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20:57:16

닌텐도 게임 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ame Pak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닌텐도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분류
DS · Wii · 3DS · Wii U · Switch · Switch 2
게임기 · 게임 · 프랜차이즈 · 인물 · 관계사 · 모바일
대표작(마젤포) · 역사 · 인지도 · 비판
일반
Mii · amiibo · Nintendo Selects · 익스팬션 패스
게임 팩 · 광 디스크 · 게임 카드 · 키 카드
장소
슈퍼 닌텐도 월드 · 닌텐도 뮤지엄
서비스
My Nintendo · Nintendo Music · 닌텐도 e숍 · 선불 카드
클럽 닌텐도 · NVIDIA SHIELD
발표회
닌텐도 다이렉트 · 닌텐도 트리하우스
야옹야옹! 고양이 마리오 타임 · 닌텐도 미닛
기타
닌빠 · 검은 닌텐도(마리오 · 젤다의 전설 · 포켓몬스터)
닌텐도 킬러 · 투텐도 · 닌텐돈트 · 닌텐도 증후군


1. 개요2. 상세3. 호환성4. 종류
4.1. 가정용
4.1.1. 패밀리컴퓨터4.1.2. NES4.1.3. 슈퍼 패미컴4.1.4. SNES4.1.5. Nintendo 64
4.2. 휴대용
4.2.1. 게임보이4.2.2. 게임보이 컬러4.2.3. 게임보이 어드밴스
4.3. 기타
4.3.1. 버추얼 보이4.3.2. 포켓몬 미니
5. 관련 문서

1. 개요

닌텐도 게임 팩(Game Pak)은 과거 닌텐도의 콘솔 기기의 비디오 게임을 물리적으로 배포하는 데 사용되는 롬 카트리지의 브랜드 명이다.

1983년 닌텐도 직원 게일 틸든[1]이라는 여성이 붙인 명칭이다.

원래는 닌텐도의 롬 카트리지 만을 가리키는 브랜드 명이였으나 지금은 타사 카트리지도 게임 팩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모든 게임 팩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한국에서는 게임 팩이라 불리지만 일본에서는 거치형 게임기용은 카세트(Cassette, カセット/Kasetto), 휴대용 게임기용은 카트리지(Cartridge, カートリッジ/Kātorijji)라고 불린다.

2. 상세

현세대 기기들과는 다르게 플래시 메모리가 아닌 마스크 롬 기반의 카트리지를 사용한다. 닌텐도 DS를 기점으로 나온 롬 카트리지는 게임 카드라는 브랜드 명을 사용한다.

1987년부터 카트리지 내부에 SRAM과 전지를 넣어서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세이브 데이터를 저장해서 불러올 수 있는 배터리 백업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다만 전지의 수명이 다 되거나 접촉 불량이 일어나면 데이터가 날아가버리는 문제가 있었다.[2] 닌텐도 64 및 게임보이 어드밴스부터는 플래시 메모리, FRAM 또한 사용되었으며, 이후 EEPROM으로 정착했다.

카트리지의 색상은 보통 회색이나 검은색 같은 특정한 색상 위주를 사용하나, 젤다의 전설이나 포켓몬스터와 같은 일부 게임에서는 금색이나 빨간색처럼 전용 색상이 적용되기도 한다.

비공식 기기인 Analogue Pocket 또한 게임보이, 게임보이 컬러,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 팩을 구동할 수 있다.

3. 호환성

기종/게임 카드 GB GBC GBA
게임보이
게임보이 포켓
게임보이 라이트
O X
게임보이 컬러 O X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O
게임보이 미크로 X O
닌텐도 DS
닌텐도 DS Lite
X O
슈퍼 게임보이 O X
게임보이 플레이어 O[3]
※ 게임보이, 게임보이 컬러, 게임보이 어드밴스 이외의 게임 팩들은 오로지 해당 기종에서만 작동한다.

