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03:50:57

니코스 갈리스

니코스 갈리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파일:FIBA_EUROPE.png
1987 1989
}}} ||
파일:니코스 갈리스.jpg
니코스 갈리스
Nikos Galis | Νίκος Γκάλης
본명 니콜라오스 게오르갈리스
Nikolaos Georgalis | Νικόλαος Γεωργαλής
출생 1957년 7월 23일 ([age(1957-07-23)]세)
미국 뉴저지 주 유니언 시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그리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리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시튼홀 대학교
신장 183cm (6' 0")
체중 90kg (198 lbs)
포지션 슈팅 가드
드래프트 1979 NBA 드래프트 4라운드 68순위
보스턴 셀틱스 지명
소속 구단 아리스 테살로니키 BC (1979~1992)
파나티나이코스 BC (1992~1994)
등번호 4번 -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2.2. 국가대표
3. 플레이 스타일4. 위상5. 수상 내역6. 여담

1. 개요

그리스의 전 농구 선수.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야니스 아데토쿤보 이전 그리스 최고의 농구 선수로 불렸던 전설적인 선수이다. 유로 리그에서 많은 족적을 남겼으며 국제 무대에서도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냈다.

별명은 아이언맨(The Iron Man), Nick The Greek , The Gangster,

2. 선수 경력

2.1. 클럽

니코스 갈리스는 뉴저지 주 유니언 시티에서 태어났다. 그리스의 로도스와 니시로스 섬 출신의 가난한 이민자 가정에서 자랐다. 어린 시절 권투 선수였던 아버지 조지 조르갈리스의 뒤를 이어 권투를 시작했으나, 어머니 스텔라 조르갈리스가 아들이 권투 훈련에서 얼굴 부상을 입고 집에 돌아올 때마다 걱정하여 권투를 그만두고 농구를 시작했다. 그는 유니언 시티의 유니언 힐 고등학교에 다니면서 전설적인 코치 윌리엄 J. 맥키버 밑에서 농구를 했고, 미식축구도 병행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세튼 홀 대학교에 입학해 세튼 홀 파이어리츠 농구팀에서 뛰었다. 1978-79 시즌(4학년 때)에는 경기당 평균 27.5점을 기록해 아이다호 주립대 로렌스 버틀러(평균 30.1점), 인디애나 주립대 래리 버드(평균 28.6점)에 이어 전국 3위에 올랐다. 산타클라라 대학을 상대로 48점을 득점한 경기도 있었다.

4학년 때는 뉴욕시 도시권 최우수 선수에게 수여되는 해거리 상(Haggerty Award)과 이스턴 칼리지 애슬레틱 컨퍼런스 올해의 선수상을 받았다. 같은 해 피자헛 올-아메리칸 게임에도 래리 버드, 비니 존슨과 함께 출전했다. 대학 4년 동안 총 107경기에 출전해 1,651점을 득점했고 경기당 평균 15.4점을 기록했다.

세튼 홀에서 갈리스의 감독이었던 빌 래프터리는 그를 자신이 지도한 선수 중 최고라고 평가했다. 또한 세튼 홀 시절 갈리스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프로 농구 선수 댄 칼란드릴로와 친한 친구이자 룸메이트였다. 1991년 세튼 홀 운동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79년 대학 선수 생활을 마친 후, 갈리스는 다이애나 로스의 매니저이기도 한 에이전트 빌 매넌과 계약을 맺었다. 매넌은 그가 어떤 NBA 팀과도 함께 훈련하지 못하게 했다. 결국 갈리스는 1979년 NBA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68순위로 보스턴 셀틱스에 지명되었다. 1979-80 시즌 셀틱스 프리시즌 트레이닝 캠프에서 심각한 발목 부상을 입으면서 프랜차이즈는 더 이상 계약할 의사가 없었다. 제럴드 헨더슨이 그의 자리를 차지했고, 부상으로 출전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리스 최고 수준의 바스켓리그에서 프로 경력을 쌓기로 결심했다. 그리스에서 선수 생활을 하는 동안 셀틱스와 뉴저지 네츠로부터 NBA 계약 제안을 받았지만 거절했다. 당시부터 1989년까지 FIBA가 프로 자격을 인정하지 않아 NBA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에서 뛰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스 국가대표팀에서 뛰는 것이 그에게 매우 큰 의미였기에 그리스에 남았다. 당시 셀틱스 회장 레드 아우어바흐는 나중에 그를 붙잡아 두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실수라고 말했다.

