 협력자의 배신으로 죽은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양측 주장이 "우리 착한 놈, 쟤네 나쁜놈".[4] 하지만 정작 바엘로르는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는데 신하들의 만류에도 직접 도르네까지 맨발로 걸어가는 고행을 하고, 거기서도 수없이 무시당하는 시련을 묵묵히 받은 것을 보면 그냥 본인의 신앙심을 자랑하려고 그런 고난 수행을 한 것 같다(...)[5] 도르네는 팔레스타인, 지중해 국가들,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모티브라고 작가가 밝힌 바 있다. 도르네인들의 복장도 중동의 복장과 비슷하다.[6] 사실 리처드 1세도 다에론 1세처럼 실책을 저질러 전사했는데 공성전을 하는 과정에서 갑주도 입지않고 평상복 차림으로 성 주변을 가까이서 정찰하다가 저격수한테 저격당하여 사망한것이다.[7] 다만 리처드 1세의 '이미지'에 가까운데 리처드 1세 항목을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듯이 리처드 1세가 생각없는 근육뇌 군주인 것은 전혀 아니다. 프랑스 역사상 손꼽히는 명군이자 지략가이던 필리프 2세와도 치열하게 물 밑 정치 싸움을 했던 것이 리처드 1세. 다만 결과론적이나마 십자군 전쟁에서 별 소득이 없었고 국고를 많이 소모한 상태에서 일찍 죽어 버려서 그 똥을 동생이 치워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는 점에서 외면적 이미지는 다에론 1세와 대충 비슷한 부분이 있기는 하다.[8] 바엘로르가 여동생 다에나를 왕세녀로 지명하고 정치에 어느 정도 참여시켰다면 다에나가 왕이 될 가능성도 있었을지 모르나, 바엘로르가 어처구니없는 이유로 여동생들을 탑에 가둬버리는 바람에 아에곤 3세의 딸들을 지지하는 세력 자체가 생길 수 없었다.[9] 실제로 비세리스 2세가 바엘로르가 추진한 굴욕적인 협정을 막을 수 없던 이유도 수관으로서 국왕인 바엘로르를 제지할 권한이나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