4. 종류

4.1. 가정용

4.1.1. 패밀리컴퓨터

게임 팩
Game Pak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패밀리컴퓨터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60핀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40KB~1MB
크기

4.1.2. NES

게임 팩
Game Pak
파일:NES_게임 팩.png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NES)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72핀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40KB~1MB
크기

4.1.3. 슈퍼 패미컴

게임 팩
Game Pak
파일:슈퍼 패미컴 카트리지.jpg
슈퍼 패미컴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최대 6MB
크기

4.1.4. SNES

게임 팩
Game Pak
파일:SNES_게임 팩.png
Super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SNES)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최대 6MB
크기

4.1.5. Nintendo 64

게임 팩
Game Pak
파일:닌텐도64_게임 팩.png
Nintendo 64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8MB~64MB
크기
당시 CD-ROM을 도입했던 경쟁사와는 달리 롬 카트리지 사용을 고수하였다. 300KB/s의 2배속 CD-ROM 드라이브에 비해서 5~50MB/s의 속도로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불러올 수 있는 이점이 있었지만, 용량 제한 및 제조 단가 문제가 극심해지면서 게임큐브부터는 광 디스크를 도입하게 된다.

4.2. 휴대용

4.2.1. 게임보이

게임 팩
Game Pak
파일:external/supercolortuts.com/Gameboy_Cartridge_Icon_512x512px.png
Game Boy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32KB~1MB
크기
게임보이의 전원을 켜면 걸쇠가 나와서 오른쪽 모서리 빈 부분에 걸려 게임 팩이 빠지지 않도록 디자인되었다. 이는 PC 엔진에서 먼저 선보인 바 있다.
파일:게임보이 컬러_게임 팩.png
게임보이 컬러에 대응하는 소프트는 게임 팩의 색상이 보통 검은색으로 나왔으며, 포켓몬스터 금·은 같은 게임에서는 금색과 은색이 사용되었다.

4.2.2. 게임보이 컬러

게임 팩
Game Pak
파일:게임보이 컬러 카트리지.jpg
Game Boy Color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최대 8MB
크기
파일:이 카트리지는.png
게임보이 컬러 전용 게임 팩의 경우 오리지널 게임보이에서는 사용할 수 없도록 모서리 부분에 전원 키의 걸쇠가 걸리지 않게 디자인되었다. 걸쇠가 없는 게임보이 포켓 및 슈퍼 게임보이에서 구동하려 하면 게임보이 컬러 전용이니 게임보이 컬러에서 사용해달라는 메시지가 뜬다.

또한 일부 예외(한국판 포켓몬스터 금·은)를 제외하면 게임보이와는 다르게 반투명한 색상으로만 제작되었다.

4.2.3.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 팩
Game Pak
파일:GBA_게임 팩.png
Game Boy Advance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4MB~64MB
크기
지원하는 최대 용량은 64MB이나 게임보이 어드밴스 비디오로 출시된 영상물을 제외하면 최대 용량을 사용하는 게임이 출시되지 않았으며, 실질적으로 32MB가 GBA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이다.

4.3. 기타

4.3.1. 버추얼 보이

게임 팩
Game Pak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Virtual Boy
개발 닌텐도
미디어 종류 마스크 롬
인코딩 카세트
읽기 메커니즘 물리적
용량 512KB~16MB
크기
최대 16MB의 용량을 지원하나 버추얼 보이 자체가 출시 1년도 못 넘기고 빠르게 단종되었기 때문에, 최대 2MB 용량을 사용하는 게임까지만 출시되었다.

4.3.2. 포켓몬 미니


5. 관련 문서


[1] 게임잡지 닌텐도 파워의 초대 편집자로 유명하다.[2] 배터리 문제로 유명한 사례로는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포켓몬스터 금·은. 닌텐도에서는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중단했으므로 직접 기판을 뜯어내서 납땜하는 수밖에 없다.[3] 게임보이 어드밴스 비디오로 출시된 영상물의 경우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재생되지 않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