1979-80 시즌 셀틱스 프리시즌 훈련 캠프에서 부상으로 계약이 무산되자, 그는 대서양을 건너 1979년 그리스 아리스 테살로니키와 계약했다. 그리스의 양대 명문 클럽인 파나티나이코스 아테네와 올림피아코스 피레아스도 관심을 보였지만, 아리스 테살로니키의 관심이 가장 설득력 있었다. 그의 그리스행은 그리스 농구 클럽이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인기를 얻는 데 크게 기여했다.

아리스 테살로니키의 명실상부한 리더로, 거의 모든 시즌과 대회에서 경기당 평균 30점 이상을 기록했다. 팀에서는 파나기오티스 지안나키스, 슬로보단 수보티치(그리스에서 레프테리스 숨포티츠로 알려짐) 등과 함께 뛰었다. 1983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에 그리스 리그 챔피언십을 8회 차지했으며, 7회는 연속 우승이었다. 3회는 무패 시즌이었다. 또한 1985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2년에 그리스 컵 타이틀을 6회 획득했고, 이 중 4회는 연속 우승이었다.

FIBA 유럽 챔피언스 컵(유로리그)에서 팀을 이끌고 3년 연속 파이널 포에 진출했으나 모두 준결승에서 패해 결승 무대에 오르지 못했다. 그럼에도 팀의 성과와 경기력은 그리스 농구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당시 그리스의 영화관과 극장들은 아리스 테살로니키가 유럽 농구 경기를 치르는 목요일 저녁에 티켓 가격을 낮추곤 했다. 많은 사람이 텔레비전으로 경기를 보기 위해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1991년 6월, 1991 FIBA 100주년 기념 행사에서 유럽 올스타팀과 경기를 펼친 발칸 올스타팀 일원으로 선정되었다. 이 행사는 농구 창시자 제임스 네이스미스가 농구를 만든 지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그리스 아테네 피레아스에서 개최되었으며, 많은 유럽 농구 전설들이 참가했다. 발칸 올스타팀이 103-102로 승리했고, 그는 20점을 기록해 경기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1991년 12월 19일, 아리스 테살로니키와의 마지막 FIBA 유로리그 경기 중 하나에서 갈리스는 시계를 되돌렸다. 34세의 나이에 그는 이탈리아 리그 클럽인 올림피아 밀라노에 111-108로 패했지만, 총 20개의 필드골 중 13개, 2점슛 14개 중 8개, 3점슛 6개 중 5개, 자유투 18개 중 15개를 성공시키며 46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아리스 테살로니키의 1991-92 FIBA 유로리그 시즌은 실망스러웠고, 클럽은 조별 리그에서 3승 11패로 마감했다.

같은 시즌 파니오니오스 아테네와의 그리스 리그 경기에서는 21개의 필드골 중 17개, 2점슛 18개 중 15개, 3점슛 3개 중 2개, 자유투 13개 중 12개를 성공시키며 48점을 올렸다. 그러나 팀은 1992년 그리스 리그 결승 진출에 실패하며 1984년 이후 처음으로 우승을 놓쳤다.

결국 1991-92 시즌은 아리스 테살로니키에서 그의 마지막 시즌이었다. 당시 팀은 새로운 경영진 아래 부채를 줄이려 노력했고, 갈리스의 높은 연봉과 팀 쇠퇴가 그가 떠난 주된 이유였다. 그는 테살로니키 시와 팬들을 사랑해 원래 클럽에 남아 뛰기를 고집했으나, 결국 클럽을 떠나야 했다. 클럽에서의 마지막 경기에서 그는 18점(6/9 필드골, 6/9 2점슛, 0/2 3점슛)을 기록했고, 아리스는 AEK를 74-62로 이겨 1992년에 또 하나의 그리스 컵 타이틀을 차지했다.

1992년 여름, 갈리스는 파나티나이코스 아테네로 이적했다. 오랜 침체기를 겪은 “녹색” 팀을 재건하는 데 중심 역할을 했다. 이전 시즌(1991-92)은 클럽에 특히 실망스러웠으며, 팀은 그리스 리그에서 8위를 기록했다. 주장으로서 그는 프라기스코스 알베르티스와 니코스 오이코노무 같은 젊은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며 점차 팬들에게 희망을 안겼다. 당시 클럽의 홈 경기장인 글리파다 실내 홀은 항상 만원이었다. 1992-93 시즌 파나티나이코스는 그리스 리그 2위를 기록했고, 그리스 컵 타이틀도 차지해 그에게 7번째 그리스 컵 우승을 안겼다.

다음 시즌(1993-94)에는 21경기에 출전해 경기당 평균 23.8점을 기록하며 FIBA 유럽 리그(EuroLeague) 득점왕에 올랐다. 또한 경기당 평균 4.7어시스트로 어시스트 부문에서도 선두를 차지했다. 파나티나이코스는 8강전 3차전에서 당시 리그 챔피언 프랑스 클럽 리모주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고, 갈리스는 75%의 필드골 성공률(12/16)로 30점을 기록해 팀을 1994년 텔아비브 FIBA 유럽 리그 파이널 포로 이끌었다. 팀은 준결승에서 라이벌 올림피아코스에 77-72로 패했으나 3위를 기록했다.

이는 1971-72 시즌 이후 클럽이 이 대회에서 기록한 최다 득점이었다. 파이널 포 3위 결정전에서 스페인 클럽 FC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30점을 기록해 팀 승리를 견인했고, 올 파이널 포 팀에도 선정되었다.

1994년 5월 파니오니오스와의 3/4위 결정전에서는 2차전에서 무득점으로 부진했으나, 3차전과 4차전에서 각각 18점과 22점을 기록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어 3위를 확보하고 다음 시즌 FIBA 유러피언 리그 진출권을 얻었다.

1994-95 시즌 파나티나이코스에서 세 번째 시즌을 보내면서 갈리스는 파나기오티스 지안나키스, 자리코 파스팔리를 비롯한 팀과 함께 FIBA 유럽 리그 우승을 위해 힘썼다. 그는 16강전에서 우크라이나 클럽 부디벨니크 키예프와의 2차전에서 23점을 기록해 팀이 탈락하는 것을 막았고, 올림피아코스와의 그리스 컵 경기에서도 팀 승리를 이끌었다.

37세의 나이에 갈리스는 1994년 10월 12일, 파나티나이코스 아테네 소속으로 프로 농구에서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그리스 리그 1994-95 시즌 1주 차 다프니 아테네와의 경기에서 그는 35분 동안 총 8점(2/2 필드골, 3/3 자유투)을 기록했다. 파나티나이코스 아테네는 이 경기에서 82-6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갈리스의 선수 생활은 1994년 10월 18일, 그리스 리그 1994-95 시즌 파나티나이코스 아테네의 2주차 경기 전 논란 속에 끝났다. 당시 팀 감독 코스타스 폴리티스는 암펠로키포이 아테네와의 경기에서 갈리스를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갈리스는 감독의 결정에 항의하며 경기장을 떠났고, 결국 다시는 선수 생활에 복귀하지 않았다. 그의 은퇴는 1995년 9월 29일 언론을 통해 공식 발표되었다.

프로 클럽 농구 선수로서 갈리스는 Greek Basket League에서 384경기에 출전해 총 12,864점을 득점했으며, 경기당 평균 득점은 33.5점이었다. Greek Cup에서는 55경기에 나서 총 1,935점을 기록하며 경기당 평균 35.2점을 올렸다. Greek Super Cup에서는 2경기에 출전해 경기당 평균 42.5점을 기록했다. FIBA 코라치 컵에서는 23경기에 출전해 총 864점, 경기당 평균 37.6점을 기록했다. FIBA 유로리그에서는 125경기에 나서 총 4,047점을 득점하며 경기당 평균 32.4점을 기록했다. 전반적으로 프로 클럽 대회에서 589경기에 출전해 총 19,795점을 올렸고, 경기당 평균 득점은 33.6점이었다.

2.2. 국가대표

갈리스는 1980년 FIBA 유럽 올림픽 예선전에서 그리스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으로 처음 출전했다. 그는 이 대회에서 경기당 평균 20.5점을 기록했다. 대회 단일 경기 최다 득점은 스위스와의 경기에서 기록한 30점이었다. 그러나 그리스는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1981년 유로바스켓에서 갈리스는 경기당 평균 19.9점을 기록했으며, 그리스는 대회를 9위로 마쳤다. 1983년 유로바스켓에서는 경기당 평균 33.6점을 기록하며 대회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그리스는 대회를 11위로 마쳤다.

1983년 11월 20일 데메트리아 토너먼트 '83에서 갈리스는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와의 친선 경기에 출전했다. 경기는 알렉산드레이오 멜라트론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경기에서 그리스의 슈팅 가드였던 갈리스는 노스캐롤라이나의 슈팅 가드 마이클 조던의 수비를 받았다. 갈리스는 24점을 기록했다.

1984년 FIBA 유럽 올림픽 예선전에서 갈리스는 경기당 평균 31.6점을 기록하며 대회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대회 단일 경기 최다 득점은 영국과의 경기에서 기록한 45점이었다. 그러나 그리스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갈리스는 그리스 대표팀으로 1984년 발칸 챔피언십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경기당 평균 33.7점을 기록하며 대회 득점 1위를 차지했다. 특히 파나마와의 경기에서는 53점을 득점했다. 그리스는 대회를 10위로 마감했다. 갈리스는 그리스 대표팀으로 1986년 발칸 챔피언십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갈리스는 그리스 대표팀을 이끌고 1987년 유로바스켓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다. 경기당 평균 37.0점을 기록하며 대회 득점 1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소련 대표팀의 전설적인 선수 샤루나스 마르치울리오니스와 맞붙어 40점을 기록하며 그리스를 103-101 승리로 이끌었다. 그는 대회 MVP로 선정되었다.

1988년 FIBA 유럽 올림픽 예선전에서 갈리스는 경기당 평균 28.4점을 기록하며 대회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대회 단일 경기 최다 득점은 독일과의 경기에서 기록한 35점이었다. 그러나 그리스는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갈리스는 1989년 유로바스켓에서 그리스를 은메달로 이끌었으며, 경기당 평균 35.6점을 기록하며 득점 1위를 차지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마르치울리오니스가 이끄는 소련 팀과 아르비다스 사보니스가 활약한 소련 팀을 상대로 45점을 득점하며 극적인 81-80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그리스 팀은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 국가대표팀에 패하며 2위에 머물렀다.

갈리스는 1991년 캐나다 출신 제임스 네이스미스가 농구를 창설한 지 100주년을 기념하는 FIBA 100주년 기념 대회에 그리스 대표로 참가했다. 이 대회는 그리스 아테네 피레아스의 평화와 우정의 경기장에서 열렸다. 갈리스는 세 경기에 출전해 경기당 평균 21.0점을 기록했다.

1991년 유로바스켓에서 갈리스는 경기당 평균 32.4점을 기록하며 대회 득점 1위를 차지했다. 그는 유로바스켓에서 총 네 번이나 득점왕에 올랐으며, 올-유로바스켓 팀에도 네 번 선정되었다.

갈리스는 그리스 국가대표팀에서 FIBA가 인정하는 168경기에 출전해 총 5,129점을 득점했으며, 경기당 평균 득점은 30.5점이었다. 그는 그리스 성인 국가대표팀 역사상 통산 득점 2위에 올랐다. 1위는 파나기오티스 지아나키스다. 헬레닉 농구 연맹은 2023년 8월 4일에 갈리스의 그리스 남성 성인팀 등번호 4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3. 플레이 스타일



전설적인 스코어러일 뿐만 아니라 뛰어난 플레이메이커이자 패서이기도 했다. 득점 대부분은 침투 능력 덕분에 페인트 존 안에서 나왔다. 미드레인지 점퍼는 가장 강력한 공격 무기 중 하나였는데, 수비의 압박 속에서도 꾸준히 득점을 만들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뛰어난 힘과 점프력 덕분에 작은 체구임에도 다른 가드들을 상대로 훌륭한 포스트 게임을 펼칠 수 있었다.

또 다른 큰 강점은 놀라운 체력이었으며, 이는 탁월한 신체 조건 덕분이었다. 1987년 유로바스켓 첫 경기 이후, 남은 경기에서 단 한 번도 교체되지 않았다. 뛰어난 체력과 컨디셔닝 덕분에 "아이언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4. 위상

"내가 악마의 아들이라면, 갈리스는 악마 그 자체다." — 드라젠 페트로비치

"유럽, 특히 그리스에 이렇게 뛰어난 공격수가 있다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 마이클 조던

"갈리스가 골을 넣고 싶다면 누가 수비하든 골을 넣을 것이다." — 아비다스 사보니스

"유럽과 그리스 농구가 바뀌었습니다. 그와 함께 뛰게 되어 영광입니다. 그는 역대 최고의 선수입니다." — 사샤 볼코프

"그리스에서 갈리스는 미국에서 마이클 조던과 같은 존재입니다." — 스티브 지아초글루

"저는 갈리스가 레이커스 나 셀틱스 에서 본 적 없는 일을 하는 것을 봤습니다 ." — 밥 맥아두

"그를 존경합니다. 그가 일대일로 경기할 때는 누구도 막을 수 없죠. 혼자서 악몽을 꾸게 하고 소련을 이길 수 있는 선수가 있을 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습니다 ." — 세르게이 벨로프

"드라젠(즉, 페트로비치 )이 내 동생이기는 하지만, 1987년 최고의 선수로는 갈리스에게 투표했습니다." — 아코 페트로비치

"갈리스는 훌륭한 선수입니다. 그는 유럽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입니다. 정말 강력한 상대였고, 공중에 떠다니는 듯한 플레이를 선보였으며,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이었습니다." — 디노 라자

" 페트로비치 와 갈리스는 제가 아는 선수 중 가장 카리스마 넘치는 선수들이었습니다. 갈리스는 저를 소름 돋게 만든 유일한 선수였습니다." — 도론 잠치

"농구를 하는 모든 사람은 갈리스에게 돈을 빚지고 있다. " — 파니스 크리스토둘루

"우리가 함께 뛰었다면 매 경기 300점을 득점했을 거예요!" — 바실리스 고우마스

"그 남자는 컴퓨터야! 만약 그가 60년대에 AEK 에서 우리와 함께 뛰었다면 , 우리는 무패였을 거야." — 게오르기오스 아메리카노스

"저는 제 선수 생활 동안 많은 선수들을 봤지만, 갈리스가 코트에서 하는 일은 전 세계적으로 2~3명만이 할 수 있는 일입니다." — 오디 노리스

"갈리스랑 같이 뛰고 싶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겠어요? 마지막 플레이에서 저는 꼭 갈리스에게 공을 맡길 거예요. 갈리스는 그리스와 유럽 농구의 판도를 바꿨어요." — 오디 노리스

"갈리스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저는 그를 유럽 최고의 선수 5인방 중 한 명으로 생각합니다." — 게오르기오스 시갈라스

"갈리스는 21세기의 선수입니다." — 알렉산더 고멜스키 , 소련 감독

"저는 밤새도록 갈리스의 악몽을 꾸었습니다." — 피에르 다오 , 리모제 감독.

"다른 네 선수를 어떻게 수비해야 할지 구체적인 지시를 내렸습니다. 니코스 선수에 대해서는 그냥 앉아서 기도해야 했습니다!" — 보이치에흐 크라예프스키 , 레흐 포즈난 감독

"니코스가 골을 넣는 걸 막을 방법은 하나밖에 없어요. 그를 호텔 방에 가둬서 경기장에 나오지 못하게 하는 거죠." — 루트 하레윈 , 네덜란드 국가대표팀 감독

유럽 농구 역사상 최고 득점자 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유로 리그, FIBA 국제 농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코어러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갈리스는 유로리그에서 여러 차례 시즌 최고 득점자로 선정되었다. 유럽 최고 농구 클럽 대회인 유로리그 파이널 포에는 총 4회 진출했으며, 아리스 소속으로 3년 연속(1988, 1989, 1990), 파나티나이코스 소속으로 1회(1994) 진출했다. 그는 그리스 리그 챔피언십에서 8차례 우승했으며, 1992-93 시즌 이전 프로화되기 전 모든 리그 형식을 합산한 통산 득점과 평균 득점에서 아마추어 시대 역대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87년 그리스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유로바스켓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회 MVP로 선정되었다. 이 성공을 바탕으로 미스터 유로파와 유로스카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그는 1989년 유로바스켓에서 그리스 대표팀을 은메달로 이끌었고, 올 유로바스켓 팀에도 선정되었다. 국가대표 선수로서 총 네 차례(1983, 1987, 1989, 1991) 올 유로바스켓 팀에 이름을 올렸다.

유로바스켓 역사상 가장 높은 평균 득점 기록(경기당 31.2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1983년, 1987년, 1989년, 1991년 네 번의 유로바스켓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또한 FIBA 월드 챔피언십/컵 대회에서 역대 최고 평균 득점(경기당 33.5점)과 단일 대회 최다 득점 기록을 1986년 대회에서 세웠다.

1986년, 1987년, 1989년 세 차례 그리스 올해의 남자 선수로 선정된 갈리스는 그리스에서 높은 존경을 받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그를 그리스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국가대표 선수 중 한 명으로 평가한다. 아리스 테살로니키와 그리스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기간 동안 그는 그리스를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농구 강국에서 유럽과 세계적 강자로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갈리스는 수천 명의 그리스인에게 농구를 시작하도록 영감을 준 스포츠 아이콘이며, 현재도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와 함께 그리스 국민과 국가의 전설이자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 그의 등번호 6번 유니폼은 2013년 아리스에 의해 영구 결번되었고, 4번 유니폼은 2023년 그리스 국가대표팀에 의해 영구 결번되었다.

2013년 테살로니키의 알렉산드레이온 멜라트론(테살로니키 스포츠 궁전) 메인 홀이 ‘닉 갈리스 홀’로 명명되었으며,

2016년 OACA 올림픽 실내 스포츠 센터는 그의 이름을 따 ‘OACA 니코스 갈리스 올림픽 실내 스포츠 센터’로 개칭되었다.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유로 리그의 마이클 조던이라면, 니코스 갈리스는 유로 리그빌 러셀+윌트 체임벌린과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5. 수상 내역

FIBA 유로바스켓 MVP ( 1987 )
4× FIBA EuroBasket 최고 득점자 ( 1983 , 1987 , 1989 , 1991 )
유로스카상 (1987)
미스터 유로파 어워드 (1987)
지중해 올해의 선수(1987)
FIBA 유로리그 득점왕 5회 (1988–1990, 1992 , 1994 )
2× FIBA 유럽 선발 (1987, 1991 I )
FIBA 유로리그 어시스트 리더 (1994)
유럽 농구의 101대 거장 (2018)
그리스 리그 우승 8회 (1983, 1985–1991)
그리스 컵 우승 7회 (1985, 1987–1990, 1992, 1993)
그리스 슈퍼컵 우승 ( 1986 )
그리스 리그 MVP 5회 수상 (1988~1992)
그리스 리그 파이널 MVP 4회 수상 (1988–1991)
11회 그리스 리그 득점왕 (1981~1991)
그리스 리그 어시스트 4회 (1991~1994)
2× 그리스 올스타 (1991, 1994 I)
그리스 컵 결승전 득점왕 5회 (1987, 1989, 1990, 1992, 1993)
그리스 슈퍼컵 결승전 최다 득점자 ( 1986 )
그리스 리그 명예의 전당 (2022)
그리스 올해의 선수 3회 수상 (1986, 1987, 1989)
FIBA 50대 선수 (1991)
유로리그에 기여한 50인 (2008)
6번은 아리스 (2013) 가 영구 결번으로 지정
그리스 국가대표팀 영구결번 4번 (2023년)
ECAC 올해의 선수(1979)
해거티상 (1979)

6. 여담

  • 아내 엘레니 파나지오투와 결혼했으며, 딸 스텔라를 두고 있다.
  • 1995년 9월 29일 프로 클럽 농구에서 공식 은퇴한 후 2006년 초까지 칼키디키에서 여름 농구 캠프를 운영했으며, 이 캠프는 아테네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 그리스 스포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4 아테네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올림픽 성화 최종 라운드의 첫 번째 주자로 선정되었다. 갈리스는 개막식이 끝난 후 경기장에 입장해 제단까지 성화를 전달했다.
  • 2007년 9월, 농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들이 모인 FIBA 명예의 전당 초대 회원으로 선수 부문에 헌액되었다. 같은 해 Eurobasket.com이 선정한 유럽 농구 명예의 전당에도 이름을 올렸다.
  • 2013년 5월, 아리스 테살로니키는 홈 경기장인 알렉산드레이오 멜라트론의 코트명을 “닉 갈리스 홀”로 변경하고, 갈리스의 등번호 6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 이 자리에는 1980~1990년대의 전 동료와 라이벌, 1987년 유로바스켓 금메달 멤버, 디노 라자, 조르디 빌라캄파, 도론 잠치 등 국제 농구 스타들이 참석했다.
  • 2016년 6월 14일, 1987년 유로바스켓 금메달 29주년을 맞아 그리스 최대의 경기장 OAKA 올림픽 실내 홀의 코트가 그의 이름을 기려 “니코스 갈리스 올림픽 실내 홀”로 명명되었다. 2017년 4월 1일, 그는 2017년 네이스미스 기념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명단에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9월 9일 공식 헌액되었다. NBA에서 뛰지 않고도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몇 안 되는 남자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
  • 그리스 국가대표팀 시절 사용한 등번호 6번은 2023년 8월 4일 “니코스 갈리스 올림픽 실내 홀”에서 그리스 농구 연맹에 의해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